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적 접근 (positivistic approach) | 총체적 접근(holistic approach) | ||
---|---|---|---|
신문화지리학의 기호학적 관점 | 인간주의적 관점 | ||
배경철학 | 자연과학 | 구조주의, 언어(분석) 철학 | 실존철학, 현상학, 해석학 |
특징 | 환원적, 요소주의적 관점을 기반으로 하는 인과론적 관계 | 환경 의미전달의 보편적 과정과 법칙 발견 | 개별적 체험을 기반으로 한 환경 자체의 의미 해석 |
환경 연구 | 물리적 배치, 시각 구성, 가시성 | 작가에 의해 부여되고(encode), 사용자에 의해 해석되는(decode) 의미의 형식과 보편적 법칙 | 비가시적 측면 포함(사회적, 경험적, 인지적, 맥락적) 관계성, 장소(place) |
지각적 관점 | 형태 지각 원리의 실증적 분석 경관의 형식 미학적 분석 | 주체와 대상의 분리 시각․이미지 재현에 높은 가치를 둠 | 형태 지각에 ‘의미’와 관찰자의 ‘의도’ 개입 다양한 감각의 재발견 |
인지적 관점 | 환경 이미지를 물리적 요소 위주로 분석 | 경관의 재현, 문화적 이미지에 내재된 의미 분석 집단적인 기호체계와 규약을 대상으로 함 | 물리적 이미지 요소에 ‘가치, 의미, 활동’ 영향 |
체험적 관점 | 지각, 인지, 행태 포함 ‘장소’를 성립시킬 수 있는 가시적, 형태적 조건 중시 | 환경의 다중적(multichannel) 이해 관찰자의 가치나 의도 포함 | 개인의 주관적 체험이 반영된 장소 주관적, 초지각적 차원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