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개발 과정

단계 구분 주요 내용
1 사례조사를 통한 평가항목 구성

그린플래그 어워드(GFA), 근린 녹지 평가 도구(NGST), 근린공원 평가 도구(CPAT), 신체적 활동 자원 평가(PARA), 공공공간 평가 도구(POST), 노후도시공원 진단 기준, 공원시설 건전도 조사 사례조사

평가 항목(5개 부문, 38개 세부 평가항목) 도출

2 전문가 자문회의와 시범평가를 통한 평가항목 정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국내 여건에 적합한 5개 부문, 20개 세부 공원성능평가 항목 도출

1차 정제된 평가항목으로 4개 근린공원 시범평가 후 국내 공원 여건에 맞춰 평가항목별 세부 내용 수정․보완

3 공원성능평가도구 신뢰도 검증

4개 근린공원 시범평가 결과값을 활용해 평가자 간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공원성능평가도구의 부문별 신뢰도 검증

4 전문가 설문조사(AHP 분석)를 통한 항목별 가중치 도출

관련 분야 전문가 46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5개 부문과 20개 평가항목별 가중치 도출

5 공원성능평가표와 가이드라인 작성

공원성능평가표 작성

평가항목별 세부 평가 기준을 포함한 가이드라인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