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특성 | 주안점 |
---|---|---|
공간 활용기법 | 개방성, 친수성, 접근성 | 대상지 및 수변으로의 물리적 접근 및 시각적 개방성 조망권의 부여, 물리적 개방성 주변 경관 조망권의 부여 |
역사성, 상징성, 장소성 | 대상(지)의 역사적 정체성을 공간에 어떻게 표현했는가 수변공간에서 시작한 도시발전의 역사성/상징성을 어떻게 표현했는가 | |
환경성, 생태성, 경관성 | 수질과 환경 보호를 위한 기법 자연성, 개방성, 정숙성 등으로 주민의 삶에 쾌적함을 제공 방법 | |
콘텐츠 | 전시, 공연, 축제, 교육 | 대상(지)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콘텐츠 수질과 환경 보호를 위한 프로그램 주민의 삶에 쾌적함을 제공하는 콘텐츠 |
운영관리 | 파트너쉽 |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십 방법 다양한 분야의 참여 방법 |
지속 가능 방안 |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지속 가능 방안 갈등 완화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