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위 | 유형 | 개선방안 |
---|---|---|
1 | 관광편의시설 | 안내, 청결, 유지관리 등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해안 염분과 조망 조건을 고려한 내염성 자재 및 모듈형 쉼터를 도입하여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
2 | 운영 및 지원 | 해안산책로, 공원 등 지역 주요 자원을 중심으로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소규모 운영 협의체를 구성하고 한정된 공간에서 시범 운영을 실시하여 현장 중심의 관리 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 |
3 | 경관사업 | 해안 일부 구간을 경관 실험 구간으로 설정하여 해풍․시간대 변화에 반응하는 동적 콘텐츠와 식재 디자인 등을 순환 적용하고 이용자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의 적용이 요구됨 |
4 | 기반시설 | 주차장은 지역의 대체 가능한 공간 자원을 연계하여 분산형 이용을 유도하고 보행길은 포장재 통일, 조명 설치, 단차 해소 등을 통해 안전성과 경관 연속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