표 4. 도시 양봉 활성화를 위한 녹지 계획 전략 도입 시 전환되는 인과 순환 관계

범례 인과 순환 관계
R6 양봉장 주변 울타리 설치량(+) → 인간과 벌의 접촉 거리(−) → 인간의 벌 쏘임 피해(−) → 민원발생량(−) → 지상양봉 규제 및 옥상양봉 정책(+) → 지상양봉 설치량(+) → 도시양봉량(+) → 양봉장 주변 울타리 설치량(+) → 인간과 벌의 접촉 거리(−)
R7 유휴공간 활용 녹지화 정책(+) → 지자체 투자(+) → 시민참여 프로그램 활성화(+) → 도시양봉 프로그램 활성화(+) → 교육프로그램 다양성(+) → 도시양봉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 지상양봉 규제 및 옥상양봉 정책(+) → 옥상양봉 설치량(+) → 도시양봉량(+) → 시민참여 프로그램 활성화(+)
R8 유휴공간 활용 녹지화 정책(+) → 도시공원 및 녹지조성면적(+) → 유휴공간의 녹지전환면적(+) → 거주민들의 녹지 만족도(+) → 녹지 방문빈도(+) → 낙후되는 녹지면적(−) → 유휴공간 발생면적(−) → 도시 내 녹지(+) → 거주민들의 녹지 만족도(+)
R9 유휴공간 활용 녹지화 정책(+) → 도시공원 및 녹지조성면적(+) → 유휴공간의 녹지전환면적(+) → 거주민들의 녹지 만족도(+) → 도시공원 및 녹지확충 필요성(+) → 도시공원 및 녹지조성면적(+)
R10 유휴공간 활용 녹지화 정책(+) → 도시공원 및 녹지조성면적(+) → 공동체 텃밭 조성 가능 면적(+) → 시민참여 프로그램 활성화(+) → 공동체 텃밭 프로그램 활성화(+) → 텃밭 내 작물 재배량(+) → 수분가능 꽃의 양(+) → 꿀벌의 먹이량(+) → 꿀벌의 개체수(+) → 작물 수확량(+) → 텃밭 내 작물 재배량(+)
R11 유휴공간 활용 녹지화 정책(+) → 도시공원 및 녹지조성면적(+) → 공동체 텃밭 조성 가능 면적(+) → 시민참여 프로그램 활성화(+) → 공동체 텃밭 프로그램 활성화(+) → 텃밭 내 작물 재배량(+) → 수분가능 꽃의 양(+) → 야생벌의 먹이량(+) → 야생벌의 개체수(+) → 작물 수확량(+) → 텃밭 내 작물 재배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