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국내 정원도시 관련 프로젝트 사례의 주요 내용 및 쟁점

주요 관점 지자체 사례 주요 내용 및 쟁점
시민 공동체 형성 대전광역시 관저동 생활정원 조성사업(2022)

산림청과 한국수목정원관리원이 추진하는 생활정원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생활권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다양한 녹색생활공간 조성 추진

주민 참여 저조, 주민 의견 수렴 및 반영 부족, 자발적 주민 참여 및 지자체와 민간단체 간 협력 필요

경기도 마을정원 조성사업(2017-)

정원과 꽃을 활용해 마을공동체가 자발적으로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이웃 간의 연결성을 강화하여 공동체 문화 재생 및 정원 문화 확산 추구

정원과 꽃을 매체(medium)로 한 마을공동체 활성화, 자발적 주민 참여를 통한 지속 가능성 확보

순천시 저전동 정원마을 도시재생사업(2018-2022)

정원을 중심으로 노후 환경을 개선해 도시에 활력을 부여하고 공동체 회복과 경관 개선을 꾀함

정원 문화를 활용한 공동체 회복과 경관 개선, 자발적 주민 참여를 독려해 커뮤니티 강화에 기여

세종특별자치시 중촌동 가재마을 정원관리단(2024-)

종촌동 마을계획사업의 일환으로 주민과 함께 마을 정원을 조성, 관리, 교육하며 정원도시 활성화 추진

정원관리 관련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주민 참여 유도 및 정원 문화 확산

수원특례시 손바닥 정원(2022-)

유휴 부지 및 자투리 땅을 활용한 도심 속 정원 확충 프로젝트로 일상 속 정원 문화 표방

관리 인력 부재에 따른 문제점 노출, 초화류 중심의 녹화, 지자체와 민간단체 간 협력 체계 구축 필요

전주시 천만그루 정원친구들(2021-2022)

도심 정원에 식재된 다양한 식물을 계절별로 관리하는 정원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정원문화 교육 및 확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정원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 참여 유도와 공동체 활성화

대구광역시 2022 제1기 대구시 시민정원사 교육과정(2022)

식물과 정원에 관한 관심을 고취하고 식물 가꾸기를 통한 봉사 활성화, 정원 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역정원 관리를 위한 정원사 양성

자발적 주민 참여 독려와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지역의 정원 문화 확산

생태 친화적 도시 체계 조성
서울특별시 서울초록길 사업(2023-)

단절된 녹지를 연결하고 정비하는 그린 인프라 조성 프로젝트로 시민들의 자연녹지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함

서울 전역의 숲․공원․정원․녹지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 지역 간 녹지 불균형 해결, 도심과 녹지의 연계

매력가든․동행가든(2024-)

일상에서 자연을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정원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로 정원을 활용한 라이프스타일의 혁신을 꾀함

입지․유형에 따른 다양한 녹지 형태 탐구, 산․한강 등 자연과 어울리는 수종 선정 및 식재를 통한 도심과 녹지의 유기적 연계 도모

광명시 정원문화도시 사업(2023-)

구도심과 신도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특색있는 정원 조성 및 둘레길, 띠녹지 등 다양한 형태의 녹지를 활용한 정원도시 조성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원 등 다양한 형태의 녹지를 통해 구도심과 신도심의 통합적 그린 인프라 계획

순천시 조곡동․덕연동 행정복지센터 벽면녹화 사업(2020)

건축물 녹화 활성화에 대한 시민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공공건축물 벽면녹화 시범사업

열섬현상과 미세먼지 저감 및 생태적 지속 가능성 확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조례 등 자치법규 개정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국가정원 조성사업(2017-)

서귀포시 물영아리 오름 일대를 기반으로 제주만의 독특한 정취를 느낄 수 있는 힐링 문화 공간 조성 추진

시설면적 및 부지선정에 따른 환경훼손 우려

전라남도 전라남도 정원 진흥 기본계획(2018)

정원 인프라 확충과 일상 속 정원 문화 확산 및 정원 산업 육성 방안 제시

순천만 국가정원을 중심으로 지방정원, 민간정원 등을 연계하여 다학제적 접근으로 융복합 정원 인프라 구축

대전광역시 제1차 대전시 정원진흥 실시계획(2024-2028)

정원 인프라 확충을 위해 정원 문화와 산업 육성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공공정원 및 민간 정원 발굴

산림․녹지․하천 등 지역 거점을 활용한 녹지와 도심의 유기적 연계, 자치구별 거점정원 조성, 정원박람회 등을 통한 정원문화 확산

춘천시 호수지방정원 조성사업(2024-)

의암호 일대를 육상과 호수, 습지 등 테마별 정원으로 조성하여 생태 친화적 정원 조성을 꾀함

상중도 내 다양한 동․식물을 보존하여 생태적 지속 가능성 확보 노력

광주광역시 깨끗하고 아름다운 광주 만들기 사업(2022)

노후시설․도로 등의 환경 정비 및 깨끗하고 아름다운 도시공간을 조성하여 시민 삶의 질 및 도시경쟁력 제고

공원, 하천, 강, 도로 등 도시 인프라의 통합적 정비, 광주광역시와 자치구, 민간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공동체 활성화

도시 정체성 구축 경상남도 제1회 경상남도 정원산업박람회(2023)

한․아세안 국가정원 홍보 및 정원소재 활용 프로그램 등을 통한 정원 문화 확산,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원확충 및 정원 문화 활성화 추진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지역 홍보, 정원박람회 개최를 통한 지역 활성화

부산광역시 2023 부산정원박람회(2023)

다대포, 몰운대를 배경으로 정원 문화 확산과 정원 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함

지역 특성을 반영한 자치구 정원 디자인, 다양한 정원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여 참여 업체와 관람객의 소통

경주시 서라벌 황금정원 프로젝트(2022-)

도심지를 중심으로 도시 전체에 아름다운 꽃정원과 꽃거리를 조성하는 사업

신라달밤 황금조명 갤러리 조성을 통한 지역적 특성 반영에 따른 차별성 확보, 초화류 중심의 녹화

울산광역시 큰평화 태화강 국가정원 프로젝트(2020-)

국가정원 구역을 확장하고 시설 인프라를 확충하며 생활 속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하천구역의 입지적 한계 극복, 수익 모델을 구현을 목표로 한 프로젝트

정원과 공원의 혼재 발생, 국가정원을 중심으로 한 랜드마크 구상 및 생활 공간 내 다양한 정원 보급

해남군 햇빛정원도시 솔라시도(2021-)

지역 자연경관을 중심으로 그린 네트워크를 조성하면서 자연경관과 도시 구조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프로젝트

정원, 에너지,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 자연환경을 존중하면서 지역 특수성을 기반으로 한 테마 정원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