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탄소저장량 산출을 위한 자료 비교

활용자료 특 징 검토의견
도시생태현황지도

교목, 아교목, 관목 등 층위별 상세 식생조사

시 단위 5년마다 작성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탄소저장량 산출 가능

임목축적, 국가산림자원조사

흉고직경 6cm 이상 수목만 식생조사

우리나라 산림 탄소저장량 산출 활용

전국 4,500개소 표본지 순환조사

산림의 탄소저장량 과소 평가

표본지가 적어 정확한 산림식생현황 반영 어려움

환경공간정보(생태자연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등)

대면적의 탄소저장량 산출 가능

정확도는 낮음(현장조사 필요)

산출결과 신뢰도 낮고 변동성 큼

직접 수확법

수목 개별 산출로 정확도 높음

대면적 산출 시 현실 적용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