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장소 | 위치 | 증감 | 퍼플섬 이전 | 퍼플섬 이후 | 장소의 성격 변화 (관광 측면) |
---|---|---|---|---|---|---|
1 | 반월당 (할아버지당) | A | (0.33) | 매년 녹두 농사의 성패를 점침 죄지은 사람을 가둔다는 나무 아름다운 숲 전국 대회 공존상 | 주민들이 모여 청소 및 관리 관광객에게 방문을 추천 | 관광지점으로의 상징성 추가 지역의 이야기 장소 |
2 | 박지당 (할머니당) | B | 당제(-85년), 소풍, 정월대보름 행사 소를 묶어놓고 놀던 운동장 당 할머니께 인사하고 들어감 | 신화가 있는 독특한 장소 물리적 원형 회복 필요 관광객에게 방문을 추천 | ||
귀바위(똥바위) | (0.12) | 똥 모양의 너른 바위 놀이터 추억의 장소 | 지역의 이야기 장소 | |||
3 | 딸당 | A | (0.03) | 영험한 기운이 흐르던 곳 | ||
4 | 900년 우물 | B | (0.06) | 음력 14일에 소를 잡아 제사 지냄 | 지금도 물이 나오는 자랑스러운 우물 | |
5 | 중노두(사랑) 길 | B | 0.06 | 6시/18시는 밀물. 썰물이 시작됨 이동을 위한 길 갯벌의 형태가 재미있음 | 6시/18시는 밀물. 썰물이 시작됨 스토리텔링으로 활용 가능한 관광 요소 | |
6 | 조상궤 | B | (0.06) | 조상의 무덤, 족보 등 남긴 장소 12월에는 흙을 만지지 않고 봄을 기다려 묘장 마을의 뿌리가 되는 장소 | 마을의 뿌리가 되는 장소 관광객에게 방문을 추천 | |
7 | (구)유채밭/보리밭 | B | (0.03) | 예쁘고 볼 만한 풍경 자랑스러움 | 그리운 장소 퍼플섬 사업에 포함되면 좋았을 장소 | 자원의 상실 |
8 | 퍼플교 (구)천사의 다리 | A/B | 0.12 | 육지로 나갈 수 있게 해준 다리 | 육지로 나갈 수 있게 해준 다리 섬의 새로운 상징 | 관광지점으로의 상징성 추가 시각 이미지 강화 |
9 | 라벤더 정원 (바람의 언덕) (구)뒷전 너머 잔둥 | B | 0.21 | 해안 풍경을 조망하기 좋음 연 날리던 기억 둥근 돌이 있는 ‘호박돌 공원’ | 해안 풍경을 조망하기 좋음 박지도 관광지의 대표 장소 보랏빛의 통일된 풍경 | |
10 | 해안 산책로 | B | 0.12 | 정비되지 않은 길 | 새롭게 정비된 길 관광객에게 방문을 추천 | 시각 이미지 강화 |
11* | (구)공회당/(현)정자 | B | (0.06) | 사격장이자 축구하던 놀이터 배구대회, 노래자랑, 이장선거 구슬나무 아래서 휴식 | 주민과 관광객을 위한 휴식처 (행사 시) 마을 장터, 판매장 | (길, 공터) |
12 | (구)분교/(현)보건소 | A | (0.03) | 형, 동생이 하나의 교실 사용 오뉴월 소풍 | - | (생활공간) |
13 | 노인정, 마을회관 | A/B | 0.06 | 모임 공간, 노인의 날, 면민의 날 | (교류공간) | |
14 | 우리집(고향) | B | 0.12 | 떠나지 못하는 곳 |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마음이 편안한 곳 | (사적공간) |
15 | 나루터, 선착장 (문서구지) | B | 0.00 | 바다로 갈 수 있는 유일한 길 | 항상 바다로 나갈 수 있는 곳 | (생활공간) |
16 | (구)갯논/ (현)수변공원 | A | (0.09) | 해방 이후의 고생스러운 삶터 아버지, 젊은 시절의 일터 말린 고기를 구워 먹던 곳 | - | |
17 | (구)갈퀴 | A | (0.03) | 붕어 등 잡고 군것질 하던 곳 | ||
18 | (구)궁몰/개장터 | A | (0.03) | 홍역으로 죽은 아이, 짐승의 돌무덤 | ||
19 | 노루섬 | A | 0.00 | 세 명이 살던 섬 사방을 볼 수 있음 | 무인도 조용한 나만의 공간 | 관광지로서는 접근성 떨어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