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세월호 참사 치유적 장소 사회적 맥락 분석

구분 치유적 장소 지역 물리적 장소 공 간 관련된 사람들 행위자 사람들이 행하는 행 동 표현되는 정서 감 정 상황 발생 시점 시 간 보여주려는 노력 목 적
1 팽목항 팽목기억공간 진도 영안실, 하늘우체통 빨간등대, 기억의 벽 유가족, 정부 고통 속 신원 확인 장소기억 지키기 절규와 눈물 `15년 이후 현재 사고 수습 희생자 위로
2 동거차도 선체 침몰 해역 진실호 유가족, 마을주민 참사 현장 가슴아픈 기억 기억과 추모 `15년~`18년 현장의 장소성 경각심 부여
3 세월호 기억의 숲 은행나무, 기억의벽 유가족, 오드리햅번 후원 공간 조성 공감 마음 나눔 `15년 이후 현재 함께하는 연대 의식
4 단원고 운동장과 정문 안산 촛불 기도 장소 운동장 및 정문 함께하는 시민 오바마 대통령 머물며 기다림 메시지 남기기 고통과 절규 슬픔과 위로 `14년 4월 직후 무사 귀환 염원
5 단원고 기억교실 4.16민주시민교육원 10개반+교무실 안산교육지원청 유가족, 재학생부모 교육전담기관 일상적 장소기억 보존과 반대 간절한 바람 학습권 보장요구 `14년 4월 직후 기억을 통한 사회적 가치확산
6 정부합동분향소 올림픽기념관 화랑유원지 주차장 위로하는 시민 현장방문 유가족 만남 공감과 연민 기억하는 다짐 `14년~`18년 삶과 죽음 공존
8 고잔동 소중한 생명길 등굣길, 산책로 마을정원, 원고잔공원 고잔동 주민 지역거주 NGO 자발적 주민참여활동 미래지향적 기대와 희망 `15년 이후 현재 상징적 마을 자산화
9 화랑유원지 정원박람회 작가정원, 아이들정원 조경가(전문가, 청년) 기억공간 구현 대중적 공감대마련 `17년 이후 현재 세월호 가치확산
11 4.16생명안전공원 화랑유원지 남측 유가족, 정부 250명 안식처 간절한 바람 `24년 조성예정 도심형 추모공간
13 4.16생명기념관 목포 목포신항 유가족, 정부 선체활용 공간 조성 결의와 다짐 `19년 이후 현재 기억과추모 완결
14 세월호 광장 서울 천막 농성장 기억과 빛 기억관 유가족, 서울시 농성장 조성철거 기억공간 의미화산 결의와 다짐 `14년~`21년 세월호 참사 상징적 부여
15 제주기억관 제주 제주기억공간 유가족, NGO 후원 공간 조성 용기와 희망 `19년 이후 현재 아이들의 꿈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