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학교옥외공간 계획설계 가이드라인 예시

구분 계획설계 방향
학교별 학교옥외공간 종합계획(Master Plan) - 비전 및 목표, 내용 등 사전 설정- 전문가, 학교 주체 등 참여디자인 원칙으로 진행- 계별 실행에 기반한 계획 수립 원칙- 학교옥외공간의 기능별 위계 설정- 아이들과 교사, 참여 학부모, 지역사회 연계 등에 따른 옥외활동 안전 담보- 유지관리 계획 사전 수립 및 관련 체계 정립
보행공간(이동기능) 진입공간 - 이용이 집중되는 경향을 고려하고 차량과의 간섭을 최소화 할 것- 차량동선의 분리 및 차량 접근의 최소화, 속도 저감설계 도입- 교육 간 이동에 불편함 제거, 안전한 이동 담보
보행로 및 차로
이동로
교육공간(교육활동) 야외학습공간 - 교육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위치 선정 및 옥외환경 조성- 집중 교육이 가능하도록 시설 요소 강화- 활용 프로그램을 교과/비교과등의 체계로 구분하여 운영계획 수립
놀이공간
운동공간
교류/체험공간
복합공간
휴게공간 및기타 공간(기타서비스) 휴게공간 - 옥외활동 중 정적 활동을 집중적으로 지원- 셉티드기법을 고려하고 계절감, 공감각 등의 감각적 요소가 두드러지도록 설계- 옥외시설물의 통합적 도입과 유지관리로 경관적 안정감 우선시
녹지공간 및 경계경관
주차공간
서비스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