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rticle

근거이론을 활용한 설계자의 경의선숲길공원 사후평가 - 연남동 구간을 중심으로 -

김은영*, 홍윤순**
Eun-Young Kim*, Youn-Soon Hong**
*한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Master of Arts,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Youn-Soon Hong, Professor,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17579, Korea, Tel.: +82-31-670-5216, E-mail: yshong@hknu.ac.kr

© Copyright 2019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Received: Mar 06, 2019; Revised: May 27, 2019; Accepted: May 27, 2019

Published Online: Jun 30, 2019

국문초록

본 연구는 2016년 완공된 경의선숲길공원 중 보완설계를 통해 준공된 연남동 구간의 설계에 중추적으로 참여한 설계자의 심층인터뷰 내용을 근거이론을 통해 해석한 내용이다. 이 대상 환경은 국내외의 많은 수상실적을 보유하며, 실제 이용객으로부터도 매우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는 공원이다. 연구방법론인 근거이론방법론의 개방코딩을 통해 53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합한 34개의 상위범주와 이를 재통합한 18개 차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후 축코딩 단계에서는 근거이론의 여섯 항목의 패러다임 상에서 해석하였는데, 도출된 결과들 중 공원조성에 가장 큰 긍정적 영향을 준 범주로 ‘발주처의 의지’와 ‘업무효율성’, ‘현장 관계자의 조경 전문성’, ‘조경디자인 감리’의 측면이, 부정적 영향을 준 범주로 ‘현장자원’, ‘외부 영향력의 작용’의 측면이 각각 도출되었다. 종합할 때, 본 공원 조성의 핵심범주는 “적극적 공감과 소통으로 이룬 공원조성 모델”로 해석되었다. 이들 사항은 연구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연구제안과 연결된다. 첫째, 발주처의 설계사 신뢰와 관행적 행정절차 개선의 필요성, 둘째, 공원조성과정에 조경전문인력 투입의 중요성, 셋째, 설계발전을 위한 제반 노력의 필요성, 넷째, 현장 원형자원 및 경관 보존의 중요성, 다섯째, 적극적인 사회적 참여를 통한 기회의 확충 등이 그것이다.

대 내외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는 공원조성 이면에 존재했던 사실을 파악코자한 본 연구는 관행적인 정량적 사후평가와 달리 공원조성과 관련된 사회적 관계망을 정성적, 객관적, 구조적으로 해석한 의의를 보유한다. 향후 심층적 사후평가연구의 지속을 통한 조경분야관련 행정과 제도개선을 기대한다.

ABSTRACT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of design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sign of the Yeonnam-dong section, which was completed in 2016. The case study site has received many domestic and foreign awards and is receiving very positive reviews from actual users. 53 concepts were derived from the open coding of the ground theory methodology. Thirty-four higher categories incorporated the concepts and 18 higher categories that reintegrated them. Later, the six categories of the ground theory were interpreted as the paradigm,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aspects of ‘will of client’ and ‘work efficiency’, ‘site resources’ and ‘field manager's specialty’ were the categories that had the greatest positive impact on the park construction. The key category of this park's construction was interpreted as “a park-construction model with active empathy and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are linked to the following research proposals. First, the need to improve the trust between the client and the landscape designer and the need to improve the customary administrative procedures;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input of landscape experts into the park construction process; third, the importance of all efforts to develop the design; fourth, the importance of on-site circular resources and landscape preservation; and fifth active social participation to increase the opportunity.

This study, which seeks to grasp the facts that existed behind the park's construction, which received excellent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s, and has a qualitative, objective and structural interpretation of the social network related to the park's construction,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quantitative post-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administration and system improvements related to landscaping will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continuation of in-depth post-evaluation studies.

Keywords: 유휴산업시설; 재생디자인; 정성적 평가; 근거이론
Keywords: Postindustrial Facilities; Regenerative Design; Qualitative Evaluation; Ground Theory

I. 서론

조경은 순수예술과 달리 실존적 환경의 구현을 위한 작업인 까닭에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의 창안과 더불어 이해관련주체 간 소통이 필연적이다. 미래 환경과 이를 이용할 대상을 조화롭게 연결시키기 위한 이 과정에는 다방면에서의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복합적 상황 속에서의 타협과 조정과정 역시 수반된다. 이에 조경분야의 현 상황을 직시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분야 내 소통되고 있는 사회학적 관계망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 타 분야와의 지속적 경쟁으로 어느 시기보다도 조경 분야의 튼튼한 입지와 차별성이 요구되는 오늘날, 근대화와 산업화의 산물을 활용하는 도시재생공원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다.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는 이들 공원의 경우, 본질적으로 과거의 흔적과 기억을 여하히 재구성할 것인가가 주요한 과제이다. 아울러 이러한 안목이 투영되는 재생공원의 정체성은 공원이용자의 만족도와 매우 민감한 까닭에 이를 사후 평가하는 연구들이 있어 왔다. 흔히 이용자의 환경경험을 대상으로 한 이용후평가(POE)가 그것으로 연구접근의 대부분이 이용자의 행태와 만족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정량적 사후평가만으로는 오늘날 조경분야와 관련된 제도적, 정책적 개선방안 등 구조적 측면을 점검하기에는 본질적인 한계를 보유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재생공원 조성과 관련된 사회적 관계현실을 전체적으로 조감함으로써 오늘날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자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이를 위한 분석방법론의 검토를 통해 사회학적 관계구조 해석방법론으로서의 특장점을 보유한 근거이론(Ground Theory)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에서 용산구 원효로까지 지하화된 철길을 따라 조성된 경의선숲길공원 구간이다. 이 공원은 최근 조성된 재생공원 중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며, 다수의 공식적 수상경력을 통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환경이다1). 그러나 경의선숲길공원의 연남동 구간의 성공요인과 이를 위한 이면의 노력과 한계상황 등은 잘 알려지지 않았던바, 당시의 상황을 객관적이며,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조경분야와 관련된 제도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연구대상과 방법에 따라 연구의 내용적, 시간적 범위는 경의선숲길공원의 설계시작(2013년)으로부터 준공(2016년)까지 약 3년간 경험하였으며, 오늘날까지 또렷이 간직하고 있는 설계자의 기억을 대상으로 하였다.

II. 선행연구 및 관련이론 고찰

1. 사례연구대상지 관련 연구동향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인 경의선숲길공원은 2016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이후 이 대상지를 주목한 연구동향은 대략 다음과 같다. 우선 거시적 관점에서 도시재생정책의 흐름과 공원조성 후 인근지역의 변화양상 등을 주목한 연구가 있어 왔다. 즉, Hur(2018)는 경의선숲길공원을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고찰하였으며, Park and Kim(2016), Won(2017), Yun(2017), Seo (2018), Han(2018) 등은 각각 공원조성이 초래한 지역의 다양한 영향과 변화에 주목하였다. 반면, 이들 거시적 연구와 달리 공원 내 이용자의 만족도와 만족요인 등에 주목한 미시적 연구들도 있어 왔다. 즉 Kim(2018a)은 이용자가 인식하는 설계요소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관계를, Kim(2018b)은 만족요인을, Oh(2017)는 거주자와 방문자 간의 만족도 차이를, Ko(2017)은 이용자 집단 간 인식차이를, Yang and Yoo(2016)는 이용행태의 특성 등에 각각 정량적 평가측면에서 주목하였다.

이들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즉, 공원과 관련된 환경변화에 주목한 연구는 공원조성 이후 다양한 용도의 건물신축이나 구조변경으로 부동산 거래가 증대된 점과 나아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주목한다. 이를 뒷받침하듯 경의선숲길공원 일반이용자의 만족도를 다룬 대부분의 연구 역시 긍정적 평가를 하고 있으며, 만족요소로 산책로와 주변 골목의 연결성, 철길디자인, 시각적 개방감 등 경관성, 쾌적성, 커뮤니티 증진 측면을 주목하고 있었다.

이렇듯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부각될 정도로 지명도가 있는 경의선숲길공원에 대해 본 연구는 상기한 상황의 형성배경과 사회학적 관계요인을 설계자의 정성적 사후평가를 통해 해석코자 하는 것이다.

2. 질적 해석방법론으로서의 근거이론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과 해석방법은 크게 실증적 방법과 해석적 방법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실증적 방법은 통상 실험이나 설문조사를 통해 이론과 가설을 검증하는데 사용되고, 해석적 방법은 행동연구나 사회문화 연구에서 이론을 수립하는데 적용된다. 수치 데이터들을 회귀 분석하는 양적 연구와 달리, 질적 연구는 심층 인터뷰 및 조사 관찰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코딩하여 의미를 분석,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Song et al., 2014).

질적 연구방법은 1920년대 사회학자들의 사회현상연구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쇠퇴기 이후 1960년대 다시 부활되며, 이 기간에 근거이론(Ground Theory)을 활용한 연구방법론이 활성화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7년 대한간호학회 춘계학술대회 보고서에서 근거이론방법론이 소개되었고, 이후 다른 분야 연구에서도 꾸준히 적용되어 많은 석․박사 학위논문이 발표되며, 주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Choi, 2005). 그러나 조경분야의 연구에서는 광교호수공원의 국제현상설계와 그 실행과정을 다룬 연구(Hong and Park, 2016) 정도만이 있을 뿐, 그 활용은 미미한 수준이다.

근거이론은 어떠한 현상 속에 내포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관계망을 발견하거나, 잠정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 체계로써 귀납적으로 바라보는 연구방법이론이다. 이는 현장 중심적 연구로서 태도, 행동, 상황 등을 심층 조사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 과정 속에서 체계적 분석과정을 적용하여 연구방법을 개발해 현상을 이론화하여 설명하는 것이다(Stern, 1980; Kim, 2012에서 재인용).

근거이론 분석은 크게 세 가지 과정을 거친다. 첫 번째 근거자료의 범주화 단계인 ‘개방코딩’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내용과 연구문헌 등의 자료를 모두 해체시킨 후 주어진 현상에 따라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개념을 도출하며, 현상을 명명화하고 범주화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 ‘축코딩’은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상호작용 및 결과를 도출하고, 범주들 간의 연결성을 발견하는 과정으로 개방코딩에서 나온 범주들을 현상과 관련하여 패러다임에 의해 관계 짓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 ‘선택코딩’은 핵심범주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이를 찾는 방법은 줄거리 작성, 그림그리기, 도표생성 등이 있으며, 현상들을 잘 설명해 주는 모델이 발견되면 작업이 끝나게 된다(Baek, 2017). 인과적 조건,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전략 및 상호작용, 결과로 구성된 근거이론 분석과정은 Figure 1과 같은 패러다임모형으로 정리된다.

jkila-47-3-39-g1
Figure 1. A paradigm model of ground theory

Soruce: Strauss and Corbin(1990)

Download Original Figure

III. 연구대상지와 연구방법

1. 경의선숲길공원 설계와 구현과정

경의선의 경로는 열차가 다니기 이전부터 많은 사람과 물자가 왕래하던 활발한 교통로였다. 1906년 군사적 목적의 철길이 놓인 이후 물류수송의 중심축 기능은 강화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지역발전은 오히려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즉, 도시가 점차 발달하면서 도심 속 철길은 생활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인식되었고, 경의선 주변지역은 슬럼화가 진행되었다. 이후 수도권과 인접한 고양시, 파주시의 팽창 및 주거단지의 개발에 따라 교외통근자가 증대되어 철도기능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이에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문산-가좌 간 복선화와 현대화를 추진하고, 주택 밀집지역인 가좌-용산간은 주민의 요구에 맞추어 지하화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경의선철도 지하화사업이 확정된 후 서울시는 상부의 공원조성을 제안하였고, 서울시의 예산투입이 확정되면서 추진이 본격화되었다.

경의선숲길공원은 용산과 문산을 잇는 경의선 복선전철공사구간 중 용산문화체육센터에서 가좌역까지의 구간으로 면적은 102,008m2, 연장 총 6.3km(공원조성구간 4.34km, 정류장구간 1.96km), 폭 11∼60m의 제원을 이루며, 총 사업비 457억 원이 투입되었다(Choi and Lee, 2015).

이중 특히 연남동 구간은 ‘연트럴파크’라는 애칭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주변으로 홍대․신촌문화권과 함께 홍익대, 숙명여대 등 5개 대학교가 분포하여 공원조성 시 시너지효과가 기대된 경의선숲길공원은 서울시 공원조성과(공원개발팀)에서 발주하여 S와 K엔지니어링의 두 회사에서 ‘공원조성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2011년 2월에 완료하였다. 당시 설계환경의 특징은 철도의 흔적이 이미 사라진 이후 진행하게 된 것과 부지 현황측량을 할 수 없었던 점이다.

설계완료 후 전 구간 6.3km 중 지하화가 완료된 구간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12년 2월, 1단계 구간이 조성․개방되었다. 반면, 새로운 서울시장은 이 구간의 개방이전 2011년 10월 취임하여 2단계 구간 공사발주 전에 조성된 1단계 구간을 시장단이 시찰하였고, 현장에서 몇몇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후 제기된 문제의 검토와 해결을 위한 전문가그룹의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어 포럼이 형성되었으며, 긴 논의 후 2013년 8월 공사 발주 및 경의선숲길 보완설계가 시작되었다.

보완설계는 주민설명회를 통한 주민의견수렴을 시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설계는 해당 포럼에 참여하였던 D조경기술사사무소에서 시행하였으며, 이후 2015년 6월, 2단계 구간이 개방되고 보완설계는 관련 포럼과 전문가의 자문 그리고 일반인 투어 등에서 대두된 의견개진과 경의선철도의 역사성을 강화하면서 2016년 5월, 3단계까지 전 구간이 개방되었다(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6). 이렇듯 경의선숲길공원의 연남동 구간은 전 구간에 대한 기본 및 실시설계가 이루어지고  1단계 구간이 시공되었으나, 이후 2단계와 3단계 구간은 보완설계를 통해 새롭게 설계가 이루어진 특이한 상황의 사례이다(Figure 2, 3 참조).

jkila-47-3-39-g2
Figure 2. Master plan of Yeonnam-dong section in Gyeongui(Choi and Lee, 2015)
Download Original Figure
jkila-47-3-39-g3
Figure. 3. Status picture of Yeonnam-dong section
Download Original Figure
2. 심층인터뷰 개요

심층인터뷰 대상자는 보완설계과정 중 실질적인 설계진행 역할을 담당하면서 외부협의체와 소통하고 의사결정을 주도한 설계자를 주목하였다. 심층 인터뷰대상자는 비록 일인이지만 프로젝트의 시작에서부터 종료 시까지 계획 및 실시설계, 발주처 협의, 주민접촉, 현장 협의, 디자인 감리, 그리고 나아가 경의선숲길지기의 창립 등 전반적인 역할을 수행한 유일한 경험자임에 근거해 추가 대상자 없이 진행하였다2). 인터뷰는 개방형 인터뷰를 위주로 하되 일부 폐쇄형 질문을 혼합하여 인터뷰의 효율성을 높였다. 인터뷰는 2018년 12월 20일 성동구 성수동의 모 식당에서 본 연구자 2인 배석 하에 약 2시간 7분간 진행하였으며, 이 내용은 인터뷰 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녹취하였다. 아울러 녹취내용은 문서화하여 이후 오류 여부의 확인, 검증절차를 거쳤다.

한편, 인터넷을 포함하여 대중매체에 소개된 경의선숲길공원과 관련내용을 사전정보자료3)로 수집하여 숙지하고, 질문방향을 점검하였다. 또한 설계의도에 따른 조성 여부와 정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 질문 검토문항을 작성하였으며, 영향요소별 긍정, 부정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IV. 연구 결과

심층인터뷰 구술내용의 문서화자료로부터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한 주요 어휘의 추출과정을 거쳤다. 아울러 이렇게 수집한 키워드를 내포한 핵심내용을 개념차원으로 명명하면서 유사한 개념들을 범주화하고, 각 범주의 속성을 세부적으로 정리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73개의 세부개념을 도출하였고, 이를 정리하여 35개의 차 상위 범주와 또 그 위의 18개의 범주의 체계로서 정리하였는데, 그 내용은 Table 1과 같다. 이들 각 조건들의 연결고리들을 패러다임 모형에 근거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작성한 결과는 Figure 4와 같은바, 각 조건의 주요 내용과 연결망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Table 1. Categorization of concepts based on ground theory paradigm
Paradigm Category Subcategory Concept
1. Causal conditions 1.1 Willingness of decision maker 1) Recognizing the problem of the decision maker Visit the site and raise the issue
2) Formation of improvement Create a group of experts to direct resolution
Organizing a forum for the improvement of the park
1.2 Capacity of design office 1) Social participation Participate designers in forums
2) Active proposal Forum working with basic ideas through configuration
Sympathy for the community briefing
1.3 Trust in the design office of decision maker 1) Relationship with the decision maker Landscape architect capacity recognized status
2) Create new designs Complementary design progress
2. Phenomenon 2.1 Resource of site 1) Site resource damaged Precedence of underground railroad construction
Original terrain and resource degradation
2) Field conservation resources The only preserved ginkgo planting
2.2 Outside influence 1) Administrative procedure Advisory system procedure
Designs go against intent
2) Lack of design understanding Lack of design knowledge of executive officers
Unscheduled public art competition
2.3 Civil complaint 1) User diversity Difference in resident's attitudes by housing types
2) Public and private demand Resident's presentation and civil service requirements
Personal needs affect the public interest
3. Context conditions 3.1 Work efficiency 1) Administration's attitude Quick decision making
Minimize unnecessary work
2)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cceptance of the contractor's design change
Interagency cooperation
3.2 Empathy of design 1) Empathy for residents Holding a number of community meetings
2) Participant target Trust in the design of the decision maker
Active communication of design intent to constructors
3.3 Conditions change 1) Acceptance of changes in conditions Change in social conditions
Diverse awareness of change, continuous communication
4. Intervening conditions 4.1 Construction manager of expert on LA 1) Chief of supervision Understanding the design on supervision
Arbitration between the owner and the contractor
2) Construction manager Understanding and efforts of contraction offic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capability in progress
4.2 Role of a civil officer 1) Competence of working-level civil servants Understanding the work of working-level officials
Requires proper expert organization
2) Execution of administrative results Perform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Difficulty mediating results
5. Action & interactional strategies 5.1 Landscape design supervision 1) Design responsibility Design supervision voluntary fulfillment
Efforts to maintain design
2) Central role in communication  Breakdown of field problems and respond quickly
5.2 Administrative procedure simplify 1) Reduction of interference factor Omit park construction procedure
Minimize unnecessary briefing
5.3 Design development effort 1) Integrated design Understanding relevant fields, pre-working
Reviews after experts in landscape design
2) Collaboration progress Collaboration of outdoor sculpture design
6. Consequences 6.1 Public park completeness 1) Identity of park Application of various techniques using materials
Emphasize park identity and meaning
2) Recognition of the completion of a park A large number of awards
6.2 Degree of satisfaction 1) User satisfaction Excellent user satisfaction assessment
2) Work participant satisfaction A sense of pride in the performance of designers
6.3 Maintainning of design intent 1) Accordance with design Completion of construction by maintaining design
2) Inconsistent spac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some sections
6.4 Cost and time 1) Cost Design and construction cost required
2) Time Time required to resolve civil complaints
Time supplemented by communication between related agency
Download Excel Table
jkila-47-3-39-g4
Figure 4. Axial cording paradigm model of the construction processing on Gyeongui Line Forest Park
Download Original Figure
1. 인과적 조건

본 연구결과 경의선숲길공원 조성에 영향을 준 인과적 조건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은 ‘발주처 및 정책결정자의 의지’로 파악되었다. 즉, 경의선숲길공원의 1단계 구간이 준공되고, 잔여구간에 대한 설계안 역시 마련된 상황에서 새로 취임한 시장단의 현장방문시의 문제제기로부터 보다 진전된 환경에 대한 것이다. 이는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가 포럼구성을 촉발케 하였으며, 당시 이에 참여할 수 있었던 조경가와 ‘설계사의 역량’이 더해져 작금의 환경을 꿈꾼 ‘적극적 제안’의 보완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발주처와 설계사 간 상호신뢰’로 이어져 추후 선순환구조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2. 주요 현상

경의선숲길공원 조성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현상은 ‘현장자원의 한계’, ‘외부 영향력 개입’, ‘주민 민원’으로 파악되었다. 주요 현상들은 공원조성에 있어 긍정적이기 보다 부정적 영향을 제공하였으며, 그 중 ‘현장자원’이 더욱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시재생을 통해 조성되는 공원에서 ‘현장자원’은 공원의 정체성과 차별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나 경의선숲길공원의 경우 굴착공사의 선행으로 현장자원이 거의 전무한 상태였다. 이는 지나간 기억을 재현․복원하는데 그 장소의 것이 아닌 새로운 자재를 구입해야 하는 ‘비용증가’로 나타났으며, ‘공원의 완성도’를 저해하였다. 다만 그나마 현장에 보존되어 있던 은행나무들과 현장답사 중 발견한 지하용출수가 설계에 긍정적 요소로 활용될 수 있었다. 설계가는 관행적으로 시행된 자문과 조형물에 대한 공모과정과 같은 ‘외부 영향의 개입’은 추가적 ‘비용증가’와 ‘시간소요’를 초래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선형공원에 연접한 많은 주민을 상대해야 했던 주민설명회는 ‘주민 민원’의 상당수를 해소하는 긍정적 효과를 제공하였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들 중 특히 아파트 주민의 고립적이며 폐쇄적인 특성은 공공적 가치라는 ‘설계의도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설계사의 역량’은 ‘설계발전을 위한 노력’과 ‘조경 디자인감리’역할의 수행을 뒷받침할 수 있었고, 이는 ‘설계내용 공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요소들이 ‘설계의도 유지’를 높여 ‘공원의 완성도’를 제고한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발주처와 설계사의 관계는 ‘발주처의 설계사 신뢰’가 이미 형성되어 있어 이를 바탕으로 ‘업무효율성’을 높였으며, ‘공원의 완성도’와 ‘설계의도 유지’가 형성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3. 맥락적 조건

맥락적 조건을 구성하는 범주로서 ‘업무효율성’, ‘설계에 대한 공감’, ‘여건변화’를 선정한바, 이는 공원조성과정에서 모두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된다. 이중 설계자가 가장 긍정적으로 언급한 범주는 ‘업무효율성’이다. 즉, 경의선숲길공원의 경우, 전술한 ‘발주처 및 정책결정자의 의지’에 따른 주요 사업이었던 까닭에 ‘행정절차 간소화’를 통해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설계의도 유지’를 통해 ‘공원의 완성도’를 높인 계기가 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현장 관계자의 조경 전문성 확보’ 등을 통해 협의체간 빠르고 합리적인 의사소통으로도 뒷받침되었다.

한편, 설계자는 발주처-주민-현장 관계자들이 ‘설계에의 공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던 기억을 당시 가장 인상적인 경험으로 꼽았으며, 당시 설계의 골격이 비교적 잘 유지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설계업무에서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던 절대적 요인인 동시에 ‘공원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고 하였다.

반면, 새로운 시장의 취임, 공원주변 상권의 이동 등 정치사회적 ‘여건변화’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공원의 조성방향이 달라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여건변화는 주민의 다양한 의견과 민원으로 나타나 많은 소통과정을 수반케 하였다.

4. 중재적 조건

심층인터뷰 결과, 경의선숲길공원 조성에 있어 ‘현장 관계자의 조경 전문성’과 ‘실무공무원 역할’이 중재적 요소의 주요 사항으로 나타났다.

즉, 공원 조성과정에 있어 시공감리단의 감리단장과 시공사 현장소장 모두가 조경전문가로 구성되었다. 발주처는 감리단의 구성과정에서 감리단장의 소양을 조경전문가로 규정한바, 이는 발주처와 현장 사이에서 원활한 중재적 역할 수행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설계자는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소통주체들의 구성은 ‘설계에 공감’을 높여 ‘공원의 완성도’에 도움이 준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앞서 ‘실무공무원 역할’이 긍정적으로 작동한 경우와는 달리 공모, 민원 등 행정절차를 통해서 나온 결과를 반영하는 과정에서는 일부 부정적 영향이 초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법․제도를 집행해야 하는 공무원의 업무특성상 이는 무시할 수 없는 과정인 까닭에 불요불급의 정도를 감안한 행정처리 간소화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5. 전략과 상호작용

문제해결을 위해 취하는 행위 또는 현상을 조절하는 전략과 상호작용이 경의선숲길공원 조성 과정에서는 ‘조경디자인 감리’, ‘행정절차 간소화’, ‘설계발전노력’으로 분석되었다.

설계자는 ‘설계사 역량’으로 별도의 대가 없이도 ‘조경디자인 감리’역할을 수행하였는바, 이는 주민을 비롯하여 발주처와 현장 관계자의 ‘설계에 공감’을 높이고, 현장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신속하게 대응하여 처리하는 등 ‘업무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공원조성에 필요한 ‘시간’을 효율화할 수 있었으며, ‘설계의도 유지’를 온전히 할 수 있었던 것에 기여하였다.

한편, 긴급사업의 형식으로 진행되어 가능했던 ‘행정절차 간소화’는 당연히 ‘시간’을 보완할 수 있었으며, 절차상 발생될 수 있었던 외부 영향요소를 줄일 수 있어 ‘설계의도 유지’에 크게 기여를 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설계자의 ‘설계발전노력’으로 이루어진 협업과 통합설계는 ‘설계의도 유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공원의 완성도’와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추적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6. 결과

전략과 상호작용에 따른 경의선숲길공원 조성과 관련된 결과로 ‘공원의 완성도’, ‘만족도’, ‘설계의도 유지’, ‘비용과 시간’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서도 파악되듯 경의선숲길공원은 이용자와 전문가집단 모두에게 ‘공원의 완성도’와 ‘만족도’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계자 또한 만족감을 나타냈다.

이러한 ‘공원의 완성도’는 비록 ‘현장자원’과 ‘외부 영향력 개입’ 등에서 부정적 영향을 받았지만, ‘발주처의 의지’에 의한 ‘업무효율성’ 확보와 ‘설계사 역량’, ‘발주처의 설계사 신뢰’로 ‘설계에 공감’이 잘 이루어져 ‘공원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설계사 역량’을 바탕으로 한 ‘조경 디자인감리’역할 수행은 협의체간 원활한 소통을 이끌어 ‘설계에 공감’을 높였으며, 이는 ‘업무효율성’에 기여하여 ‘설계의도 유지’와 ‘비용과 시간’절감에 긍정적 결과로 나타나 ‘공원의 완성도’와 ‘만족도’를 높이는데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V. 시사점

경의선숲길공원 조성과정상의 관계망을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한 내용에서 발견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발주처-설계사 간 신뢰구축과 관행적 행정절차 개선의 필요성

경의선숲길공원은 발주처와 설계사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행정가와 시공현장인력, 인근주민 등 이해주체 간 공감을 확대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보완설계안의 골격을 유지하며, 빠른 의사결정과 불필요한 업무의 최소화로 이어져 업무효율성을 높인 요인이 되었다. 아울러 이는 공원의 독자적 정체성을 형성케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케 한 요인이 되었다. 이는 발주처-설계사 간 신뢰가 공원 조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중요성을 보여준다.

한편, 긴급사업의 형태로 이루어진 공원 조성과정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는 본 사례를 감안할 때, 행정정차의 간소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즉, 효율적 의사결정을 저해하고 있는 기존의 관행적 제도와 행정절차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2. 조경 디자인감리의 필요성

경의선숲길공원 보완설계 주체는 완결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조경 디자인감리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것은 시공 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즉지적인 문제를 상호 소통하며 발전적으로 해결하는 결과로 이어져 업무효율성과 공원의 완성도를 제고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측면은 광교호수공원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인 Hong and Park(2016)에서도 제기된 사항이었다. 즉, 현재 법적으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조경감리 제도를 보완하는 방편으로라도 일정부분 이상의 공공부문 조경공사에 대해서는 조경디자인 감리를 필히 시행케 하는 제도적 보완책의 수립이 요청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3. 관련분야 간 소통과 통합적 환경조성 능력 배양

경의선숲길공원의 보완설계 시 조경설계사는 주체적으로 관련공종인 토목과 전기부문 등 타 분야를 포함해 개괄설계를 선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통합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 이는 대상 환경을 조경가의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관리했다는 것으로 분야의 발전을 위해 필연적으로 확보해야 할 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조경가 스스로가 관련분야의 기본적 업무를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4. 원형자원 및 경관 활용의 필요성

경의선숲길공원은 재생공원임에도 불구하고, 원형경관자원이 대부분 훼손된 상태에서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결국 공원의 정체성 형성을 위해 재현요소로 기획된 철길은 무관한 것을 별도로 구매하여 설치해야 했다. 이러한 측면은 현장에 유지된 은행나무들을 경의선숲길공원의 대표경관으로 거론하는 것과 대비되는 사항이다.

재생공원을 포함한 대부분의 현장에서 이 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있는바, 경관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계획의 입안에 있어 조경가의 참여 확대와 역할 강화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5. 조경분야의 적극적 행정참여의 필요성

마지막으로 조경분야의 적극적인 행정참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경의선숲길공원은 통상의 용역방식이 아닌 발전적 포럼의 기획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회사로써는 새로운 프로젝트의 기회를 포착할 수 있었고, 발주처 입장에서는 질 좋은 설계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상생의 기회가 마련된 것이다. 오늘날 지자체 행정에서 있어온 조경분야의 참여는 일부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제한성을 보인다. 이러한 폐쇄성을 극복하고 나아가 오늘날 조경계의 일거리 감소나 조경 예산 삭감 등의 상황의 타개를 위해 조경분야의 대 사회적 발언 확대와 적극적 행정참여가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VI.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공공환경의 질과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제적 조건으로 설계자의 창의적 노력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할 발주처의 신뢰와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이는 효율적 업무처리를 가능케 하면서 공원의 완성도를 제고하기 위한 기초적 조건이며, 보다 세부적으로는 감리 및 시공사 현당소장의 전문성 확보와 함께 이들과 충분히 소통할 수 있는 조경디자인 감리의 필요성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한편, 태생적 속성상의 재생공원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의 자원이 거의 다 소실되는 현 여건은 많은 문제점을 제기하는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행정적․제도적 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아울러 포럼의 기획으로부터 새롭게 기획된 본 경의선숲길공원의 사례를 통해 볼 때, 조경분야의 대 사회적 발언의 확대와 지자체 행정에의 참여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한 공원설계 사후평가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설계자 일인의 관점을 반영하는 심층인터뷰 자료를 통해 분석되었는데, 이러한 점이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설계사의 운영 시스템에 의해 그는 계획․설계로부터 업무와 관련된 행정 및 기술적 협의, 현장디자인감리 그리고 이후 경의선숲길지기의 모임의 창립에 이르기까지의 소임을 중추적으로 수행한 유일한 대상이었으며, 본 프로젝트에 큰 애정을 갖고 진솔하게 심층인터뷰에 임해 주었다. 이러한 점은 조경관련 사후평가의 대부분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같은 정량적 측면 위주로 주목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새로운 연구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기존의 연구들과 더불어 공원조성과 관계된 사회관계망을 개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관련된 심층적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Notes

경의선숲길공원 중 흔히 ‘연트럴파크’(연남동과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를 합성한 신조어)로 지칭되는 본 연구대상구간은 2015년 서울시 시민이 선정한 ‘2015년 서울시 10대 뉴스’에서 2위로 선정되었다. 이는 당시 1위가 위기발생 초기대응을 위한 시민 양성정책 ‘10만 시민안전파수꾼’이어서 물리적 환경부분에서는 실질적으로 1위에 해당된다. 아울러 이 환경은 2017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문화체육관광부)’에서 누리쉼터상(장관상)을 그리고 ‘2018 아시아 도시경관상’에서 해당 지자체인 마포구가 수상케 하는 결과를, 제9회 대한민국 조경문화대상’ 공원부문에서는 한국조경학회장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숫자보다는 적합한 대상자를 선정하였는가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시작에서부터 준공까지의 전 과정(계획 및 실시설계, 발주처 협의, 주민접촉, 현장협의, 디자인 감리)뿐만 아니라, ‘경의선숲길지기의 창립’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한 기술자(Ahn and Lee(2015), Choi and Lee(2015))이며, 해당 사무실에 그가 유일했던 까닭에 부득이 1인 심층인터뷰를 시행하였다.

해당 대중매체는 대략 다음과 같다. Ahn and Lee(2015)/Choi and Lee(2015)/인터넷 참고자료 내역은 reference 22∼33을 참조.

References

1.

Ahn, G. D. and N. J. Lee(2015) Designing the Gyeongui Line Forest Park, Landscape Architecture Korea(329), pp. 14-29.

2.

Baek, N. Y.(2017) An Exploratory Study on Shared Value of Convention Governance: Perspective on a Grounded Theory. Department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Korea.

3.

Choi, K.(2005) Grounded theory methodology: Strauss’ version vs Glaserian version.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14(1): 82-90.

4.

Choi, S. C. and N. J. Lee(2015) Gyeongui line forest park with history and culture. Journal of Architecture & Urban Space (19): 102-126.

5.

Han, N.(2018) An Effect Analysis of Urban Forest Formation on Disused Railway Yards on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 in the Surrounding Area: Focused on Gyeongui-Line Forest Park in Yeonnam-dong and Greenway Park in Gwangju. Dept. of Urban Planning & Engineering.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Korea.

6.

Hong, Y. S. and J. M. Park(2016) A study on the post-evaluation of landscape design competition based on ground theory: Case of Gwanggyo Lake Park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92-102.

7.

Hur, Y. G.(2018) A Study on the Regeneration Policy of Urban Park in Seoul from a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Department of Urban Administration.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8.

Kim, J. E.(2018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Design Elements of Gyeongui-Line Forest Park. Dept. of Urban and Real Estate Developmen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9.

Kim, N. E.(2018b))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actors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Utilizing the Disused Railroad aBandoned Grounds: A Case Study of the Yeonnam-Dong Section, Seoul, Landscape Ecological Architectur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10.

Kim, S. H.(2012) A Study of Risk Analysis and Countermeasure Regarding of Risk Management in Exhibition Fields: Based on Groundedt Heory. Department of Event& Convention Management.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Korea.

11.

Ko, N. Y.(2017)The Outstanding Problem Caused by the Different Cognition between the Users of Gyeongui-Line Park.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12.

Oh, H. J.(2017) The Difference between Residents and Visitor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atisfaction in Urban Linear Park: A Case Study of the Gyeongui-Line Forest Park's Yeonnam-dong Section. Dept. of Urban Development & Managemen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13.

Park, B. H. and H. B. Kim(2016) The impacts of Gyuongui line forest park on regional rdgeneratio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 Landscape Council 8(1): 1-19.

14.

Seo, D. H.(2018) Study on Autogenous Urban Regeneration by Park: A Case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conomics Yonsei University. Korea.

1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6) Gyeongui Line Forest Park, Articles not for Sale: Seoul.

16.

Song, J., M. Kim and A. Bhattacherjee(2014) Social Science Research [in Korean]. KOCW Open Access Textbooks(Part of the Korea Open Courseware).

17.

Stern, P. N.(198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Journal of Noursing Scholarship 12(1): 20-23.

18.

Strauss, A. L. and J. Corbin(1990)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19.

Won, H.(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Market Area by Gyeongui Line Forest Park Project. Major in Real Estate Construction & Development.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roea.

20.

Yang, S. Y. and S. Y. Yoo(2016) Behavior patterns in an urban linear park, reusing the abandoned railroad: Focused on Gyeongui-line forest.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7(1): 101-115.

21.

Yun, D. U.(2017) Study on the Change of Adjoining Building and its Outdoore Space at Gyeonguilineforest. Landscape Architectur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ro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