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내용 |
---|---|
신 · 구도시 | 신도시와 구도시의 아파트 평면을 공간구문론 중 블록공간분석을 활용하여 분석. 평면 공간구조 분석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식으로 모든 건축공간은 건축공간이 속한 사회, 문화적 속성이 반영된다는 전제에서 출발해 공간에 내재된 사회 문화적 기능과 의미 위계를 정량적으로 산출해내는 방법론. |
마찌야의 유형과 | 기존에 연구된 통로형, 분리형, 연결형, 디딤형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평면 구성을 정리. 다음으로 이를 기능별로 분류하여 공간구성 다이어그램으로 작성하여 최종 정리. |
도시공간구조 | 심양성의 도시평면을 도성형태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통해 형태학적으로 연구. 도면정보를 형태요소와 주요시기별로 기초자료를 구축한 후 도면중첩을 통해 변화요소와 정도를 측정하고 문헌자료와 탐문을 통해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