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탄소중립 평가 항목에 대한 1차 검증 결과(FGI 분석)
분 야
토지이용
교통 및 동선
에너지
재료 및 자원
물순환 관리
항 목
기존의 생태환경 보존
절성토 최소화
토시텃밭 조성
대중교통 접근성
자전거이용 접근성
도보 접근성
자전거 관련 시설 도입
공원내 보행자 중심
주차장 녹화
친환경 교통수단 지원시설
신재생에너지 이용
신재생에너지 활용 시설물
고효율 기기 활용 비율
친환경 등 자재 사용
재활용 자재 사용
지역자재 사용
재활용․폐기물 보관시설
자연재료 시설물 사용
LID 기법 도입
오수 및 중수 재이용
투수포장재 사용
분 야
생태환경
식재기법
식재기반
인공녹화
교육 및 참여
항 목
녹지체계 연결
비오톱 조성
탄소저장 및 흡수량이 높은 수종 식재
유기질 비료 적용
다층구조 식재
저관리형 지피류 식재
표토 재활용
멀칭
토양 내 탄소흡수량 증가재료 사용
옥상녹화
벽면녹화
지붕녹화
탄소중립 교육프로그램 제공
커뮤니티 참여프로그램 운영
탄소중립 관련정보 게시 및 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