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정영선 전통조경론의 요약

구분 주요 내용 설계 방법
차경론

대상지 내외부의 경관을 연관시킴

대상지 내부의 구성에 외부 경관이 크게 영향을 미침

차경의 본래적 의미를 구현

외부 경관을 대상지 내부로 끌어들이고 외부 경관에 개입하기도 함

외부 경관과의 관계에 따라 내부 구성을 조정함

원로론

한국 전통조경에서 보이는 경관의 시퀀스를 해석하고 구현함

경관 경험을 기승전결과 같은 이야기 흐름으로 파악함

경관을 한 번에 펼쳐놓지 않고 경관 경험의 과정에 이야기의 흐름을 도입함

건축과 조형물을 경관적 흐름에 따라 재배치함

지사론

땅 읽기를 통해 지사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고찰함

한국적 지형적 특성과 지사적 맥락을 중요하게 여김

식생의 맥락을 대상지에 연계시킴

땅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프로그램화하여 적극 활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