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적 | Boland(2001)Cranz and Boland(2003)김지연(2018)조용현(2000) | 생물 서식환경 제공(생물다양성)생태계 보호 및 복원생태계 조사 및 연구자연관찰과 생태체험학습 기회 제공휴식과 여가 활동 기회 제공 | 지구에 대한 총체적 비전 반영광역적인 도시와 생태적 문제 해결지속가능한 조성과 주민참여 관리도구적, 미학적 관점을 벗어난 자연관자연과 사람 사이의 새로운 관계 |
법제적 | 헌법 | 생명권, 환경권, 행복추구권, 교육권(환경학습권) 보장 | 국민의 삶의 질 향상우리 사회의 지속가능발전 |
환경정책기본법국토기본법자연환경보전법교육기본법환경교육법 | 생물다양성(종, 생태계, 유전자) 보전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미래세대에 대한 배려 및 권리 보장그린 인프라, 저비용 관리 시스템 구축자연관찰과 환경학습 기회 제공 | 녹색(생태)문명 지향지속가능한 발전생태계서비스 기능 유지자연 보전과 이용의 균형 추구환경소양 함양, 환경학습권 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