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시설물공사에 부대토목공사의 예시를 포괄적으로 흡수 | 8 |
유지관리에 대한 세부적인 기술 필요 | 4 |
조경의 광의 의미는 환경, 생태에서 떨어질 수 없는 내용으로 조경수목이라는 한정적 범위에서 탈피하여 산림분야에서도 진출할 수 있도록 개선 요청. 조림공사업 | 2 |
조경공사업 업무내용에 생태, 생태복원, 벽면녹화 등의 업무 추가 | 2 |
제도적 원가 산정 | 2 |
식재기반공사에 대한 제도적 원가 산정 필요 | 2 |
조경공사업으로 단일화하되 종합은 대단위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와 복합공종인 경우로 구분 | 2 |
현행 유지 | 2 |
식재지 관수시설 | 2 |
시설물, 벽면녹화, 옥상녹화, 친환경포장, 우수저류, 미세먼지저감형 녹화, 비점오염관련 시설물 설치 | 2 |
조경공사업의 경우는 유지관리 업무를 추가해야 하며, 생태공원이 아닌 도시 녹지가 예시가 되어야 함. 조경시설물 설치공사업의 경우 조경석, 인조목 등이 아닌 놀이시설물이 추가되어야 하며, 인조목대신 조경구조물리 예시로 추가되어야 함. | 1 |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도 유지관리공사를 명기 | 1 |
조경시설물 설치공사업 중 체육시설 유지 보수, 관리 추가 | 1 |
조경시설물 실시공사에서 놀이시설물은 따로 구분 필요(안전기준이 있는 만큼) | 1 |
조경시설물 사업의 등산로 조성 및 보수 등 산림청 사업에 입찰, 작가 개방이 필요함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