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경관미학과 생태학적 미학 인식차이 분류
경관미학(Scenic aesthetics) | 생태학적 미학(Ecological aesthㄴetics) |
인간 작용 (Human) |
직접적/정서적/감정적 | 중재/인지/지식기반 |
자극-반응/한순간 | 경험적/시간-공간 차원 |
시각적 | 다감각적/움직임 |
선호 | 감상 |
풍경(Landscape) |
시각적/정적/무생물 | 다중 양식적/역동적/생물적/덧없는 |
그림 같은/형식적/구성된/겉보기 | 토속적/상징적/지표 종 |
제한된/고정된/틀에 갇힌/특정 장소 | 주변의/전체 풍경/환경 |
자연주의적/극적/생생한/경치 좋은 | 자연적/미묘한/쉽게 식별되지 않는/경치 나쁜 |
정돈된/풍경 | 혼란스러운/생태학적 과정 |
상호작용 (Interactions) |
지각적 | 경험적 |
수동적/객체 지향적 | 능동적/참여적/상호작용하는/몰입하는 |
주어진 대로 받아들임 | 대화를 불러일으킴 |
외부의/분리된 관찰자 | 내부의/완전한 몰입 |
결과(Outcomes) |
즐거움 | 이해와 즐거움 |
단기적인/기분 변화 | 장기적인/회복력 있는/장소감 있는 |
설명적/선호됨 | 규범적/윤리적/바람직한 |
현 상태 | 내적 및 외적 변화를 위한 촉매 |
출처 : Gobster(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