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분위기 (공통) | 안전태도 | C1 | 빠른 시공보다 안전의 중요 | ○ | | | |
작업위험 | C2 | 조경시공의 상대적 안전 | ○ | | | |
관리몰입 | C3 | 안전을 위해 현장관리자의 중요 | ○ | | | |
작업참여 | C4 | 설계단계에서 안전 검토의 중요 | ○ | | | |
작업압박 | C5 | 설계도서에 안전 내용 적용 | ○ | | | |
교육훈련 | C6 | 설계자 안전교육 참여의 필요 | ○ | | | |
지원환경 | C7 | 안전관리비 지원의 중요 | ○ | | | |
안전행동 (조경시공자) | 공통 | B1 | 현장 내 신호수 배치 | | ○ | ○ | |
B2 | 기계와 인력의 공동작업 금지 | | ○ | ○ | |
B3 | 안전거리와 이동로 확보 | | ○ | ○ | |
B4 | 안전장비와 시설점검 | | ○ | ○ | |
B5 | 적재물 하부 작업 금지 | | ○ | ○ | |
B6 | 작업자 건강 점검 | | ○ | ○ | |
식재공 | B7 | 강풍 시 식재작업 금지 | | ○ | | |
B8 | 수목정비와 운반 시 2인 공동작업 준수 | | ○ | | |
B9 | 수목운반 전 준비운동 시행 | | ○ | | |
시설공 | B10 | 시공장비의 전도방지를 위한 지반상태 확인 | | | ○ | |
B11 | 철근 하역 시 주변 시설물 점검 | | | ○ | |
B12 | 단치지역 시공재료 적재 시 안전시설 설치 | | | ○ | |
포장공 | B13 | 포장자재 인양 시 노면 평탄화 시행 | | | ○ | |
안전행동 (조경설계자) | D1 | 안전을 위해 발주자와 협의의 중요 | | | | ○ |
D2 | 시공방법상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 제거 | | | | ○ |
D3 | 최대한 지하굴착 배제의 중요 | | | | ○ |
D4 | 위험예상지역 내 공장제작품 활용의 중요 | | | | ○ |
D5 | 시공절차가 충돌하지 않도록 조경시설간 거리 확보 | | | | ○ |
D6 | 부서지기 쉬운 자재 사용의 최소화 | | | | ○ |
D7 | 개․보수 공사 시 옹벽 등 기본구조물 존치의 중요 | | | | ○ |
D8 | 시공기술자 설계과정 참여의 중요 | | | | ○ |
D9 | 1:3 이하 경사에 조경시설과 식재 최소화의 중요 | | ○ | | |
D10 | 인력식재공간과 기계식재공간의 구역 구분의 중요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