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용인시 수지구 산림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 및 비율
유형 | 현존식생 유형 | 면적(m2) | 비율(%) | 유형 | 현존식생 유형 | 면적(m2) | 비율(%) |
1 | 신갈나무 | 4,851,899.4 | 23.822 | 12 | 굴참나무-졸참나무 | 337,565.8 | 1.657 |
2 | 리기다소나무 | 2,409,534.3 | 11.831 | 13 | 신갈나무-졸참나무 | 320,713.9 | 1.575 |
3 | 상수리나무 | 1,236,800.5 | 6.073 | 14 | 무입목지 | 305,629.8 | 1.501 |
4 | 졸참나무 | 1,133,760.7 | 5.567 | 15 | 소나무-신갈나무 | 288,732.6 | 1.418 |
5 | 굴참나무 | 1,102,516.8 | 5.413 | 16 | 상수리나무-졸참나무 | 264,660.8 | 1.299 |
6 | 일본잎갈나무 | 759,200.4 | 3.728 | 17 | 졸참나무-밤나무 | 263,140.0 | 1.292 |
7 | 굴참나무-신갈나무 | 532,259.3 | 2.613 | 18 | 소나무 | 259,409.9 | 1.274 |
8 | 밤나무 | 472,112.7 | 2.318 | 19 | 굴참나무-상수리나무 | 219,360.7 | 1.077 |
9 | 신갈나무-굴참나무 | 445,332.7 | 2.187 | 20 | 신갈나무-밤나무 | 215,266.1 | 1.057 |
10 | 졸참나무-신갈나무 | 372,512.0 | 1.829 | 21 | 기타(소규모 분포) | 4,217,979.9 | 20.709 |
11 | 졸참나무-굴참나무 | 358,501.5 | 1.760 | | 계 | 20,366,889.8 | 1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