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챗지피티가 설정한 설계안 평가 기준

평가 기준(100) 중요 평가 요소 평가 항목 근거 자료
공공성 & 개방성 (20) 접근성 (5) 보행자, 자전거, 대중교통 이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인가?주변 도로와 광장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가? Project for Public Spaces (PPS), What Makes a Great Public Space?, UN-Habitat, Global Public Space Toolkit
공간의 개방성 (5) 광장이 열린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방적이며 시각적으로 막힘이 없는가?특정 시설이나 구조물로 인해 공간이 지나치게 폐쇄되지 않았는가?
이용자 친화성 (5) 다양한 연령층과 이용자(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포함)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가?충분한 휴식 공간(벤치, 그늘 등)과 편의시설(화장실, 음수대 등)이 마련되어 있는가?
다목적 활용성 (5) 개인 휴식, 커뮤니티 모임, 소규모 행사, 대규모 집회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광장의 레이아웃이 유연하여 변화하는 도시 활동에 대응할 수 있는가?
디자인 창의성 (20) 공간 구성의 독창성 (10) 기존의 전형적인 광장 설계와 차별화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적용되었는가?공간 배치와 형태가 독창적이며, 새로운 도시 경험을 제공하는가? Carmona, M. (2021), Public Places Urban Spaces: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Kevin Lynch (1960), The Image of the City
조형미 및 시각적 임팩트 (5) 디자인이 시각적으로 매력적이며,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독자적인 미적 가치를 가지는가? 광장의 주요 요소(포장 패턴, 조형물, 수경 시설 등)가 예술적이면서 기능적으로도 효과적인가?
미래지향적 설계 (5) 변화하는 도시 환경과 기술 발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한 설계인가?광장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확장성과 변화 가능성을 고려했는가?
도시 맥락 & 조화 (15) 주변 환경과의 조화 (5점) 광장이 주변 건물, 도로, 공원 등의 도시 조직과 조화를 이루는가?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며, 기존 도시 구조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가? Jan Gehl (2011), Cities for People, Lynch, K. (1981), A Theory of Good City Form
역사·문화적 요소 반영 (5) 지역의 역사적 맥락이나 문화적 요소를 고려한 설계인가?기존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존중하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을 가미했는가?
기능적 연계성 (5) 광장이 인근 건물(상업시설, 공공건물 등) 및 교통 시스템과 효율적으로 연결되는가?낮과 밤, 평일과 주말 등 다양한 시간대에서 유기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
친환경 & 지속가능성 (15) 녹지 및 생태환경 고려 (5) 충분한 녹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미기후 조절에 기여하는가?식재 계획이 지속 가능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가? LEED for Neighborhood Development (LEED-ND), EU green public procurement criteria for public space maintenance (ENCPE)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 재료 활용 (5) 태양광, 빗물 재활용 등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이 적용되었는가?지역에서 생산된 재료 또는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자재가 사용되었는가?
폭염 및 기후변화 대응 (5) 여름철 도시 열섬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설계(그늘, 수공간 등)가 포함되었는가?홍수, 강우, 대기오염 등 기후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계획이 반영되었는가?
실현 가능성 (15) 건설 가능성 (5)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한 설계인가?시공 기술적으로 무리가 없으며, 예산 대비 효율성이 높은가? Christopher Alexander et al.(1977), A Pattern Languag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IFLA) Guidelines
유지보수 및 운영 용이성 (5)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와 재료가 사용되었는가?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지 않도록 실용적인 설계가 적용되었는가?
경제적 지속 가능성 (5) 운영 및 유지비용이 과도하게 높지 않은가?공공 재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예산 계획이 반영되었는가?
사회적 기능 & 활용성 (15) 다양한 사용자층 수용 (5) 시민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되었는가?연령, 신체적 능력, 문화적 배경에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인가? William H. Whyte (1980), The Social Life of Small Urban Spaces, CABE (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 UK)
프로그램 및 이벤트 가능성 (5) 정적인 공간(벤치, 정원)과 동적인 공간(퍼포먼스 공간, 운동 공간)이 균형 있게 배치되었는가? 계절별, 시간대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도록 계획되었는가?
지역사회 기여도 (5) 지역 경제와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가? 인근 지역 주민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