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공원성능평가도구 평가항목 선정 결과

구분 평가항목 국내외 공원성능평가도구 관련 사례 평가항목 선정
GFA NGST CPAT PARA POST 노후공원 진단기준 공원시설 건전도
접근성 출입구의 양적․질적 수준
건널목 또는 횡단보도 설치 상태
자전거 거치대 또는 주차시설 설치 상태
노약자․장애인의 접근․이용 편의 수준
표지시설(지도, 안내문 등) 설치 상태 및 질적 수준
외부에서 공원의 인지정도
공원 주변 대중교통 정류장과의 접근성
공원 주변 자전거도로의 유무
공원 인접지역의 안전성
쾌적성 수목의 양적․질적 수준
잔디의 양적․질적 수준
원예식물의 양적․질적 수준
쓰레기 방치 상태
애완동물 배변봉투 비치 유무
건물 및 기반시설 관리 상태
공원 내 수경시설 유무 및 관리상태
생물다양성 증진 보존 정도
안전성 무질서 행위 흔적 유무
조명시설의 양적․질적 수준
비상안전장치(CCTV, 긴급 상황 알림 장치 등)의 양적․질적 수준
공원 내 장비 및 시설의 안전성
공원 내 통과도로의 유무
유기 방치 동물의 유무
놀이터 바닥재의 종류 및 관리 상태
편의성 공공 화장실의 양적․질적 수준
쓰레기통의 양적․질적 수준
휴게시설(파고라, 벤치 등)의 양적․질적 수준
음수대의 설치 여부와 관리 상태
샤워시설 및 짐 보관소의 설치 여부
매점, 카페 등의 설치 여부
바비큐 및 피크닉시설 설치 유무
활동성 산책로의 양적․질적 수준
어린이 활동 유발시설의 양적․질적 수준
체력단련기구의 양적․질적 수준
하드코트의 양적․질적 수준
다목적 광장의 양적․질적 수준
운동장의 유무 및 관리 상태
수영장의 유무 및 관리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