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선행연구 검토 결과 종합

연도 정책/학술 연구과제명 출간처 연구 목적 및 내용
2022(이동규, 고인규) 초등학교 학교 정원 설계에 관한 연구 실과교육연구 - 학교 정원 개념과 가치 검토 및 옥외공간의 시설 구분과 사례로서의 적용 연구
2020(한국토지주택공사) 아동 놀이 행태를 고려한 도시공간 조성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 놀이의 관점에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비전의 수립을 목표로 도시권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친화 계획 수립에 집중
2018(이윤서 등) 미래교육에 대응하는 학교시설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 미래사회 핵심역량 효과성 향상을 위해 최적화된 미래교육운영과 연계하여 학교시설 구성요소, 가이드라인, 모델을 도출목적의 연구임
2017(김은영 등) 미래학교 설립 운영 모델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4차산업혁명 등 기술혁신에 따른 미래교육환경과 미래학교모델발굴을 위한 미래학교 설립운영관련 기초연구임
2012(이아롬 등) 학교숲조성이 중학생의 학교조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학교숲을 야외 환경교육시 교육 및 휴식의 장소로 기대하고 있음을 확인함
2012(박상선) 교육과정과 연계한 초등학교 조경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 초등학교의 학교조경 시설과 식재현황을 2007 개정교육과정과 연계성을 검토하고,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교육적 환경 제공을 위한 학교 조경 개선을 위한 모델을 제안함
2011(계보경 등)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변화패러다임의핵심요인을 밝힘으로써 미래학교 방향과 모델을 제시하고 정책화를 통한 교육선진화 실현을 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짐- 5가지 미래학교 모델 도출, 교육측면과 건축설계측면으로 구분하여 미래학교모습 가시화함
2011(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학교 디자인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래학교 설계원칙과 공간별 세부 가이드라인을 제시함
2010(허윤선, 임승빈) 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 실제 이용자인 어린이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요구를 담아내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의 도출과 적용 과정 도출과 제안
2009(국지하) 초등학교 조경공간 현황 및 구성원의 환경의식 분석 건국대 석사논문 - 학교 숲 가꾸기 운동에 참여한 학교(시범학교)와 참여하지 않은 학교(일반학교)의 학교조경 및 구성원의 환경의식을 비교 분석함
2007(허윤선, 임승빈) 아동의 상상화를 통해 본 초등학교 외부 공간 계획 요소 도출 한국조경학회지 - 수도권 초등학교 대상으로 교실과 학교 건물을 제외한 학교 옥외공간에 대한 공간계획 요소 도출
2001(이영민) 환경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조경계획에 관한 연구 동아대 석사논문 - 학습원이나 교재원 등의 교육적 공간 조성보다 학교건물의 외부공간 전체가 환경교육적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학교조경의 설계가 필요함을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