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정영선 정원론의 요약

구분 주요 내용 설계 방법
개인적 쉼터

외부 자연과의 경계지음

건물과 정원 사이의 경계지음

경계지음은 쉼을 위한 공간 마련과 관련됨

건물에 기거하는 사람과의 관계 설정에 의해 설계 요소 도출

경계 지어지는 상황에 따라 프로그램 도입

자연 교류의 장

자연과의 감각적 교류

시각적 확장 및 계절적 감흥

정원 가꾸기 및 텃밭일의 장

의뢰인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차경, 계절 요소, 생산 공간 등 도입

사회문화적 공간

한국 정원의 사회적 의미 가미

전통과 문화로서의 조경 강조

용도에 따라 전통 요소 도입

정자의 적절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