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이동규, 고인규) | 초등학교 학교 정원 설계에 관한 연구 | 실과교육연구 | - 학교 정원 개념과 가치 검토 및 옥외공간의 시설 구분과 사례로서의 적용 연구 |
2020(한국토지주택공사) | 아동 놀이 행태를 고려한 도시공간 조성방안 연구 | 한국토지주택공사 | - 놀이의 관점에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비전의 수립을 목표로 도시권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친화 계획 수립에 집중 |
2018(이윤서 등) | 미래교육에 대응하는 학교시설 개선방안 | 한국교육개발원 | - 미래사회 핵심역량 효과성 향상을 위해 최적화된 미래교육운영과 연계하여 학교시설 구성요소, 가이드라인, 모델을 도출목적의 연구임 |
2017(김은영 등) | 미래학교 설립 운영 모델연구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4차산업혁명 등 기술혁신에 따른 미래교육환경과 미래학교모델발굴을 위한 미래학교 설립운영관련 기초연구임 |
2012(이아롬 등) | 학교숲조성이 중학생의 학교조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학교숲을 야외 환경교육시 교육 및 휴식의 장소로 기대하고 있음을 확인함 |
2012(박상선) | 교육과정과 연계한 초등학교 조경모델에 관한 연구 |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 - 초등학교의 학교조경 시설과 식재현황을 2007 개정교육과정과 연계성을 검토하고,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교육적 환경 제공을 위한 학교 조경 개선을 위한 모델을 제안함 |
2011(계보경 등) |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변화패러다임의핵심요인을 밝힘으로써 미래학교 방향과 모델을 제시하고 정책화를 통한 교육선진화 실현을 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짐- 5가지 미래학교 모델 도출, 교육측면과 건축설계측면으로 구분하여 미래학교모습 가시화함 |
2011(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래학교 디자인 가이드라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미래학교 설계원칙과 공간별 세부 가이드라인을 제시함 |
2010(허윤선, 임승빈) | 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 - 실제 이용자인 어린이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요구를 담아내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의 도출과 적용 과정 도출과 제안 |
2009(국지하) | 초등학교 조경공간 현황 및 구성원의 환경의식 분석 | 건국대 석사논문 | - 학교 숲 가꾸기 운동에 참여한 학교(시범학교)와 참여하지 않은 학교(일반학교)의 학교조경 및 구성원의 환경의식을 비교 분석함 |
2007(허윤선, 임승빈) | 아동의 상상화를 통해 본 초등학교 외부 공간 계획 요소 도출 | 한국조경학회지 | - 수도권 초등학교 대상으로 교실과 학교 건물을 제외한 학교 옥외공간에 대한 공간계획 요소 도출 |
2001(이영민) | 환경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조경계획에 관한 연구 | 동아대 석사논문 | - 학습원이나 교재원 등의 교육적 공간 조성보다 학교건물의 외부공간 전체가 환경교육적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학교조경의 설계가 필요함을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