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과천 서울대공원 조절지 인근 | 강동구 명일근린공원 | 관악구 청룡산약수터 | ||
---|---|---|---|---|---|
유형 | 산지 용출지 중규모 | 산지 계곡수 중규모 | 산지 약수터 소규모 | ||
입지특성 | 해발 185m 산중 계곡 조절지 저수지, 목재데크, 등산로 등의 인접 | 해발 35m 산록 계곡 관찰데크, 야외학습장, 조경수 식재지 인접 | 해발 87m 산중 약수터 운동 및 휴게공간, 유아숲 체험장 등 인접 | ||
서식처 구조 | 구조 | 배후산림 연결성 | 조절지 저수지 사면 산림과 연결 | 산림과 계곡부 연결 | 한쪽면 산림과 연결, 급경사 |
지형 | 경사의 타원형 웅덩이 3개소 | 계곡부 완경사지, 물웅덩이 4개 | 완경사지, 원형 물웅덩기 2단 구조, 계류형 | ||
크기 | 10m × 3m, 3개소 | 40m × 3.5m | 20m × 3m | ||
면적 | 477.9m2 | 139.7m2 | 74.0m2 | ||
호안구조 | 자연석, 코이어롤, 식생 | 흙, 식생 | 흙, 자연석, 코이어롤 | ||
바닥구조 | 흙, 낙엽(퇴적) | 흙, 낙엽 | 흙, 낙엽 | ||
수환경 | 공급수원/수질 | 용출지 / 양호 | 계곡수 | 계곡수 및 청룡산약수터 | |
유입유출량/수심 | 상시 유량 풍부 / 5-15㎝ | 상시 유량 부족 / 10-60㎝ | 상시 유량 부족 / 8-25㎝ | ||
생물서식 기능 | 식물생태 | 초본: 자생초본의 원추리, 고마리,나도바랭이새, 습지식물의 노랑꽃창포, 귀화초본의 망초 목본: 재배관목 수국, 영산홍, 자생교목 오리나무 | 초본: 자생초본의 고마리, 개여뀌, 주름조개풀, 바랭이새 등 목본: 자생교목의 버드나무 | 초본: 자생초본의 주름조개풀, 비비추, 습지식물의 꽃창포, 귀화초본의 털벌꽃아제비 목본: 자생관목의 철쭉류 | |
동물생태 | 도롱뇽, 큰산개구리 산란 무당개구리, 계곡산개구리, 옴개구리 성체 | 맹꽁이(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및 큰산개구리 산란 | 도롱뇽 성체 및 산란, 큰산개구리 산란 | ||
위협 요인 | 개방성 | 목재데크 및 등산로 인접 | 주변 차폐식생 없음 | 약수터, 운동 및 휴게공간 인접 | |
도입시설 | 생태해설판, 돌무더기, 목재데크 등 | 생태해설판, 일부 구간 관찰데크 등 | 경관석, 생태해설판 등 | ||
기타 교란요인 | - | - | 실내 배드민턴장 증축 | ||
구분 | 서대문구 풍천약수터 | 용산구 효창공원 내 | 동작구 상도근린공원 | ||
유형 | 산지 약수터 중규모 | 산지 폐약수터 대규모 | 산지 상수 중규모 | ||
입지특성 | 안산 해발 160m 산중 약수터 운동 및 휴게공간, 산책로 등 인접 | 해발 45m 산록 폐약수터 목재데크. 산책로, 주택가, 도로 등 인접 | 해발 102m 산록하부 관리사무소, 등산로, 도심지 등 인접 | ||
서식처 구조 | 구조 | 배후산림 연결성 | 위쪽 운동 및 휴게공간, 아래쪽 산림 연결 | 주변 잔존산림과 연결 | 조경석 쌓기 구간 인접(단차 1.5m) |
지형 | 완경사 타원형 물웅덩이 2단 구조 | 경사지, 완경사지, 원형의 약 25개 물웅덩이 | 산록부 경사지 아래 평지 | ||
크기 | 상부 14m × 2m, 하부 15m × 2.5m | 100m × 80m(주변 시설 포함) | 18m × 7m | ||
면적 | 126.3m2 | 1,047.7m2 (생물서식공간 면적) | 128.7m2 | ||
호안구조 | 식생, 코이어롤 | 자연석, 식생 | 조경석쌓기, 코이어롤 | ||
바닥구조 | 흙, 낙엽(퇴적) | 흙, 낙엽 | 자갈깔기 | ||
수환경 | 공급수원/수질 | 풍천약수터 / 양호 | 폐약수(샘터), 과거 용출지 | 상수 / 좋음 | |
유입유출량/수심 | 양호 / 15-21㎝ | 상시 유량 부족 / 10cm | 상시 유량 풍부 / 20㎝ | ||
생물서식 기능 | 식물생태 | 초본: 자생초본의 질경이, 재배초본 비비추, 꽃창포, 노랑어리연꽃, 귀화초본 서양등골나물 목본: 자생관목의 조팝나무 | 초본: 자생초본의 고마리, 미나리, 개여뀌, 재배초본의 꽃창포, 노랑어리연꽃, 달뿌리풀 목본: 자생교목의 버드나무 | 초본: 자생초본의 이삭사초, 재배초본의 꽃창포 목본: 재배관목의 산수국 | |
동물생태 | 도롱뇽, 큰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무당개구리 등의 산란, 올챙이, 성체 등 다수 | 참개구리, 계곡산개구리 산란 두꺼비 성체 | 출현종 없음 | ||
위협 요인 | 개방성 | 생물서식공간을 관통하는 산책로 인접 | 중앙 데크 주변으로 대부분 개방 | 목재휀스, 차폐식재, 주변 등산로 인접 | |
도입시설 | 목재휀스, 생태해설판 | 목재데크 | 경관석 | ||
기타 교란요인 | - | 과도한 산책로 및 샛길 이용객 | 붕어, 미꾸라지 방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