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의 먹이활동과 수분활동에 대한 생태적 구조 | 꿀벌의개체수 | + | 꿀벌의수분활동 | 꿀벌의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수분활동을 할 수 있는꿀벌의 수가 많아져 수분활동량이 증가함 | Tilman et al.(1996) |
꿀벌의수분활동 | + | 꿀벌의먹이량 | 꿀벌의 수분활동이 많아질수록 수분작용을 받은 꽃의 수가 늘어나며이는 곧 개화하는 꽃의 수가 늘어나 꿀벌의 먹이량을 증가시킴 | Tilman et al.(1996) |
꿀벌의먹이량 | + | 꿀벌의개체수 | 꿀벌의 먹이량이 증가할수록 해당 공간에 방문하는꿀벌의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 | Tilman et al.(1996) |
야생벌의개체수 | + | 야생벌의수분활동 | 야생벌의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수분활동을 할 수 있는야생벌의 수가 많아져 수분활동량이 증가함 | Tilman et al.(1996) |
야생벌의수분활동 | + | 야생벌의먹이량 | 야생벌의 수분활동이 많아질수록 수분작용을 받은 꽃의 수가 늘어나며이는 곧 개화하는 꽃의 수가 늘어나 꿀벌의 먹이량을 증가시킴 | Tilman et al.(1996) |
야생벌의먹이량 | + | 야생벌의개체수 | 야생벌의 먹이량이 증가할수록 해당 공간에 방문하는야생벌의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 | Tilman et al.(1996) |
꿀벌의수분활동 | + | 도시 내 벌의총 수분량 | 꿀벌과 야생벌의 수분활동이 많아질수록도시 내 벌들이 제공해주는 수분량이 증가함 | Casanelles-Abell and Moretti(2022) |
야생벌의 수분활동 |
도시 내 벌의총 수분량 | − | 수분 가능한꽃의 수 | 도시 내 꿀벌과 야생벌이 제공해주는 수분량이 많아질수록수분할 수 있는 꽃의 수는 점차 감소함 | Casanelles-Abell and Moretti(2022) |
수분 가능한꽃의 수 | + | 꿀벌의먹이량 | 수분 가능한 꽃의 수가 점차 증가할수록 개화하는 꽃의 수량이 증가하여 꿀벌의 먹이량이 증가함 | Casanelles-Abell and Moretti(2022) |
야생벌의먹이량 | 수분 가능한 꽃의 수가 점차 증가할수록 개화하는 꽃의 수량이 증가하여 야생벌의 먹이량이 증가함 | Casanelles-Abell and Moretti(2022) |
농약사용 | + | 도시 내 꽃의 질 | 농약사용을 통해 도시 내 존재하는 꽃의 질을 향상시키고 유지시킴 | 박진(2016) |
도시 내 꽃의 질 | + | 수분 가능한꽃의 수 | 도시 내 꽃의 질이 증가할수록 고사하는 꽃의 수가 감소하며이는 곧 수분할 수 있는 꽃의 수가 점차 증가함 | 박진(2016) |
기후 변화 | + | 조기 개화율 | 기후변화로 인해 대기 온도가 점차 증가하면꽃의 개화시기에 영향을 미쳐 조기 개화율이 증가함 | 박진(2016) |
조기 개화율 | − | 수분 가능한꽃의 수 | 조기 개화율이 점차 높아질수록 꿀벌이 출현하기 전에이미 꽃이 시들어 벌들이 수분할 수 있는 꽃의 수가 점차 감소함 | 박진(2016) |
도시화 | − | 도시 내녹지면적 | 도시화가 점차 가속화될수록 도시 내 녹지면적이 감소함 | 박진(2016) |
도시 내녹지면적 | + | 수분 가능한꽃의 수 | 도시 내 녹지면적의 감소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면적의 감소로 이어지며이는 곧 벌들이 수분할 수 있는 꽃의 수 감소로 이어짐 | 박진(2016) |
벌의 생태적 구조가 도시의 생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구조 | 도시 내 꿀벌의총 수분량 | + | 도시 내꽃의 개화율 | 도시 내 꿀벌의 총수분량이 증가할수록 수분을 받는꽃의 수가 증가하므로 도시 내 존재하는 꽃의 개화율도 증가함 | Tomasi et al.(2004); Matteson et al.(2008) |
도시 내꽃의 개화율 | + | 도시 내식물 다양성 | 도시 내 꽃의 개화율이 증가하면 번식 가능 꽃의 개체수가증가하여 도시 내 식물 다양성이 향상됨 | Tomasi et al.(2004); Matteson et al.(2008) |
도시 내식물 다양성 | + | 곤충의먹이 다양성 | 도시 내 식물 다양성이 향상될수록 곤충이가용할 수 있는 먹이가 점차 다양해짐 | Tomasi et al.(2004); Matteson et al.(2008) |
+ | 곤충의서식지 다양성 | 도시 내 식물 다양성이 향상될수록 곤충이서식할 수 있는 서식지가 점차 다양해짐 | Tomasi et al.(2004); Matteson et al.(2008) |
곤충의먹이 다양성 | + | 곤충의종 다양성 | 곤충의 먹이와 서식지가 다양해지면 곤충의 서식환경이 개선되며이는 곧 곤충의 종 다양성 향상으로까지 이어짐 | Sattler et al.(2010) |
곤충의서식지 다양성 |
조류의먹이 다양성 | + | 조류의종 다양성 | 조류의 먹이와 서식지가 다양해지면 조류의 서식환경이 개선되며이는 곧 조류의 종 다양성 향상으로까지 이어짐 | Sattler et al.(2010) |
조류의서식지 다양성 |
곤충의종 다양성 | + | 도시 내 생물다양성 | 도시 내 곤충과 조류의 종 다양성 향상으로 인해 도시의 생물 다양성이 향상되는 결과로 이어짐 | Tomasi et al.(2004); Matteson et al.(2008) |
조류의종 다양성 |
도시 양봉의사회생태적 구조 | 지상 양봉 규제와옥상 양봉 정책의필요성 | + | 지상 양봉장설치량 | 지상 양봉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생겨날수록규제를 통한 도시 내 지상 양봉장에 대한 설치가 증가함 | http://www.youngnong.co.kr |
지상 양봉장설치량 | + | 인간과 벌의접촉거리 | 지상 양봉장 설치가 증가할수록 인간과 벌의 접촉거리가 가까워짐 | http://www.youngnong.co.kr |
인간과 벌의접촉거리 | + | 인간의 벌 쏘임피해 | 인간과 벌의 접촉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인간의 벌 쏘임 피해가 증가함 | http://www.youngnong.co.kr |
인간의 벌 쏘임 피해 | + | 민원량 | 벌 쏘임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피해에 대한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 | http://www.youngnong.co.kr |
지상 양봉 규제와옥상 양봉 정책의필요성 | + | 옥상 양봉설치량 | 옥상 양봉에 대한 정책이 활성화되어 제시될수록 옥상 양봉 설치가 증가함 | Nat Schouten and John Lioyd(2019) |
옥상 양봉설치량 | + | 옥상 양봉정원 | 옥상 양봉에 대한 설치량이 증가하면 기존 옥상에 조성된 옥상 정원과 옥상 양봉에 대한 설치가 융합된 옥상 양봉정원의 양이 점차 증가함 | Nat Schouten and John Lioyd(2019) |
옥상 정원 |
옥상 양봉정원 | + | 교육 프로그램의다양성 | 옥상 양봉정원이 증가하면 이를 활용한 다양한 옥상 양봉 교육 프로그램이 발생 | Nat Schouten and John Lioyd(2019) |
교육 프로그램의다양성 | + | 도시 양봉에 대한시민인식 개선 |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이 양봉에 참여하면 점차 도시 양봉의 피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감소하고 시민인식이 점차 개선 | Nat Schouten and John Lioyd(2019) |
지상 양봉장설치량 | + | 도시 양봉장설치량 | 도시 내 지상과 옥상에 양봉장 설치가 활성화되면 도시 내 도입된 양봉장의 설치량이 점차 증가함 | Mitsumori(2020) |
옥상 양봉장설치량 |
도시 양봉장설치량 | + | 꿀벌의개체수 | 도시 양봉장의 설치량이 증가하면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하여꿀벌의 개체수가 증가함 | Mitsumori(2020) |
꿀벌의개체수 | + | 꿀 생산량 | 도시 양봉으로 인한 꿀벌의 개체수 증가는 생산자의 증가로 꿀 생산량이 증가함 | Mitsumori(2020) |
꿀 생산량 | + | 양봉소득 | 꿀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판매할 수 있는 상품이 많아지고이는 곧 양봉소득의 증가로 이어짐 | Mitsumori(2020) |
양봉소득 | + | 양봉업자의경제적 지위 | 양봉업자의 양봉소득이 꿀 판매로 인해 점차 증가하면양봉업자의 경제적 지위도 점차 상승함 | Mitsumori(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