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도구명 및 개발년도 | 지역 | 평가대상 | 평가 항목 | 평가영역 | 평가 과정 / 개발 프로세스 | 신뢰성/실행가능성 |
---|---|---|---|---|---|---|
GFA (Green Flag Award) (1996) | 영국 | 녹지 공간 및 공원 평가 | 27개 | 경관 유지, 환경관리, 생물 다양성, 커뮤니티 참여 등 8개의 평가 기준 | 1단계: 심사위원의 현장 관리 계획 및 관련 문서를 바탕으로 서면 평가 2단계: 관리 계획이 실제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직원, 자원봉사자, 방문자 등을 대상으로 질문을 통해 평가, 심사위원과 구성원이 한 쌍을 이루어 평가 수행 | - |
NGST (Neighborhood Green Space Tool) (2012) | 영국 | 근린환경 내 1-10만m2 규모의 도시 녹지 | 36개 | 접근로, 레크레이션 시설, 편의시설, 자연경관특징, 무질서행위 등 5개 부문으로 구성 | 1단계: 기존평가항목들을토대로 성인 35명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 2단계: 635명성인을 대상으로 NGST 항목 설문조사, 가중치 산정 3단계: 28개 근린 도시녹지 대상으로 실행가능성 및 평가자 간 신뢰도 측정 | 전체 신뢰도 0.727 영역별 신뢰도: 접근성 0.739; 레크레이션 시설 0.948; 편의시설 0.907; 자연경관특징 0.610; 무질서행위 0.575 |
CPAT (Commjnity Park Audit Tool) (2013) |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미국 | 신체활동 촉진에 있어 근린공원의 잠재력 평가 | 28개 | 공원 정보체계, 접근로 및 주변 근린지역, 공원 활동 지역, 공원 질과 안전성 등 4개 부문으로 구성 | 30개 근린지역의 다양한 이해관계 주체(공원여가, 공중보건, 도시계획, 학교 등)가 참여해 개발 3차례의 워크샵과 60개 공원을 대상으로 시범조사 | 평가자간 신뢰도 보통에서높은 수준 신뢰도 r’s > 0.70 |
PARA (Physical Activity Resource Assessment) (2005) | 미국 | 일반인들이 이용 가능한 신체 활동 자원 | 49개 | 특징, 무질서행위, 규모, 비용, 신호체계, 어메니티 등 6개 부분으로 구성 | 13개 저소득 근린지역 내 97개 신체활동자원 맵핑 | 신뢰도 r’s > .77 |
POST (Public Open Space Tool) (2004) | 호주 | 일반인들이 접근가능한 모든 오픈스페이스 | 88개 | 활동, 환경적 질, 어메니티, 안전성 등 4개 부문으로 구성 | - | 47개 대상지에서 평가자 간 신뢰수준 0.553(구기 종목 운동시설 적합성), 0.925(애완견 오물 쓰레기통이 있는 출입구) |
노후도시공원 진단 기준 (2019) | 수원시, 한국 | 조성년도 기준 20년 이상의 공원 대상 | 28개 | 노후도 평가, 기능성 평가, 이용자 만족도 평가, 공원 서비스 평가 등 4개 부문으로 구성 | 1단계: 도시공원의 노후도 정의 2단계: 1차 현장조사 3단계: 진단기준 및 체크리스트 구성 4단계: 시범평가 5단계: 공원 노후도 등급 구성 | - |
공원 시설 건전도 조사 (2018) | 일본 | 도시 공원 | 12개 | 공원 내 모든 시설(일반시설, 놀이시설, 토목구조물, 건축물 등) 및 식재 | 1단계: 장수명화 계획 대상 도시공원 설정 2단계: 예비조사 실시 3단계: 시설 건전도 조사 및 판정 4단계: 장수명화계획 책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