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6. 하천 및 도심 내 공원 유형 대상지별 서식처 및 생물서식기능

구분 구로구 도림천(신도림역 인근) 송파구 장지근린공원
유형

하천 유수 소규모

도심 내 공원 약수터 중규모

입지특성

해발 5m 도림천 둔치, 하천 산책로, 신도림역 인접

산책로, 자전거 도로, 신도림역 등 인접

해발 35m의 저지대 산록부(고립된 잔존산림)

서울외곽순환도로, 주택지, 고등학교 등 인접

서식처 구조 구조 배후산림 연결성

하천둔치와 연결

서쪽 잔존산림과 연결되어 있으나, 단차 높은 계단식 호안

지형

평지, 타원형, 물웅덩이 1개소

계곡부 경사지, 타원형의 계류

크기

25m × 2m

100m × 4.5m

면적

51m2

448.8m2

호안구조

코이어롤

상부 돌쌓기 호안, 하부 흙, 나무말뚝, 코이어롤

바닥구조

흙, 일부 갈대군락 및 자연석 놓기

흙, 낙엽, 수생식물(퇴적)

수환경 공급수원/수질

하천 유수 / 일부 부영양화

장지약수터

유입유출량/수심

상시 유량 풍부 / 60cm

상시 유량 부족 / 20cm

생물서식 기능 식물생태

초본: 자생초본의 방동사니, 이삭물수세미, 재배초본의 노랑어리연꽃, 부들

초본: 자생초본의 강아지풀, 원추리, 재배초본의 노랑꽃창포, 부들, 물억새, 귀화초본의 환삼덩굴

목본: 자생관목의 갯버들, 흰말채나무

동물생태

한국산개구리 성체, 올챙이 등 다수

출현종 없음

위협 요인 개방성

하천 둔치 산책로, 자전거 도로 인접

접근이 어려움, 수관울폐가 낮아 상층이 개방

도입시설

생태해설판

나무말뚝, 돌무더기, 목교, 솟대, 생태해설판 등

기타 교란요인

생물서식공간 주변 그늘 부족, 하천변 야생조류 위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