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유산 | 물리적 구조물 | 채굴 시설 | 채굴갱도, 채석장, 광산구덩이, 운반 터널 |
광산 처리 시설 | 제련소, 광석 세척 및 분리 시설, 광석 저장소 |
기타 구조물 | 굴뚝, 환기구 및 환기탑 |
산업 기반 시설 | 운송 시설 | 철도, 운하, 운반 벨트 및 와이어 시스템, 항구 및 부두 |
기계 장비 | 광산 엘리베이터, 채굴 장비, 운반 차량 |
도시 및 사회 기반 시설 | 주거 및 생활 시설 | 노동자 주거지, 병원 및 보건소, 상점 및 시장 |
교육 및 문화 시설 | 학교, 종교 시설, 공동체 센터 |
공공 서비스 시설 | 행정 건물, 수도 및 하수 처리 시설 |
자연 및 환경적 요소 | 자연 지형 | 변형된 산악 지형, 폐석 언덕, 침식된 지역 |
수질 관련 요소 | 오염된 하천 및 호수, 광산 배수구 |
복원된 생태계 | 복원된 숲, 새롭게 형성된 생물 다양성 지역 |
역사적․문화적 요소 | 기념비적 유산 | 광산업 관련 동상 및 기념물, 역사적 건물 |
문서와 기록물 | 작업 일지 및 설계 도면, 산업 관련 기록물 |
공동체 기억 | 광부와 가족들의 구전 이야기, 지역 축제 및 관습 |
추모 시설 | 위령제 및 위패 봉안 장소 |
관람 및 관광 관련 요소 | 박물관 및 체험 시설 | 광산 박물관, 체험형 채굴장, 전시 센터 |
관광 인프라 | 관람 경로 및 전망대, 방문객 센터, 체험 프로그램 |
▼ |
광산유산의 문화경관적 특징 |
1. 자연 지형의 변형과 구조물의 도입 | 2. 산업 기반 시설과 도시의 형성 | 3. 광업 활동에 의한 환경적 변화 | 4. 지역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정체성 형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