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rticle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의 참여 양상과 증진 모색 – 도시재생 뉴딜 선정사업(2017-2019)을 중심으로 –

이정희*, 윤영조**
Jeong-Hee Lee*, Young-Jo Yun**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박사수료
**강원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부교수
*Ph.D. Completi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Dept. of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Young-Jo Yun, Associate Professor, Dept. of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gcheon 24341, Korea, Tel.: +82-33-250-8341, Email: yyj@kangwon.ac.kr

© Copyright 2022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02, 2022; Revised: Nov 19, 2022; Accepted: Dec 14, 2022

Published Online: Dec 31, 2022

국문초록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핵심전략으로서 조경의 역할과 존재 가치를 세부사업 유형별로 확인하고자 출발하였고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조경의 참여 양상과 특성을 파악하여 그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뉴딜사업 중 공원, 정원, 조경, 쉼터, 숲, 녹화, 식재, 꽃 등의 용어가 사업내용에 포함된 총 822개소를 대상으로 유형별 사업에서 조경의 참여 현황과 선행연구 분석, 문헌조사, 활성화 계획보고서, 사업주체별 인터뷰 등 통합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사업유형에 따른 조경의 참여 양상과 특성을 구분하여 도표화하였다.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적 특성을 사업유형에 따라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참여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확인된 조경의 참여 양상과 증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에서 조경의 역할과 참여 양상은 도시재생사업의 유형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사업의 유형별 전제 조건과 사업의 추진 주체, 사업별 재생전략의 방향 및 차별성, 주민의 참여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조경의 참여 행위가 변화된 의미와 역할로 변화, 확대되고 있었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의 확대된 참여방식의 변화와 가치는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다의적이고 복합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전적 의미로 조경 가치가 사업유형에 따라 실체적 양상이 변화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재생의 전략적, 실천적 수단으로서 ‘조경’의 역할과 가치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경의 참여 증진을 위해서는 형태와 장소(form & place)적 측면의 공원 조성 등 하드웨어적 사업위주의 참여에서 사업별 도시재생 전략에 따른 참여방식의 변화를 통한 다양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소프트웨어적 사업의 과정(process)적 측면에서도 체험 및 활동프로그램으로 주민들 간 공동체 의식함양에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조경의 참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추진의 주체로 조경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음을 실체적으로 파악하고, 그 증진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향후 도시재생의 계획과 실천적 영역에서 조경적 특성을 활용한 참여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 and the use of landscape architects as a core strateg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project typ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promote landscape architects’ participa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in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plans. Among the New Deal projects, from 2017 to 2019, whe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promoted, a total of 822 projects with terms such as park, garden, landscaping, rest space, forest, greening, planting, and flow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 integrated approach was applied, considering the status of landscape architects participation, a literature survey by project entity, analysis of prior research, revitalization plan reports, and interviews by project entity, and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architec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project type.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particip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roject type, and the participation patterns and promotion measures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ways to promote them identified in the course of the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and participation pattern of landscape architec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project. As the prerequisites for each type of project, the subject of the project, the directi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generation strategy for each project,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teracted in a complex way. The particip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has changed and expanded its meaning and role. Second, the change and value of the expanded the participation method of landscape architects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appeared as a multi-purpose and complex role in the process of a project, indicating that the value of landscape in the classical sense is changing and its substantive aspect depends on the type of project.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 role and value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strategic and practical means of regeneration that can be utilized.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diversification is required through changes in participation methods according to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for each project, rather than participation focused on hardware projects, such as park creation in terms of form and pla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among residents as an experience and activity program, should be further activated in terms of the process of the ideal way of exist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bstantially grasps that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s is expanding as the subjec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presents the direction for its promotion. Participation an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Keywords: 도시재생사업; 조경적 특성; 참여 양상; 조경가의 역할
Keywords: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Landscape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Pattern;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s

도시재생은 도시의 공간적 확산, 경관적 개선과 함께 도시성장을 이루어 나가는 기본 요소다. 넓은 의미에서 도시재생은 정태적인 도시의 토지이용과 물리적 환경을 사회경제구조나 생산기술 등 동태적인 사회경제적 환경에 적응시켜 나가기 위한 일체의 교정 또는 회복적 변화(recuperative changes)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좁은 의미에서는 도시계획 틀 속에서 추진되는 도시공간에 대한 교정이나 회복적인 변화를 의미한다(Kim, 2009). 오늘날 도시재생의 효용이 각별히 강조되는 이유에는 도시브랜드의 가치로 대표성을 가지고 공간환경의 매력과 삶의 질을 높여 도시의 활력과 도시민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에서 찾을 수 있다(Lee, 2016). 도시에 외부공간(open space)과 경관을 만들고 향상시키는 조경(landscape architecture)의 과정(행위)은 도시재생의 일환으로 도시의 경관개선, 쾌적성 등을 높이는 수단으로 이해된다. 특히, 도시 내부의 산업지구나 노후한 사회간접시설 등의 기개발 쇠퇴지역(brownfield)을 조경행위를 통해 새로운 활력을 갖는 공간으로 재창출하는 것은 쇠퇴한 도시의 자생적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선택된다(Kim and Kim, 2014).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의 행위는 쇠퇴하여 그 활용도가 낮은 장소를 대상으로 장소적 가치와 재생의 가능성을 발굴하고, 기존의 노후화된 지역과 결합될 수 있는 새로운 장소적 가치의 부각과 도입프로그램의 확장을 통해 도시지역의 사회적 변화를 이끌 수 있으며, 도시와의 새로운 관계망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업 및 정주공간의 쇠퇴 및 슬럼화에 따른 도심 공동화, 지역공동체 상실, 생태적 환류시스템의 부재로 인한 그린인프라의 감소 등의 문제에 대응하는 조경의 가치와 역할은 도시의 물리적 환경개선과 더불어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커뮤니티 회복의 대안으로서 부각되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중에는 사업지역 주민들에게 열린 문화공간을 제공하고 부족한 공원 ⋅ 녹지의 확충과 주민참여를 전제로 한 조경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이 반영되고 있다. 즉, 도시경관 인프라를 향상 및 재생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조경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Cho, 2010).

도시재생사업은 공공계획으로서 시행 주체의 행정적 행위와 공공 및 민간사업의 총합이며, 사업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전체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조경, 도시, 건축 등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전문가, 행정가, 활동가 등이 사업의 조력자가 되며, 핵심적 활동의 주체는 사업지 내 주민이다. 사업별 특성에 따라 도시재생에 대한 관점이 주체와 조력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표출될 수 있으며, 이는 사업 주체별 도시재생의 개념 정의에 대한 광범위한 스펙트럼에 기인한 경우로 일부 사업에서 참여자 간의 갈등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Kang et al., 2017; Kang, 2017). 이렇게 유사한 도시재생사업의 유형에서 반복적으로 고착화되어가는 물리적 환경의 조성 방식을 다변화하기 위해서는 조경 특성에 기반한 도시재생의 방향 설정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도시공간의 물리적 재생과 함께 참여의 주체인 내부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관계망의 회복에 조경적 접근 프로세스의 적용이 유용할 수 있다.

도시재생과 관련한 국내연구는 도시재생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된 시기인 2000년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다양한 학문분야1)에서 관련 주제가 다뤄져 왔다. 도시공학 분야의 비중이 21%로 가장 높았으며 건축학, 예술학, 인문학, 문화학 등 예술과 인문분야의 연구 관심과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Cho, 2018). 도시가 갖는 융 ⋅ 복합적인 관계 및 속성에 따라 전통적으로 전문성을 가져왔던 도시공학, 건축학 위주의 연구가 예술 및 인문학 등 융 ⋅ 복합적 양상의 연구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조경 분야는 도시재생과의 관련성과 참여가 활발한 상황임에도 관련 논의와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주로 해외 도시의 성공사례 등을 통한 비교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정 사업지를 대상으로 사업적 측면에서의 과정 및 의의에 대한 문헌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2018년 이후 최근까지의 도시재생의 연구 주제로는 참여적 거버넌스와 상권 활성화, 구도심 가로환경, 문화예술공간, 항만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장소적 자산의 창출과 의의를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하다. 도시재생사업의 분야별 참여 주체의 역할과 사업의 속성에 따른 재생전략 등에 대한 실증연구가 미진한 가운데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만족도, 도시 자연환경 재생요소의 도출 및 효과, 재생 모색을 위한 도시정원 가꾸기, 주민참여형 녹화사업 등 조경학과 관련된 주제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Sim and Cho, 2015; Park et al., 2016; Jang et al., 2017; Kim, 2017; Lee, 2018; Lee, 2018). 그러나 다양한 사업유형에서 나타나고 있는 조경의 참여 현황과 조경적 특성을 통시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도시재생의 사업별, 유형별 추진내용과 과정에서 도시재생의 전략 및 수단으로서 조경의 역할을 실증적, 통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특정 대상지 중심의 공원화, 도시정원, 녹화사업으로 인한 도시재생 효과 및 만족도 등 결과적 측면에 머무르고 있는 조경의 역할과 존재의 시의성을 차별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시행된 도시재생 정책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세부 사업내용 중에서 공원 및 정원 만들기, 하천 가꾸기, 역사문화거리 만들기 등 조경을 매개로 한 사업 중심으로 자료를 선정 ⋅ 수집하였다. 조경의 참여방식별 특성을 파악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지역은 총 265개 사업이며, 2019년도 하반기부터 도입된 신규 사업유형은 조경행위와의 관련성이 낮아 제외하였다. 데이터는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2)에 공개된 도시재생 뉴딜사업 개요와 각 사업의 활성화계획서 내용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의 참여방식을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사업주체별 인터뷰, 현장 답사는 철원군 화지리(주거지지지원형) 도시재생 등의 5개 사업에서 시행하였다. 도시재생에서 조경 참여행위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으며 조경적 특성을 갖는 사업의 빈도, 참여방식, 변화 추이, 사업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하드웨어적 참여 양상은 형태(form), 장소(place), 용도(use)와 소프트웨어적 참여 양상은 과정(process)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도시재생사업에서 조경의 가치, 역할과 전략적 측면에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Figure 1 참조).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재생이 갖는 본질적 의미는 유지하면서도 노무현 정부(2003-2008)의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사업”, 이명박 정부(2008-2013)의 “도시활력증진 사업”, 박근혜 정부(2013-2017)의 “도시재생 지원사업”이라는 명칭으로 변화하였으며 문재인 정부(2017-2022)에서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명명되며 부분적인 정책적 변화를 거쳐 왔다(Table 1 참조).

도시재생사업은 2013년「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도시재생법」이라 함)이 제정되기 전까지「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을 토대로 물리적 환경개선의 중심으로 진행되어왔으나,「도시재생법」의 제정 이후에는 경제, 문화, 산업, 사회 등 상호관계성에 집중함으로써 사업 시행상의 문제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통합적 해법을 제시하면서 지속가능한 도시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게 되었다.「도시재생법」제 2조 1항 6호에서는 도시재생의 유형을 큰 틀에서 도시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의 2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대상지역의 특성, 사업 규모 등에 따라 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일반근린형, 주거지지원형, 우리동네살리기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각 유형은 사업면적, 대상지역, 국비 투입액 및 사업기간, 도입 기반시설 등의 특징으로 구분될 수 있다(Table 2 참조).

jkila-50-6-96-g1
Figure 1. Study process
Download Original Figure
Table 1. Main flow of urban regeneration policy
Government Urban regeneration policy & project Main contents
Roh Moo-Hyun regime Project to create a city where you want to live
  • Town planning & specialized development plan

  • Demonstration village project & pilot city project

  • City creation support center support

Lee Myung-Bak regime Urban revitalization area development project
  • Urban revitalization area development plan

  •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support

Park Geun-Hye regime Urban regeneration support project
  • Urban regeneration strategic plan/activation plan

  •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field support center operation

  • Residents’ council, business promotion council

Mun Jane-In regim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 Urban regeneration strategic plan/activation plan

  •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field support center operation

  •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linkage

Download Excel Table

최근에는 법령에 의한 개별 단위사업의 추진 속도가 둔화되고 사업의 주체인 주민들이 사업효과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 혁신지구, 총괄 사업관리자, 인정사업으로 구성된 도시재생 뉴딜 신사업3) 제도를 추진 중이며, 그 대표사례로는 용산혁신지구, 동인천역세권 총괄 사업관리자, 영등포 영진시장 인정사업 등이 있다(http://www.city.go.kr/business/newdeal/statusInfo).

도시에서 조경은 장소를 기반으로 경관을 창출하는 주체 또는 대상으로 인식되며, 도시재생에서는 그 직접적인 재생의 대상이 되기도 하여 재생을 이끌어내는 배경이 되기도 한다. 조경은 도시에서 전형적인 대상인 공원의 형태로 작동하는 방식 외에 광장, 도시정원, 워터프런트, 보행가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거나 물리적 대상으로 표출되어 도시재생에 기여하고 있다. 여러 유형과 방식으로 수행된 도시재생사업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조경’의 진정한 본질은 무엇이며 어떤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지, 또한 그 특성은 어떠한 양상으로 표출되고 있는지에 대해 도시재생에서 조경의 좌표를 확인하고 그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by type

Source: http:www.city.go.kr(uris; Urban Regeneration Information System)

Division Economy-based type Central city type General neighborhood type Residential support type Activate our neighborhood type
Promotional tasks Creation of an innovation base Residential environment maintenance
Legal type Economy-based type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Area Around 500,000m2 Around 200,000m2 Around 0-150,000m2 Around 5-100,000m2 Less than 50,000m2
Region Station area, port industrial complex Commerce, history, tourist, art area Alley & residence Low-rise residential area Small low-rise residential area
Project cost/period 25 billion won/6 years 15 billion won/5 years 10 billion won/4 years 10 billion won/4 years 5 billion won/3 years
Selection subject/volume Central government / about 70%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 / about 30%
Introduction infrastructure Medium to large public welfare⋅facilities Medium public welfare⋅facilities Small public welfare⋅facilities Street maintenance, parking lot, shared facilities Parking lot, shared facilities
Download Excel Table

조경은 ‘도시’라는 특정 공간에 물리적으로 구현되는 요소들의 복합적 구성을 통해 실재 경관을 창출하고 공간적 관계를 구축한다고 할 수 있다. 조경이라는 행위를 통해 창출된 공간에서 이뤄지는 인간의 행위와 주변 환경과의 상호관계는 ‘장소적 가치’로서 조경의 참여 의미가 될 수 있다. 이에 도시재생에서 조경의 참여 양상은 하드웨어 방식이라는 관점에서 실체적 공간을 창출하는 형태(form), 주변 환경과의 상호관계에서 형성되는 장소(place), 행위의 수용적 측면에서 공간구현의 목적인 용도(use)로 구분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방식으로는 결과로 완성되어 나타나는 실체가 아니라 지속적인 사회적 관계에서 만들어가는 과정(process)으로 그 의미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Table 3 참조).

Table 3. Landscape participation pattern in urban regeneration
Method Form & place Use
Hardware Area(面) regeneration Plaza ⋅ yard, park, garden, playground, resting place, village forest, waterfront, cultural history space, ecology experience space, buffer green area, botanical garden, etc. Greening Community Cultural enjoyment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Landscape improvement Safe ⋅ environment improvement Play ⋅ exercise, etc.
Line(線) regeneration Stream ⋅ creek, village alley, trail, pedestrian street, theme street, safe street, commercial street, life street, cultural history street, rainwater recycling road, etc.
Point(点) regeneration Street furniture, universal design specialized facilities
Software Process
Participation experience Village vegetable garden, gardening, community garden, village greenhouse, herb class, landscape tree platform, etc
Download Excel Table

조경은 공간을 기반으로 실재적인 재료의 적용을 통해 형태를 구현함으로써 외부경관과 장소를 구성하여 공간과 장소를 창출한다. 장소는 단순한 3차원적 공간이 아닌 인간의 활동과 시간 등과의 인과관계가 형성되고 행위와 연계하여 특정된 의미를 내포하는 공간으로 도시의 구성요소가 갖는 대표적 형상인 면(面), 선(線), 점(点)으로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Relph, 1976). 스케일에 따른 형질의 특성을 함께 고려해 본다면 외부공간에서 면(面)은 동질적 특징을 갖는 비교적 큰 면적 스케일로 표출되며, 선(線) 형태는 하나의 연속된 축으로 방향성을 형성하고, 점(点) 형태는 소규모 스케일의 거점으로서 특징적인 경관으로 나타난다(Figure 2 참조). 면(面)적 형태의 조경적 특성이 있는 도시재생 대상지는 도시공원, 광장 ⋅ 마당, 정원, 놀이터, 휴게쉼터, 마을숲, 수변공간, 문화 ⋅ 역사공간, 생태체험공간 등 11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선(線)적 형태의 조경적 특성이 있는 도시재생 대상지는 하천복원, 골목 ⋅ 마을길정비, 둘레길, 테마특화거리, 안심가로 조성 등 10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Table 3 참조).

jkila-50-6-96-g2
Figure 2. Type of form & place
Download Original Figure

외부공간에서 조경의 수용적 측면 행위의 목적인 용도는 기존 외부공간의 용도를 변경하여 새로운 역할의 공간을 창출하거나 낙후된 외부공간의 질을 개선하거나 활성화하는 등의 참여방식으로 나타난다. 녹화, 커뮤니티, 경관개선, 놀이와 운동, 자연환경복원, 문화향유 등의 조경적 특성이 있는 프로그램으로 재생산되어 기능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 내 탈산업화의 결과로 방치된 기존 폐산업화시설의 용도를 변화시킨 대표적인 사례인 경의선숲길 프로젝트는 선형의 철도부지 용도 특성을 살려 활용한 좋은 예다. 기존 경의선 철로에 연접한 상업 및 주거지역민들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된 철도 운행으로 인해 소음과 진동, 상권의 부재 등 직 ⋅ 간접적 환경적 피해를 감내해야 했다. 그러나 조경가의 창의력을 통한 공원화와 지역공동체의 재생으로 철도부지의 본질적 용도가 변경되어 브라운필드(Brownfield) 재생의 대표적 명소인 ‘경의선숲길’로서 존재적 가치를 갖게 되었다(Kim, 2018).

소프트웨어적 참여방식인 ‘과정으로 도시재생’은 그 자체로서 완결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성장하는 프로세스로 이해해야 함을 뜻한다. 도시재생은 특정 시기에 완결되어 나타나는 결과물이 아니며 사업의 초기 단계인 문제 분석 및 인식에서부터 출발한 ‘기획’의 과정과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설계(design)’과정, 그리고 이를 통해 도시민의 사회적 관계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가는 ‘운영’과정까지의 전 과정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Kim, 2003; Kim, 2003; Choi and Bae, 2016). 주민들의 참여가 필수적인 마을텃밭 조성, 마을온실 관리, 마을가드닝, 공동체정원 조성과 운영 등 주민 스스로의 자발적인 디자인 참여뿐만 아니라 시공단계까지의 과정적 활동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증가시킨 사례가 다수 확인되며, 이는 조경의 행위가 소프트웨어적 참여방식인 ‘과정’으로 확인될 수 있음을 말한다.

도시재생에서 조경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 참여방식은 공통적으로 조경적 특성으로도 의미를 내재한다. 조경의 참여 양상별 특성을 파악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지역은 2017년 68곳, 2018년 99곳, 2019년 98곳(도시재생 뉴딜 신사업 제외)으로 총 265개 사업으로 나타났다(Table 4, 5, 6 참조). 각 사업은 세부 추진내용과 연도별 사업유형에 따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조경의 참여 양상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였고 2019년도 하반기부터 추가된 혁신지구, 총괄 사업관리자, 인정사업4) 사업유형은 조경행위와의 관련성이 낮아 제외하였다.

Table 4.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2017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68 place)
Hardware Form & place Use Economy-based type(1p) Central city type(19p) Residential support type(16p) General neighbor-hood type(15p) Activate our neighborhood type(17p) Total
Area(面) regeneration Plaza ⋅ yard Community 6 3 2 11
Park Community ⋅ greening 1 11 6 9 7 34
Garden ⋅ roof garden Landscape improvement 1 2 3 6 12
Playground Play⋅exercise 2 3 5
Resting place(alley) Community 1 6 2 5 14
City forest⋅village forest Greening 4 1 2 1 8
Waterfront Community ⋅ greening 1 5 2 8
Cultural history space Cultural enjoyment 1 3 4
Ecology experience space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Buffer green area ⋅ idle land greening Greening 3 3 1 7
Botanical garden Greening
Line(線) regeneration Stream⋅creek restoration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2 2
Village alley repair Landscape improvement 2 5 3 6 16
Trail ⋅ Bike path Play ⋅ exercise 2 3 3 1 9
Pedestrian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5 8 6 6 25
Theme street Cultural enjoyment 12 8 9 4 33
Safe street Safe ⋅ environment improvement 3 4 4 5 16
Commercial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7 3 10
Life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1 5 2 2 10
Rainwater recycling road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Cultural history street Cultural enjoyment 1 5 1 2 1 10
Point(点) regeneration Street furniture, U.D specialized facilities (joint participation) Landscape improvement 1 2 3
Total(237) 5 72 54 56 50 237
Software Participation(experience) / process Economy-based type(1p) Central city type(19p) Residential support type(16p) General neighbor-hood type(15p) Activate our neighborhood type(17p) Total
Village vegetable garden 1 1 2 4
Village greenhouse 1 1
Herb class
Gardening, community garden
Village forest, landscape tree platform
Total(5) 1 1 3 5
Download Excel Table
Table 5.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2018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99 place)
Hardware Form & place Use Economy-based type(1p) Central city type(17p) Residential support type(28p) General neighborhood type(34p) Activate our neighborhood type(17p) Total
Area(面) regeneration Plaza ⋅ yard Community 1 6 8 6 4 25
Park Community ⋅ greening 3 8 23 16 14 64
Garden ⋅ roof garden Landscape improvement 1 8 6 2 17
Playground Play ⋅ exercise 6 5 3 14
Resting place(alley) Community 1 10 2 4 17
City forest ⋅ village forest Greening 1 1
Waterfront Community ⋅ greening
Cultural history space Cultural enjoyment
Ecology experience space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1 1
Buffer green area ⋅ idle land greening Greening 3 1 2 6
Botanical garden Greening
Line(線) regeneration Stream ⋅ creek restoration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Village alley repair Landscape improvement 1 11 14 6 32
Trail ⋅ bike path Play ⋅ exercise 3 7 6 1 17
Pedestrian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3 2 7 3 15
Theme street Cultural enjoyment 6 4 15 2 27
Safe street Safe ⋅ environment improvement 3 8 3 2 16
Commercial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5 5
Life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2 5 1 8
Rainwater recycling road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Cultural history street Cultural enjoyment 1 10 6 7 1 25
Point(点) regeneration Street furniture, U.D specialized facilities (joint participation) Landscape improvement 1 1 2
Total(287) 6 44 102 95 45 292
Software Participation(experience) / process Economy-based type(1p) Central city type(17p) Residential support type(28p) General neighbor-hood type(34p) Activate our neighborhood type(17p) Total
Village vegetable garden 5 4 2 11
Village greenhouse
Herb class
Gardening, community garden 1 1 1 3
Village forest, landscape tree platform 1 1 2
Total(16) 1 7 6 2 16
Download Excel Table
Table 6.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2019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98 place)
Hardware Form & place Use Economy-based type(1p) Central city type(20p) Residential support type(18p) General neighbor-hood type(40p) Activate our neighborhood type(18p) Total
Area(面) regeneration Plaza ⋅ yard Community 9 6 10 1 26
Park Community ⋅ greening 8 7 15 3 33
Garden ⋅ roof garden Landscape improvement 3 6 1 10
Playground Play ⋅ exercise 2 1 1 4
Resting place(alley) Community 3 3 5 3 14
City forest ⋅ village forest Greening 1 1 2 1 5
Waterfront Community ⋅ greening 1 3 4
Cultural history space Cultural enjoyment 2 3 1 6
Ecology experience space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Buffer green area ⋅ idle land greening Greening
Botanical garden Greening 1 1
Line(線) regeneration Stream ⋅ creek restoration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1 1 2
Village alley repair Landscape improvement 3 5 12 10 30
Trail ⋅ bike path Play ⋅ exercise 1 2 2 5
Pedestrian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1 6 5 3 15
Theme street Cultural enjoyment 2 13 2 19 3 39
Safe street Safe ⋅ environment improvement 1 8 8 8 25
Commercial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1 7 1 9
Life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1 2 3 6
Rainwater recycling road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1 1
Cultural history street Cultural enjoyment 8 10 1 19
Point(点) regeneration Street furniture, U.D specialized facilities (joint participation) Landscape improvement
Total(254) 4 55 48 108 39 254
Software Participation(experience) / process Economy-based type(1p) Central city type(20p) Residential support type(18p) General neighbor-hood type(40p) Activate our neighborhood type(18p) Total
Village vegetable garden 6 4 1 11
Village greenhouse
Herb class
Gardening, community garden 1 2 3 1 7
Village forest, Landscape tree platform
Total(18) 1 8 7 2 18
Download Excel Table

2017-2019년도 도시재생 뉴딜 선정사업에서 나타난 조경의 하드웨어적 방식은 사업 초기인 2017년도에 진행된 경제기반형 사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유형에서 일정한 빈도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9년도에는 일반근린형 사업에서는 그 빈도가 편중되어 나타났는데 형태와 장소적 측면에서는 면적 재생형인 공원, 광장 ⋅ 마당이, 선적 재생형으로는 테마특화거리 조성, 골몰길 ⋅ 마을길 정비에 참여가 집중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용도적 측면에서 커뮤니티 활성화, 도시 녹화, 불량경관 개선, 문화향유 등을 목적으로 하는 특성을 나타냈다(Figure 3 참조).

소프트웨어적 방식에 있어서는 2017년도에 참여 빈도가 극히 감소하여 마을(공동)텃밭의 운영이 주된 참여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들어 빈도가 증가하면서 마을(공동)텃밭 운영 외의 공동체정원 조성 및 운영, 가드닝 활동, 조경수 플랫폼 운영 등 그 참여 양상이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Figure 4 참조).

jkila-50-6-96-g3
Figure 4. Gardening & village vegetable garden of software method
Download Original Figure

사업 유형별로 조경적 특성의 분석 결과는 일반근린형 사업이 273개소(33.21%)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주거지지원형 220개소(26.76%), 중심시가지형 173개소(21.05%), 우리동네살리기 141개소(17.15%), 경제기반형 15개소(1.83%)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근린형 사업은 최근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부처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하거나 공공기관의 제안으로 진행되는 경제기반형 사업은 대형 규모 및 인프라 위주의 사업이 주를 이루는 특성상 가장 낮은 빈도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드웨어적 방식의 조경적 특성은 일반근린형 사업이 259개소(33.1%)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거지지원형, 중심시가지형, 우리동네살리기, 경제기반형 사업순으로 그 결과가 유사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사업에서 나타나는 조경의 빈도는 주거지지원형 사업에서 16개소(41%)로 가장 높고 일반근린형, 우리동네살리기, 중심시가지형 사업 순이었으며, 경제기반형 사업에서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참조).

jkila-50-6-96-g4
Figure 3. Park(area regeneration) & pedestrian street(line regeneration) of hardware method
Download Original Figure

결과적으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조경의 참여 빈도는 1개 단위사업당 3.1개소로 나타나 하드웨어적 방식(783개소, 95.3%)의 참여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나 최근 들어 소프트웨어적 방식(39개소, 4.7%)의 참여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분석되었다(Table 7 참조).

Table 7. Frequency analysis with landscape characteristics by project type
Division Economy-based type(6p) Central city type(56p) Residential support type(62p) General neighborhood type(89p) Activate our neighborhood type(52p) Total(265 place)
2017 (68p) Hardware 5 72 54 56 50 237(87.9%) 242s / 68p (3.6 spot/ place)
Software 1 1 3 5(2.1%)
2018 (99p) Hardware 6 44 102 95 45 292(94.8%) 308s / 99p (3.1 spot/ place)
Software 1 7 6 2 16(5.2%)
2019 (98p) Hardware 4 55 48 108 39 254(93.4%) 272s / 98p (2.8 spot/ place)
Software 1 8 7 2 18(6.6%)
Hardware subtotal 15(1.9%) 171(21.8%) 204(26.1%) 259(33.1%) 134(17.1%) 783s (95.3%)
Software subtotal 2(5.1%) 16(41.0%) 14(35.9%) 7(18.0%) 39s (4.7%)
Total 15s (1.83%) 173s (21.05%) 220s (26.76%) 273s (33.21%) 141s (17.15%) 822s/265p (3.1 spot/place)
Download Excel Table
Table 8. Analysi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hardware method
Division Form & place Use Note
Area(面) regeneration Line(線) regeneration Point(点) regeneration
Economy-based type Park(4) 〉 waterfront(2) 〉 plaza ⋅ yard(1), cultural history space(1) Cultural history street(2), theme street(2) 〉 trail(1) Street furniture(1) Community(6), greening(6) 〉 cultural enjoyment(5) 〉 landscape improvement(2) Up to 4th
Central city type Park(27) 〉 plaza ⋅ yard(21) 〉 waterfront(8) 〉 cultural history space(5), city forest(5) Theme street(26) 〉 cultural history street(23) 〉 pedestrian street(9) 〉 commercial street(8) Street furniture(1) U.D specialized facilities (1) Community(57) 〉 cultural enjoyment(54) 〉 greening (35) 〉 landscape improvement(31)
Residential support type Park(36) 〉 resting place(19) 〉 plaza ⋅ yard(14) 〉 garden(12) Village alley repair(21) 〉 safe street(16), pedestrian street(16) 〉 theme street(14) Community(69) 〉 landscape improvement(52) 〉 greening (46) 〉 safe ⋅ environment improvement(20)
General neighborhood type Park(40) 〉 plaza ⋅ yard(19) 〉 garden(15) 〉 resting place(10) Theme street(43) 〉 village alley repair(29) 〉 pedestrian street(18) 〉 commercial street(15) U.D specialized facilities (1) Community(68) 〉 landscape improvement(62) 〉 greening (55) 〉 cultural enjoyment(48)
Activate our neighborhood type Park(24) 〉 resting place(12) 〉 garden(9) 〉 plaza ⋅ yard(7), playground(7) Village alley repair(22) 〉 safe street(15) 〉 pedestrian street(12) 〉 theme street(9) Landscape improvement(42) 〉 greening (33) 〉 community(31) 〉 safe ⋅ environment improvement(15)
Total Park(131) 〉 plaza ⋅ yard(62) 〉 resting place(41) 〉 garden(36) 〉 waterfront(10) 〉 playground(7) 〉 cultural history space(6) 〉 city forest(5) Theme street(94) 〉 village alley repair(72) 〉 pedestrian street(55) 〉 safe street(31) 〉 cultural history street(25) 〉 commercial street(23) 〉 trail(1) Street furniture(2) U.D specialized facilities (2) Community(231) 〉 landscape improvement(189) 〉 greening (175) 〉 cultural enjoyment(107) 〉 safe ⋅ environment improvement(35)
Download Excel Table

각 사업의 세부 내용에서 하드웨어적 방식의 조경적 특성 분석을 보면 사업 대상지의 형태와 장소의 용도 측면에서 면적 재생형은 공원(131개소)이 가장 많이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사업 유형에서도 ‘공원’이 가장 높은 빈도 결과값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광장 ⋅ 마당(62개소), 휴게쉼터(45개소), 정원(39개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기반형과 중심시가지형 사업에서만 다른 사업유형에 없는 ‘문화 ⋅ 역사공간’, ‘친수공간’ 사업으로 참여가 이뤄지고 있었다. 선적 재생형에서는 테마특화거리(99개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골목길 ⋅ 마을길정비(78개소), 안심가로조성(57개소) 순이었다. 특이점은 경제기반형과 중심시가지형 사업에서만 ‘문화 ⋅ 역사가로’ 유형의 참여가 나타났고, 주거지지원형,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에서만 조경의 참여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점적 재생형은 가로경관 개선에 포함된 가로시설물(street furniture)과 유니버셜디자인 특화시설은 아주 낮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주거지지원형과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에서는 전무했다. 용도적 측면의 참여 양상은 전체적으로 커뮤니티(231개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관개선(189개소), 녹화(175개소), 문화 향유(107개소) 순이었다.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에서 경관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주거지 중심 사업인 주거지지원형과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에서는 안전 ⋅ 환경개선을 용도로 하는 조경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Table 8, 9 참조).

Table 9. Analysis of changes in landscape participation patterns
Hardware Form & place Use 2017 2018 2019 Total
Area(面) regeneration Plaza ⋅ yard Community 11 25 26 62
Park Community ⋅ greening 34 64 33 131
Garden ⋅ roof garden Landscape improvement 12 17 10 39
Playground Play ⋅ exercise 5 14 4 23
Resting place(alley) Community 14 17 14 45
City forest ⋅ village forest Greening 8 1 5 14
Waterfront Community ⋅ greening 8 4 12
Cultural history space Cultural enjoyment 4 6 10
Ecology experience space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1 1
Buffer green area ⋅ idle land greening Greening 7 6 13
Botanical garden Greening 1 1
Line(線) regeneration Stream ⋅ creek restoration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2 2 4
Village alley repair Landscape improvement 16 32 30 78
Trail ⋅ bike path Play ⋅ exercise 9 17 5 31
Pedestrian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25 15 15 55
Theme street Cultural enjoyment 33 27 39 99
Safe street Safe ⋅ environment improvement 16 16 25 57
Commercial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10 5 9 24
Life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10 8 6 24
Rainwater recycling road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1 1
Cultural history street Cultural enjoyment 10 25 19 54
Point(点) regeneration Street furniture, U.D specialized facilities Landscape improvement 3 2 5
Total(783) 237 292 254 783
Software Participation(experience) / process 2017 2018 2019 Total
Village vegetable garden 4 11 11 26
Village greenhouse 1 1
Herb class
Gardening, community garden 3 7 10
Village forest, landscape tree platform 2 2
Total(39) 5 16 18 39
Download Excel Table

본 연구는 현재 추진 중인 도시재생사업에서 핵심전략으로서 조경의 역할과 존재 가치를 세부사업 유형별로 확인하고자 출발하였다. 도시재생사업에서 나타난 조경의 표출방식을 참여 양상으로 해석하고 3개년간 수행된 각 사업의 유형에 따라 표출되는 조경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인 총 256개의 도시재생사업 중 조경적 특성이 나타난 개별 사업지는 총 822개(중복)로 각 사업별로 3개소 이상이었다. 하드웨어 방식의 특성을 갖는 사업은 783개소로 소프트웨어 방식의 사업으로 조사된 39개소보다 월등히 많이 나타났다. 사업유형별로 보면 일반근린형 사업이 273개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거지지원형, 중심시가지형, 우리동네살리기, 경제기반형 사업순으로 나타났다. 일반근린형 사업은 최근 들어 조경적 특성을 갖는 사업빈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나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경적 특성 중 하드웨어 방식으로 분류 가능한 형태와 장소적 측면에서는 면(面)적 재생형, 선(線)적 재생형, 점적 재생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조경적 특성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면(面)적 재생형의 경우 공원 조성의 형태가 모든 사업유형에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광장 ⋅ 마당(중심시가지형과 일반근린형 사업에서 2순위), 휴게쉼터(주거지지원형과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에서 2순위), 정원 순이었다. 선(線)적 재생형에서는 테마특화거리 조성, 골목길 ⋅ 마을길 정비가 전체적으로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중심시가지형과 일반근린형 사업에서는 상업가로 조성이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거지지원형,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에서는 골목길 ⋅ 마을길 정비가 많았으며 다음으로 안심가로 조성이 빈도가 높았는데 이는 사업 대상지역의 슬럼화, 유동인구의 감소 등의 이유로 파악된다. 점(点)적 재생형은 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일반근린형 사업에서 가로시설물과 유니버셜디자인이 적용된 시설이 확인되는데 가로경관 개선의 중요도와 우선도가 높은 사업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하드웨어 방식의 용도적 측면에서는 모든 사업유형에서 커뮤니티 기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특성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은 커뮤니티와 녹화의 기능 강화보다는 경관개선을 위한 시설 위주의 내용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일반근린형 사업에서는 사업의 특성상 커뮤니티, 경관개선, 녹화 용도 다음으로 문화향유 용도가 나타났고, 주거지지원형 및 우리동네살리기 사업에서는 안전 ⋅ 환경개선의 용도가 뚜렷이 나타났다. 넷째, 소프트웨어 방식인 과정적 측면에서는 경제기반형 사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유형에서 나타났으며 주거지지원형, 일반근린형, 우리동네살리기, 중심시가지형 사업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마을(공동)텃밭, 가드닝, 공동체정원, 마을온실, 허브교실 등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체험 및 활동프로그램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주민들 간 공동체 의식함양 효과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참여 빈도 증가 및 양상이 다양해지는 추세로 파악되었다.

즉, 조경은 사업유형의 특징, 제안의 주체 특성, 재생전략의 방향, 주민참여도 등의 여러 분야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사업유형에 따라 변화된 의미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추진 도시재생사업에서도 조경은 도시재생의 과정적 가치를 내포하며 다의적이고 복합적인 결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도시재생사업이 초기보다 점진적으로 조경의 참여 빈도가 줄어들면서 일부 사업유형(일반근린형, 주거지지원형)에 편중되고 있는 점과 하드웨어 방식의 면(面)적 재생 유형에서 공원 형태의 조성에만 집중되고 있어 참여 유형의 다양성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로 해석된다. 또한 조경의 소프트웨어 방식인 과정적 참여 측면에서도 체험활동의 다양화와 활동프로그램 활성화 등 주민들 간 공동체 의식함양에 효과적인 조경 참여의 확대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도시재생사업에서 다양한 주체의 진단과 문제해결 관점에서 조경 참여의 필연성과 도시재생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하는 세부전략으로 조경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연구의 대상과 범위의 설정에 있어서 최근 3년간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한정된 것과 사업별 활성화 계획서의 내용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은 한계로 남는다. 향후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지역별, 주체별, 예산 규모별 분석 등을 추가하여 도출된 도시재생사업의 조경적 특성이 실제적 장소에 구현되는 과정과 도시재생의 핵심적 동인으로 조경이 작동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와 실증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Notes

도시재생 연구분야는 도시공학(21%), 건축학(18%), 예술학(13%), 인문학(12%), 행정학(12%), 문화학(7%), 지역학(5%), 환경학(4%), 지리학(3%), 경제학(2%), 조경학(1%), 관광학(1%), 토목공학(1%), 사회학(1%)으로 분류함.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는「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제29조에 의해 국토교통부에서 LH(도시재생지원기구)로 시스템의 구축ㆍ운영관리에 관한 업무를 위탁하여 2014년부터 정책소개, 사업 현황, 지식 및 배움터 등에 대한 정보서비스와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및 활성화지역 발굴을 위한 기초분석 등의 기능을 수행함.

2019년 하반기부터 도입된 도시재생 뉴딜 신사업은 18곳이며, 2020년에는 68곳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에 미포함함.

인정사업은 도시재생전략계획이 수립된 지역 내에서 활성화 계획 없이 생활SOC, 임대주택, 상가공급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점 단위 도시재생사업으로 토지면적 10만m2 미만, 사업기간 3년간, 사업규모에 따라 10억원-50억원 지원되는 제도임.

References

1.

Ahn, S. W.(2017) Understanding the Flow of Regional 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Policies. Suwon City Sustainable City Foundation Report.

2.

Cho, S. H.(2010) Practical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an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2): 109-118.

3.

Cho, S. J.(2018) Existent Characteristic and Contribution of Architecture on the Urban Regeneration. Ph.D.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4.

Choi, H. Y. and J. H. Bae(2016) Step-by-step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through construction of public discourse and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2): 11-24.

5.

Jang, C. G., M. R. Hwang, J. Y. Shin and S. K. Jeong(2017) Analysis of satisfaction on alley garden’s components through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6): 137-148.

6.

Kang, M. H.(2017) The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7.

Kang, M. H., H. S. Song, and M. H. Lee(2017)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 between participa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3(6): 31-37.

8.

Kim, J. A.(2017) Urban Garden as part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s.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9.

Kim, J. E. and S. W. Kim(2014) A Study on the Renovation Method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Urban Regeneration.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pp. 705-714.

10.

Kim, N. E.(2018)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actors of Gyeongui-Line Forest Park Utilizing the Disused Railroad Abandoned Grounds.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11.

Kim, Y. K.(2003) A study on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as an act of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2): 73-85.

12.

Kim, Y. K.(2003) Community participatory small park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1): 78-89.

13.

Kim, Y. W.(2009) Significance of the Era and Future Tasks of Urban Regeneration (21st Century Regional Small and Medium-Sized City Regeneration-Expert Workshop). Korea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p. 6.

14.

Lee, A. R.(2018) Analysi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Structure in Resident Participation Type Urban Greening Projects.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15.

Lee, G. L.(2018) Analysis on Factors of Urban Nature Environment Regeneration and on Their Regeneration Effects.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16.

Lee, H. T.(2016) A Study on an Identity of City and the Meaning of Placeness through Urban Regeneration. Master’s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17.

Park, J. M., J. K. Choi and E. Y. Park(2016) A study on urban gardening in everyday life towar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3): 13-24.

18.

Relph, A.(1976) Place and Placelessness. Translated by D H. Kim. Nonhyeong Press, Seoul.

19.

Sim, J. Y. and K. J. Cho(2015)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2):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