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특성 | 리틀 아일랜드 | 피어 26 | 도미노 파크 |
---|---|---|---|---|
공간 활용 기법 | 개방성, 친수성, 접근성 | 지형의 높이 조절을 통한 시야 확보 및 수변 접근성 강화 | 물리적 설치(켄틸레버 데크, 계단)를 통한 수변 접근성 강화 시야 확보(투명하고 낮은 구조물 설치) 수상 스포츠 구역 조성 | 지하고가 높은 수목 식재 강을 향한 휴게 시설 배치 투명하고 낮은 구조물 설치 |
역사성, 상징성, 장소성 | 존치와 병치(기존 말뚝의 존치와 신규 구조물의 조성) 강물 형상을 모티브로 한 상징적 구조물 과거와 현재 경관의 시각적 중첩 | 과거 대상지의 연상(부두의 방향성 및 조망점 유지) 과거 식생 환경 재현 해양 생태계 연상 디자인 | 기존 구조물의 존치 기존 구조물의 체험 장치로의 활용 연상 기법(생산 과정을 연상하는 놀이터, 공장을 연상하는 안개 분사) | |
환경성, 생태성, 경관성 | 친환경적 배수 시스템 화학물질 사용을 최소화한 관리 지형 조작을 통한 안락한 공간 마련 | 염습지 조성 친환경 및 내구성 소재 사용 경량골재(Geofrom)사용 강바람 차단과 안락함 제공(벽 설치) Tide Deck로 해수면 높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 친환경 포장재(다공성) 사용 기존 재료의 재활용 홍수위를 고려한 설계 토착 식물 사용 | |
콘텐츠 | 전시,공연, 축제,교육 |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전 연령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 공원 디자인 관련 투어 | 환경생태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과학 놀이터 조성 수상 스포츠 제공 | 문화예술 축제 주민참여형 프로그램 음식물 재활용(Composting Drop-Off) 프로그램 운영 |
운영 관리 | 파트너쉽 | 민간(Diller-von Furstenberg Family Foundation) - 공공(허드슨 리버 파크 트러스트) 파트너쉽 주요 재원(민간 재단)-운영관리(공공) | 공공(허드슨 리버 파크 트러스트)의 운영관리 | 민간(Two Trees Management) - 공공(뉴욕시) 파트너쉽 부지 제공, 개발 및 운영관리(민간 기업)-주변 개발을 위한 용도 변경 인센티브 제공(공공) |
지속 가능 방안 | 개인 자금 투입으로 인한 과도한 개발 우려에 따른 개발 중단 소송 발생하여 공공의 환경 보호 정책 강화 및 친환경적 관리 방안을 마련함 장기적인 자금 확보 (20년간 배리딜러 재단의 지원 약정) | 생태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을 통한 수변 생태 관리 및 지역 사회와의 소통 레스토랑 및 해양 스포츠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재정 마련 | 젠트리피케이션 완화 전략으로서 사유지의 공원화 카페 및 레스토랑 운영 공원 내 일자리 창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