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 자연과 기술(태양광 발전 인프라)의 기능적 조화 | 그늘 등이 전력생산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수목과 시설물 배치 | 정원 전체 |
다기능적 공간 창출 | 전기 생산 이외에 다기능 공간을 창출하여 추가적인 경제적 가치 창출 |
장기적 지속가능성 창출 (지역 경제와의 통합) | 지속 가능한 관광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추가 수익을 모색 |
상징성과 홍보 가치 창출 | ‘탄소중립 정원도시’ 홍보 효과를 극대화하는 상징적인 이미지 창출 |
자연 환경적 | 동식물 생태계를 보존하거나 개선 | 지역 특화 수종 도입 및 서식지 조성식물의 생산 및 수급 과정에서의 지속가능성 고려 | 초화정원, 묘목장, 십자대로 |
적응성 및 회복력 | 염분 및 해풍에 적응할 수 있는 식재 환경 조성 | 묘목장 |
경관적/사회문화적 | 자연과 기술(태양광 발전 인프라)의 미적 조화 | 시설 배치 및 접근 구역 구분을 통한 패널 가시성의 확보다른 공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전망공간 | 전망대원형광장 |
‘탄소중립 정원도시’를 상징하는 공간 설계 | 도시의 독특한 정체성, 상징적 이미지 창출을 위한 랜드마크적 설계 | 원형광장, 십자대로 |
미적 가치와 경관의 감각적 경험 창출 | 오감 활용으로 풍경에 대한 긍정적인 감각적 경험 유지(또는 개선) | 초화정원, 묘목장 |
커뮤니티 참여를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촉진 | 다양한 야외 활동 및 레크리에이션이 가능한 오픈스페이스 | 이벤트 필드 (잔디공간) |
탄소중립 목표와 발전단지에 대한 교육 기능 제공 | 연계 교육장 |
휴식시설 | 생태적 휴식공간(산책로, 벤치) |
경관의 확장성 | 미래 도시계획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공간 설계 | 정원 전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