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수종 | Nowak et al.(2006) | 도시수목의 공기온도 저감, 대기오염물질 제거, 탄소배출 줄이는 기능 |
Park, E. J.(2009) | 탄소흡수 효율이 높은 수종 |
Sung and Hwang(2013) | 지역 향토종 고려하고 탄소저장률이 높은 수종 식재 |
Feyisa et al.(2014) | 공원의 온도저감 효과는 수종, 수관, 공원의 크기와 모양에 의해 결정됨 |
Kim, C. H.(2015) | 생물다양성 증진 위해 자생종 식재 비율 높임 |
Seoul(2020b) | 미세먼지 저감 권장수종 교목 48종, 관목 38종, 지피류 27종 |
Incheon Housing and City Development Corporation(2022) | 도시열섬 저감 및 미세먼지 저감기능에 적합한 수종선정 기준 |
Suwon City(2022) | 조류먹이 수종 및 식재효과 |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2023) | 미세먼지 저감수종 우수 59수종, 양호 175수종, 권장 80수종으로 총 314주 |
식재구조 | Kim and Sim(2010) | 숲구조 분석, 서울형 다층구조 식재모델 제시 |
Kim, C. H.(2015) | 도시공원 외곽수림대 다층구조의 활엽수 위주 군락식재 |
Xinxiao Yu(2018) | 공원경계 외부 도로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수목 밀식식재하여 미세먼지 여과 |
Lee et al.(2019) | 교목수종 식재할 수 없는 경관공간의 초화류 식재디자인 기법 제시 |
Jo et al.(2020) |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 효과위해 다층군식구조로 개선 |
Xiang Niu et al.(2022) | 공원의 녹지 식생유형 및 구조와 미세먼지 저감효과 상관관계 분석결과 제시 |
Incheon Housing and City Development Corporation(2022) | 미세먼지 저감기능 효과 높은 층위구조 순서 |
Suwon City(2022) | 신규공원과 기조성공원의 다층구조 숲 조성 예시수종 및 모식도 |
식재밀도 | Lee et al.(1998) | 서울지역 공원녹지 식재밀도의 적정성 |
Nowak et al.(2002) | 미국 도시 10개의 현장데이터와 나무 피복 데이터 기반 탄소저장량 비교 |
Park, E. J.(2009) | 도시공원의 식재밀도 높일 경우 탄소저장량도 높아짐 |
Han et al.(2014) | 공원의 식생면적당 식재밀도가 높고 관목층 발달한 군락이 탄소저장량 많음 |
식재기반 | Lee, S. Y.(2015) | 도시공원녹지 식재기반 토양평가기준 핵심측정항목, 선택측정항목 분류 |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9) | 식물뿌리환경 조성위한 토양, 배수시설, 식물생육토심, 토양개량, 토양평가 |
Kim, et al.(2020) | 스마트공원의 스마트 식재 관리방법, 스마트 식재기반 관리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