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rticle

이전적지 공원으로서 서울 보라매공원의 변화와 의미

서영애*, 박희성**, 길지혜***, 김정화****, 이상민*****, 최혜영******
Young-Ai Seo*, Hee-Soung Park**, Jihye Gil***, Jung-Hwa Kim****, Sang Min Lee*****, Hyeyoung Choi******
*기술사사무소 이수 소장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
***이코모스한국위원회 상임간사
****네바다대학교 라스베가스 건축대학 조교수
*****건축공간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부교수
*Director, ESOO Landscape Architects
**Research Professor, Institute of Seoul Studies University of Seoul
***Secretary, COMOS Korea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Senior Research Fellow,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Associate Professor,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Hee-Soung Park, Research Professor, Institute of Seoul Studies,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Tel.: +82-2-6490-5365, E-mail: janeha@naver.com

본 논문은 서울기록원에서 진행한 “2021년 소장기록 정리․기술 및 온라인 콘텐츠 개발 사업” 연구 내용의 일부이며, 2022년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원고를 보완하여 작성하였음.

© Copyright 2023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14, 2022; Revised: Feb 14, 2023; Accepted: Feb 14, 2023

Published Online: Feb 28, 2023

국문초록

서울 보라매공원은 1985년 공군사관학교가 청주시로 이전한 후 1986년 5월 5일에 개원하였다. 공군사관학교 이전적지에서 출발한 서울 보라매공원의 태동과 변화를 조망하고 공원의 가치를 진단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서울시 공공기록물을 중심으로 정책 보고서와 신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전적지 공원으로서 서울 보라매공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보라매공원은 이전적지 공원 정책이 본격화되기 이전에 조성된 대규모 이전적지 공원으로 분류된다. 둘째, 서울 보라매공원은 다방면에서 공군사관학교의 기억과 흔적이 중첩하여 운영한 공원이라는 점에서 공원사적 가치를 가진다. 셋째, 이전적지 공원을 도시계획적으로 활용하여 공공적 가치를 도모함으로써 지역의 변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선도적이다. 서울 보라매공원은 도심에 대규모 공원녹지 면적을 확보한 전례 없는 사례이자 이전적지 공원으로서 기능과 역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한국 조경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ABSTRACT

Seoul Boramae Park was opened on May 5, 1986, after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cademy relocated to Cheongju City in 198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irth and evolution of Seoul Boramae Park and diagnose the park's value being transformed from the former site of the Air Force Academy. Policy reports and newspaper data were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focusing on Seoul public record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oul Boramae Park is a large-scale park created before the policy for parks on relocated sites we enacted. Second, Seoul Boramae Park has historical value as an urban park where memories and traces of the Air Force Academy overlap. Third, Seou Boramae Park contributed to regional change by promoting the public value of parks created on the relocated sites with an urban planning method. Seoul Boramae Park has implications for Korean landscape history as a case of securing large green areas in Seoul and presenting its function and roles as a park created on a relocated site.

Keywords: 공공기록물; 공군사관학교; 대형공원; 도시공원; 조경아카이브
Keywords: Public Records; Air Force Academy; Large Parks; Urban Parks; Landscape Archives

1. 서론

1.1 연구배경과 목적

서울 보라매공원(이하 보라매공원)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동작구 외 영등포구, 구로구, 관악구에 이르는 지역에서 이용하는 서울 서남권의 대표 도시공원이다. 총면적 413,352m2의 대형공원인 보라매공원 자리에는 본래 공군사관학교가 있었다. 1958년부터 신대방동에 자리한 공군사관학교는 1985년 12월 10일 충청북도 청주시로 이전하기 전까지 34기 졸업 생도를 배출했다. 공원사관학교가 떠난 자리에 공원이 들어설 것이 결정되었고 공원의 이름은 공군을 기념하기 위해 보라매공원으로 정한다(동작구지, 1994). 보라매공원은 공군사관학교가 1985년 12월에 이전한 후, 곧바로 보수를 시작하여 1986년 5월 5일 개원했다.

공군사관학교가 있던 자리의 보라매공원은 이전적지(移轉跡地) 공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전적지가 법제에 등장한 것은 1982년「수도권정비계획법」이 처음이다. 이 법제에서는 이전적지를 “수도권 정비계획에 따라 이전한 이전촉진권역 안의 인구집중유발시설의 종전의 대지”로 정의하였고, 이후 동법의 전문개정에 따라 ‘종전대지’로 용어가 변경되었다1).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이전적지는 “정부 및 지자체의 시책, 도시 기능 및 사회적 여건 변화 등 내․외부 영향으로 인해 시설이 도시 외곽으로 이전함에 따라 발생한 부지 또는 건축물”로 정의된다(조판기와 김진수, 2018).

법령 제정 이전에도 이전적지가 공원이 된 사례는 여럿 있다. 서울 어린이대공원은 한국 조경의 출발과 함께 한 대표적인 이전적지 공원이다. 본래 골프장이었던 이곳은 1970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공원화가 결정된 후 기존 자연과 잔디밭을 최대한 보존하여 6개월간의 공사를 끝내고 1973년 5월 5일 어린이날 개원했다(손성일, 2021). 1980년대에는 보라매공원처럼 사관학교가 이전하고 공원이 되거나 군부대가 이전한 자리에 공원이 조성되는 경우도 있었다. 문래공원의 경우, 1986년에 육군부대가 있던 곳에 개원했다(고하정, 2022: 136).

이전적지 공원화는 서울시가 1980년대부터 공원용지 확보를 위해 시작하였다(서울특별시, 1985a). 이전적지 공원화가 정책적으로 실행된 것은 1996년「공원확충 5개년계획」수립 이후부터다(서울특별시, 1996). 그러나 이전적지 공원화사업의 유형을 연구한 강효정의 주장처럼 이전적지 공원화사업은 2000년대에 본격화되었다(강효정, 2014).

본 연구의 대상인 보라매공원은 이전적지 공원화 사업이 제도로 자리 잡기 전에 계획, 조성된 이전적지 공원화의 초기 사례라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군사관학교 이전적지에서 출발한 보라매공원의 태동과 변화를 조망하고 초기 이전적지 공원으로서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1.2 공공기록물 현황과 조사

연구의 주요 방법은 문헌 고찰이다. 전거가 되는 문헌은 서울시 소장의 공공기록물이며, 구지(區誌)와 정책 보고서, 신문자료 등 관련 자료를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진은 2021년 3월부터 약 7개월간 보라매공원에 관한 서울시 소장의 공공기록물의 상황을 살피고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보라매공원의 공공기록물은 세 가지 유형으로 파악되었는데, 보관 연한이 지나 서울기록원에 이관된 전자문서와 보관 연한을 넘기지 않아 서울시 기록시스템에 있는 미이관 전자문서, 보라매공원 소관의 서울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에서 보관 중인 비전자문서(실물자료)와 전자문서로 구분되었다. 세 유형의 기록물은 모두 보라매공원 관계자료이지만, 보관처가 다르고 기록의 유형도 조금씩 다르다. 또 자료는 각기 흩어져 있어서, 이번 연구를 통해 모두 수집, 검토하였다.

동부공원녹지사업소의 보라매공원 기록물은 CD 내 전자문서와 자체 서고에 보관 중인 서류와 도면 등의 실물 자료로 구분된다. 확인한 결과, CD에는 2000년부터 2018년 동안의 보고자료, 준공도면, 보고서, 내역서 등이 담겨있고 총 99장이 확인되었다. 사업소 2층 서고에는 서류 보관 상자 178개와 23개의 도면, 중요 보고서(보라매공원기본계획, 1단계 재정비사업, 2, 3단계 재정비사업) 등이 보관되어 있다2).

서울기록원에 이관된 기록물에서는 ‘보라매공원’, ‘공군사관학교’, ‘공군대학’으로 검색하여 1차 추출하고 민원처리 기록을 제외하고 공원조성과 시설에 관련한 기록물 총 64건을 최종 선별하였다. 보라매공원에 관한 최초 공공기록은 1962년 공군사관학교 주변의 사방조림사업에 대한 서류(서울특별시, 1962)이며 공군사관학교 이전과 공원조성에 관한 기록은 1985년부터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보라매공원에 관련한 서울기록원 소장 자료는 구체적인 공원화 과정과 도시계획시설결정의 내용 및 과정을 파악하는 근거가 된다.

서울기록원에 이관되지 않은 서울시 기록관리시스템 자료는 보라매공원을 주제어로 하고 시기별로 검색하여 선별하였다. 1980년부터 2021년 8월까지 ‘보라매공원’으로 검색한 결과 통합검색 12,951개, 기록물 건 12,863개, 기록물 철 86개, 특수기록물 21개가 1차 검색되었다. 여기에 ‘결과 내 검색어 기능’을 이용하여 일반 서류를 걸러내었다. 결과 내 검색어 기능에 사용한 주요 주제어는 기본계획, 1단계 재정비, 2, 3단계 재정비, 생태연못, 보라매병원, 무장애, 공군사관학교 등이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추려진 기록물은(보라매공원)추진계획, 보고회 개최, 자문회의 개최, 최종 보고 일정 등의 업무 관련 성격의 자료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재서류에서는 공원 조성 규모, 범위, 예산 등을 파악하였다.

1.3 선행 연구와 연구 내용

이전적지 연구는 도시, 건축, 행정,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이전적지로 인한 도시공간구조나 주변지역의 변화양상, 도시재생 측면에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길연진, 1990; 지준만과 김형주, 2015, 조성우와 김항집, 2022), 이전적지 대상지의 활용, 공공기여, 개발이익에 관련한 연구도 있다(최정우, 1997; 유송화, 2007; 이대영, 2007; 함정훈과 최유정, 2011; 박상현과 임동열, 2016). 이전적지 유형도 학교, 군사시설, 공공기관, 공장, 폐철도 등 다양하다.

이전적지 공원 연구는 도시재생, 설계전략, 장소성을 주제로 이루어졌다. 도시재생과 관련한 연구로 이춘홍은 삼덕공원의 공원 설계를 도시성장의 가능성으로 해석했으며(이춘홍, 2006), 김은주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해서 군 이적지를 대상으로 설계전략을 분석했다(김은주, 2008). 박준영은 군사시설의 이전적지 공원화는 도시재생과 지역 활성화 차원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제안했고(박준영 외, 2004), 전경숙은 폐선부지에서 푸른길공원이 된 광주의 사례를 도시재생의 관점으로 의의를 분석했다(전경숙, 2009). 장소성과 주변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로, 임승빈은 선유도공원과 서울숲공원을 대상으로 공원의 장소정체성과 공간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연구했다(임승빈 외, 2012). 김예슬은 공장 이전적지의 공원화로 인한 도시공간 변화와 장소성을(김예슬과 구영민, 2020), 김홍배는 이전적지 공원 정책의 편익부분과 주변 지역주민의 복지를 측정했다(김홍배 외, 2004). 강효정은 이전적지 공원화 과정에서 다룬 장소성을 통해 근대 산업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에 기인하고 있음을 분석했다(강효정, 2014).

본 연구는 이전적지 공원의 대표 사례를 공공기록물을 통해서 공원 조성과 변화과정을 탐색한다는 점, 1980년대 이전적지 공원화 사례를 다룬다는 점, 이전적지라는 특성에 기반하여 공원과 주변 변화의 관계를 살펴본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연구 과정과 내용으로, 2장에서는 공공기록물을 토대로 보라매공원의 형성과 변화과정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보라매공원 자체의 변화와 공원 주변의 변화를 포함하여 고찰할 것이다. 3장에서는 한국 이전적지 공원화의 흐름 속에서 보라매공원 조성은 어떤 특성을 갖는지 밝힌다. 공원 주변과 공원은 어떤 관계 속에서 오늘에 이르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전적지 공원으로서의 의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공공기록만으로는 파악이 어렵거나 논거가 부족한 부분은 정책 보고서, 신문자료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4장에서는 결론을 도출하고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한다.

2. 공공기록으로 본 보라매공원

2.1 보라매공원의 조성과 변화

1985년 서울시가 진행한 ╔공사이전적지(空士移轉跡地) 활용계획╝ 학술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공군사관학교 이전계획이 확정된 이후 서울시는 1982년 9월 26일에 공군사관학교로부터 부지 126,204평과 부지 내 시설물, 조경 수목 등의 매수계약을 체결했다. 서울시는 부지 매입비 총 367억 원을 공사가 완전히 이전되는 1985년 9월까지 4년에 걸쳐 지불 완료했는데(수도권개발연구소, 1985), 학교 이전부지의 공원 활용계획을 매입비를 채 완납하기도 전인 당해 2월에 수립한 걸 보면, 이곳의 공원계획은 속도감 있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공군사관학교 이전부지에 공원이 들어설 것이 결정됨에 따라, 서울시는 관계 기관 회의를 열어 학교 건물을 어느 부처에서 관리하고 이용할 것인지를 확정했다(서울특별시, 1985b). 이듬해에는 보라매공원 이용과 시설보수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고 기존 시설을 청소년 교양 및 복지시설로 활용한다는 방침에 따라 건물 41동에 대한 이용과 관리 주체를 정했다. 벤치, 화장실, 파고라 등의 편의 시설 계획, 버즘나무 등의 수목 이식계획, 정문 보수 계획 등도 연이어 수립했다(서울특별시, 1986a). 1986년 3월 설계심사자료 보완 보고 기록에 따르면, “보라매공원의 시설보완사업은 4월 말까지는 완료되어야 할 우리 시의 역점사업”이라고 강조하면서 조속히 설계를 완료할 것을 지시했다(서울특별시, 1986b). 당시 자료에서는 기존 건물의 활용, 공원 이용과 시설보수, 식재 이식, 정문 보수 등의 계획이 주로 수립되었는데, 기존 시설 대부분을 공원시설로 전용함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가장 먼저 계획된 공원시설 이용 및 보수계획도(Figure 1 참조)와 1987년의 보라매공원조성계획 결정을 위한 계획도(Figure 2 참조)를 비교하면, 공간의 기존 시설을 대부분 그대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서울특별시, 1987a).

jkila-51-1-85-g1
Figure 1. 보라매공원시설이용 및 보수계획

Source: 서울특별시, 1986a, 기록물건 ID: 20110000550395

Download Original Figure
jkila-51-1-85-g2
Figure 2. 보라매공원조성계획 결정을 위한 계획도

Source: 서울특별시, 1987a, 기록물건 ID: 20110000536882

Download Original Figure

서울시는 1985년에 수행한 ╔공사이전적지 활용계획╝에서, 상업업무시설과 백화점, 전문상가, 쇼핑센터를 지역 중심에 두고 그 배후에 공원을 두는 등, 일대에 전면적인 변화를 계획한 바 있었다(Figure 3 참조). 그러나 실제로는 학교시설을 대부분 재활용하는 보수계획을 다시 수립했고 그 결과 공군사관학교의 장소성을 공원에 상당 부분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jkila-51-1-85-g3
Figure 3. 공사이전적지 종합계획도

Source: 수도권개발연구소, 1985, 7.

Download Original Figure

개원한 지 35여 년이 지난 보라매공원에는 개원 때 만들어져서 지금까지 유지되는 시설이 있는가 하면, 시기에 따라 계속 변하는 시설도 있다. 개원한 시점부터 10년대를 단위로 검토하면, 변화하는 공원시설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1980년대는 동물원과 기념비 등의 시설이 주를 이룬다. 개원 직후에는 연못 근처에 소동물원을 조성하였는데, 서울대공원에서 분양 가능한 동물을 선정하여 수용하였다. 수용동물로는 사슴, 원숭이, 공작, 꿩, 물새 등이다(서울특별시, 1986d). 이어서 독립운동가 김마리아의 동상이 건립되었고(서울특별시, 1987b), 반탁, 반공 학생운동기념비와 탑이 건립되었다. 소동물원이 1990년대에 철거된 것에 비해, 동상과 기념비, 탑 시설은 지금까지 공원의 주요 시설로 남아있다. 이는 남산공원과 어린이대공원, 사직공원, 효창공원 등 오래된 도시공원에 소동물원을 두거나 기념비, 동상 등을 설치한 것과 궤를 같이 한다.

1990년대는 공원시설의 민자 운영이 시도되었다. 공군사관학교 시설이었던 수영장(서울특별시, 1990a)과 테니스장(서울특별시, 1990b)은 보완공사를 거쳐 민간 자본으로 운영된다. 기록에는 시설물 현황과 투자비, 입장료 징수 등의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롤러스케이트장도 입장료를 받고 운영한 것으로 파악된다(서울특별시, 1988). 이를 통해 보라매공원의 일부 시설을 민간 자본으로 유치해서 기부채납 및 무상 사용기간을 설정한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일부 건물의 활용을 변경하거나, 연못을 보수하는 등의 부분 공사를 통해 기존 시설을 유지하며 공원을 운영하였다.

보라매공원은 200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변화하는데, 서울시 정책이 시기별로 반영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변화하는 시민의 여가문화를 시의적절하게 반영하고자 하는 의지가 보인다. 공원 초창기부터 있었던 체육․운동시설의 연장선상에서 청소년시설을 집중하여 개선함으로써 보라매공원의 특징을 찾아가는 과정이 나타난다.

2000년, 설계공모를 통해 공원 기본계획을 수립한 것을 시작으로, 2002년부터는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시설 정비를 3단계에 걸쳐 진행했다(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2000; 2002; 2004)(Figure 4 참조). 1단계인 2002년에서 2004년까지는 운동시설, 시민의 숲, X-게임장, 다이내믹트랙을 계획하였고, 2단계 사업으로 2005년에 연못개선, 음악분수, 인조잔디 축구장, 공원휴게소, 농사체험장을 계획하였다. 2006년 3단계 사업에서는 보람잔디광장, 에어파크, 어린이교통공원, 환경에너지체험관을 계획하였다(서울특별시, 2006)(Figure 5 참조).

jkila-51-1-85-g4
Figure 4. 보라매공원 기본계획 및 2, 3차 재정비계획 보고서

Source: 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소장 그림

Download Original Figure
jkila-51-1-85-g5
Figure 5. 보라매공원청소년공원 제2,3단계 재정비사업 추진계획

Source: 서울특별시 기록관리시스템, 2006

Download Original Figure

단계별 재조성이 완료된 2010년대부터는 테마놀이터 재조성(2012년), 무장애친화공원조성(2013년), 반려견놀이터(2015년), 유아숲 체험장(2019년)이 조성되었다. 2022년에는 ‘서남권 보라매공원 테마놀이터 조성 설계공모’를 통해 놀이터 재조성 계획을 했고(서울특별시, 2022), 2023년 재개장을 앞두고 있다. 소동물원 조성부터 시작된 보라매공원의 시설은 서울시 정책이나 시민의 요구에 따라 정비를 거듭하며 변화하고 있다(Figure 6 참조).

jkila-51-1-85-g6
Figure 6. 보라매공원 개원 초기에 조성된 소동물원과 2015년 조성된 반려견놀이터

Source: a: 서울특별시, 1986d, b: 서영애, 2021

Download Original Figure
2.2 보라매공원 주변의 변화

보라매공원 주변의 가장 큰 변화로, 공군사관학교 이전적지가 공원이 되는 과정에서 일부 용지를 상업용으로 민간에 매각하여 개발한 점, 수영장부지를 포함한 일대에 보라매병원이 들어서서 공원부지가 일부 축소된 점, 공군대학 이전 후 공공시설이 들어선 점 등을 들 수 있다.

1986년 서울시 도시계획국에서 동작구청장과 관악구청장에게 보낸 ‘보라매공원 상업지역 활용계획’ 기록에는 공군사관학교의 남동측 부지를 민간에 매각하여 상업시설을 계획하는 내용이 대안별 구상 도면과 실행 시 문제점, 대책, 일정 등과 함께 구체적으로 담겨있다. 계획 목적은 “낙후된 관악, 동작구 일부 생활권에 취약기능을 보완하는 백화점, 쇼핑센터 등 계획적인 지역중심시설을 개발”하는 것이었고 면적은 71,000m2이며 가능 시설로 백화점, 쇼핑센터, 위락시설, 호텔, 극장, 예식장, 복합업무시설 등을 제안하였다(서울특별시, 1986c). 공원 접근성을 위해 1988년 11월부터 1989년 4월까지 도림천과 봉천천이 합류하는 구간에 복개공사도 추진했다(조선일보, 1988년 11월 23일자).

공군대학은 공군사관학교와 같이 1956년에 개교한 전문학교로, 보라매공원 서쪽에 자리 잡고 있었다. 1993년에 공군대학이 대전으로 이전 확정되었는데, 이때도 공군대학 이전부지(107,778m2) 활용을 검토했던 사실을 1993년에 생산된 여러 공공기록물을 통해 파악하였다. 기록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 공군대학 부지에는 초․고교, 기상청, 소방서, 수도사업소, 어린이야구장 외에도 업무시설을 계획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서울특별시, 1993a). 실재 이 부지에는 보라매초등학교, 수도여고, 기상청, 동작구민체육센터, 소방서, 수도사업소가 조성되었다. 이러한 공군사관학교와 공군대학의 이적지 변화는 1993년 ‘공군대학 이적지 부지 사용협의’ 기록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서울특별시, 1993b)(Figure 7 참조).

jkila-51-1-85-g7
Figure 7. 보라매공원과 주변의 토지이용계획도: 보라매공원 부지 중 상업용지로 개발된 부분과 보라매병원 초기 구역, 인접한 공군대학의 위치가 확인된다

Source: 서울특별시, 1993b, 기록물건 ID: 21030000124111

Download Original Figure

공원 주변의 병원, 학교, 공공기관 등과 연관된 기록들도 발견된다. 공원의 관리를 담당하는 동부공원녹지사업소측에서는 병원 북측의 숲에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산책로와 편익시설을 조성하였다(서울특별시, 2009). 소방서(서울특별시, 2011)와 보라매초등학교(서울특별시, 2014b)는 보라매공원에서 훈련이나 체육 행사를 개최하는 등 공원 프로그램을 통해 소통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공원부지를 일부 해제하고 들어선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은 1955년에 출범한 서울특별시립영등포병원이 전신이다. 서울시는 보라매공원부지에 병원 건물을 신축하고 영등포병원을 보라매병원으로 바꿔 1991년 11월 18일 개원한다. 2003년에는 서남3권(동작구, 관악구) 지역 내 병상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보라매병원 별관을 증축하는 시설확충계획이 진행된다. 그리고 보라매병원 후면에 인접해 있던 수영장 부지(7,187m2)를 종합의료시설로 변경하고 공원부지 해제를 위한 도시계획시설변경이 시행되었다(서울특별시, 2003). 병원 신축과 증축으로 공원의 경계는 변경되었고 1990년대에 비해 면적도 축소되어 오늘에 이른다. 2022년에는 보라매공원을 관통하는 신림 경전철이 완공되었다. 보라매병원역과 보라매공원입구역이 동서 방향에 각각 들어섰고 일부 부지 지하에 차량기지가 건설되고 상부에 공원이 조성되었다(Figure 8 참조).

jkila-51-1-85-g8
Figure 8. 2022년 보라매공원 현황도

Source: 서울특별시, 2022

Download Original Figure
2.3 소결

기록을 토대로 본 보라매공원과 주변의 주요 변화를 그림으로 요약하였다(Figure 9 참조). 1986년 공원 개원과 동시에 상업지역의 활용계획이 수립되었고, 1993년 공군대학 이전과 함께 이전적지에 대한 공공시설 계획이 수립되었다. 2000년까지 소동물원 외에 공원에 큰 변화는 없었으나 기본계획 수립 이후 단계별로 여러 가지 공원시설의 변화가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공공기록에 있는 내용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주요 변곡점에서 공원과 주변의 변화가 관련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jkila-51-1-85-g9
Figure 9. 기록으로 본 보라매공원과 주변의 주요 변화
Download Original Figure

3. 이전적지에서 공원으로, 보라매공원의 특성

3.1 대형공원으로서 보라매공원

보라매공원이 대형공원이 된 직접적인 요인은 공군사관학교 이전적지 대부분을 공원으로 전용할 수 있었기 때문

이다. 이것이 가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86아시안게임 준비에 따른 것도 있지만, 당시의 도시 및 녹지계획 정책도 무시할 수 없다. 1980년대 들어, 정부와 서울시는 공원 조성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명하였고 공원 부지를 확보하려는 노력을 시작하였다. 보라매공원 일대 지역에 한정하여, 도시공원이 조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85년 내무부에서는 ‘전국토공원화운동’을 공식 발표하고 86아시아게임과 88서울올림픽을 대비한 국토 환경 향상에 주력하였다(내무부, 1985). 같은 해 수립한 서울시 공원녹지정책에는 부족한 공원녹지 용지의 확보를 위해 ‘이전적지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명시하였다(서울특별시, 1985a: 285). 1986년 1월에는 아시안게임의 해를 맞아 “푸른 서울”을 내세우고 예산 천억 원을 들여 공원을 대대적으로 확충하고 보수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1986년 신문기사에 따르면, ‘잇단 공원개장’이라는 제목으로 “서울시가 88올림픽 유치를 결정한 뒤 지난 80년부터 의욕적으로 도심공원인 근린공원과 어린이공원을 중심으로 공원을 조성, 지금까지 10여 개 근린공원과 어린이공원 5백여 개가 마련되었다”라고 하였는데, 여기에는 보라매공원도 포함되어 있다(경향신문, 1986년 7월 1일자).

보라매공원 주변의 대방동, 노량진, 신길동, 문래동 일대는 육․해․공군 시설이 밀집된 지역으로 도시개발에 제약이 많은 곳이었다. 노태우 정부가 1988년 국토 균형개발 및 수도권 인구 분산을 위하여 서울에 집중되어 있던 각 군의 본부를 지방으로 이전하는 이른바 ‘620계획’을 발표하면서(영등포구, 2002), 이 지역의 군 시설의 이전은 공식화된다3). 공군사관학교 이전적지의 보라매공원과 육군부대 이전적지의 문래공원 외에도, 공군본부 이전적지에 조성된 노량진공원의 기록도 도시계획변경결정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서울특별시, 1991).

보라매공원에는 개원 당시 청소년 관련 시설을 집중적으로 갖춘 특징이 있다. 신문 매체에서도 ‘보라매공원 청소년 전용으로’라는 제목으로 2천 5백석 규모의 독서실과 각종 체육시설을 갖춘 청소년공원으로 조성된다고 보도하였다. 청소년시설을 26억 8백만 원을 들여 1986년 8월 말까지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서울시는 신대방동은 물론 관악구 봉천동과 신림동, 구로구 구로동 등 밀집된 인구에 비해 청소년시설이 크게 부족해 공원과 그 일대에 독서실과 정서 시설을 집중 배치했다고 언급했다. 테니스장, 수영장 등의 체육시설 외에도 한국청소년연맹시설, 청소년극장 등의 청소년시설을 공원에 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조선일보, 1986년 3월 14일자). 청소년시설이 공원에 대거 설치된 데에는 당시의 우리나라 청소년 정책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에 청소년 문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으며 1987년 처음 청소년육성법이 제정되었다. 법 제정 초기에는 비행 청소년을 보호․감시․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었는데, 이후에는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정책으로 변화하였다. 1990년 체육청소년부가 신설되었고 장기적인 청소년 육성 종합 계획이 수립․시행되었다(함병수, 1997). 보라매공원의 경우, 청소년시설을 선도적으로 도입했고 1990년대에도 보라매청소년 수련관 등을 마련하여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전용광장을 마련하였다(한겨레, 1999년 11월 15일자). 국가의 청소년 정책의 흐름을 볼 때, 보라매공원에 청소년시설을 집중적으로 도입한 것은 공원사적, 도시사적으로 의미가 있다.

보라매공원은 점차 부분별로 시설이 추가되는 과정을 통해 전 연령대가 활용하는 공원으로 탈바꿈하였다. 초기에 조성되었던 소동물원에서 지압광장, 음악분수, 농사체험장, 무장애친화공원, 반려견놀이터 등 당대 공원문화 트랜드에 맞춰 시설이 보완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1995년 민선 지방자치제가 시행되면서 공원 정책에 변화를 반영한 결과로도 볼 수 있다. 시정이 시민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시민, 안전, 복지 등이 시정의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였다(박희성, 2022). 반려견놀이터에 대해서는 2014년 애견놀이터 신설에 대한 민원서류가 접수된 점을 확인하였다(서울특별시, 2014a).

공군사관학교 이전적지가 온전히 보라매공원으로 전용될 수 있었던 데에는 국가행사 준비와 공원확충정책의 시행, 수도권 인구 분산을 위한 도시계획 추진 등 여러 상황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있었기 때문이다. 또, 보라매공원은 대형 도시공원으로서의 성격이 잘 드러난다. 공원 안쪽으로, 대규모 녹지대와 청소년시설, 체육시설, 공원문화시설 등을 충실히 수용하고 있고 공원 바깥으로 병원, 쇼핑센터, 학교, 기상청, 소방서, 주차장 등 여러 도시시설이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공원과 상・하부에 교통 인프라가 관통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3.2 기억 저장소로서 보라매공원

보라매공원은 공군사관학교의 여러 기억을 보존하고 있는 공원이다. 공원 명칭인 ‘보라매’는 대한민국 공군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전적지 공원 가운데 원래 시설 이름을 사용하는 유일한 사례이다. 공간구성도 마찬가지다. 공원은 1986년 개원한 이후 여러 차례 보수하고(1990년대) 2000년대에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3차에 이르는 재정비계획을 거쳤음에도, 공군사관학교 시절의 공간골격과 주요시설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공군사관학교시설 중에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으로는 보라매탑(1962년), 성무탑(1966년), 연못(1970년), 제2연병장(1967년), 새마을 연병장(1978년) 등이 있다(Figure 10 참조). 공군사관학교 당시 대운동장과 연못 사진(Figure 11 참조)을 통해 현재까지 보라매공원의 경관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군사관학교를 상징하는 전투기와 수송기 등도 일부 남아있으며 이 구역은 2007년 2, 3단계 재정비사업을 통해 에어파크 공간으로 정비하였다(서울특별시, 2007).

jkila-51-1-85-g10
Figure 10. 공군사관학교의 별칭인 성무대를 상징하는 성무탑

Source: a: 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b: 서영애, 2021

Download Original Figure
jkila-51-1-85-g11
Figure 11. 공군사관학교 대운동장과 독수리상과 공군사관학교 연못과 전경

Source: 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

Download Original Figure

공원 명칭, 주요 학교시설과 수목의 보존, 기존 건물의 재활용 등을 통해 공군사관학교의 기억이 계승되었고 이것은 결국 보라매공원의 주요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공원에서는 공군의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사업도 특화하여 운영하였다. 놀이터의 테마를 공군과 관련된 비행기로 디자인하였으며(서울특별시, 2012), 2016년 개원 3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한 사진공모전에서는 공군사관학교 당시의 사진과 시민의 기억이 수집되어 보라매공원의 역사를 두텁게 하였다.

보라매공원은 임시 사용의 기간이 있었고 그때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한 바가 있었다. 그 덕분에 공원에는 공군사관학교의 옛 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다. 공원시설도 부분적으로 조성하여서 공원에는 시기별 흔적이나 기억이 중첩된 곳이 많다. 5개월도 안 되는 매우 짧은 시간에 공원을 조성하였기 때문에 기존 시설이 보존되는 아이러니한 결과를 낳은 것이다. 3차에 걸친 재조성 사업에도 기존의 공간구조는 유지한 채 일부 시설이 보완되거나 철거됨으로써 공원에 이전 시설의 흔적을 유지하게 되었다.

3.3 지역과 소통하는 보라매공원

보라매공원이 있는 신대방동은 “조선시대에는 농업과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해 온 서민층의 마을로 띄엄띄엄 자연부락을 형성해 왔다. 한국전쟁 후 국군의 새로운 편성과 함께 1958년부터 공군사관학교가 이곳에 들어왔고 해군본부와 공군본부가 자리 잡아 군사마을로 불리기도 했다. 또 도림천이 있어 수원이 좋은 관계로 원풍모방을 비롯하여 태평양화학, 중외제약, 한독병원 등 공장이 들어서자 한때는 영등포구, 구로구 다음으로 공업지대를 방불케 하였다”는 연혁을 가지고 있다(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9: 252-253). 보라매공원이 조성되기 이전, 이 지역은 국군 관련 시설과 산업시설이 주로 점유하고 있어서 엄밀하게는 도시공원이 직접적으로 필요한 지역은 아니었다. 그런 점에서, 보라매공원이 단순한 이전적지의 공원화가 아니며 지역의 도시화를 견인할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대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생각은 ╔공사이전적지 활용계획╝ 보고서에도 언급된다. 보고서에는 보라매공원 부지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학교[空士]가 외곽에 입지하고 있으며 주민이나 일반인이 접근 내지는 활용이 불가하다. 또 서울시가 매입하여 공영개발을 하고 부지 규모가 대규모이어서 계획적인 단지 개발이 요구된다. 공원 조성과 함께 지구의 중심시설이 병행 설치되어 부족한 공공시설을 확충하여 지역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산림으로 둘러싸인 지형 조건과 잘 정리 보존된 조경수목이 공원에 활용하기 용이하다.”(수도권개발연구소, 1985: 11-12.) 사업 시행계획에 따르면 상업업무 서비스 시설 34, 444평을 민간에 매각한 민자에 의한 건설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관련 사업으로 주변 불량주택 정비, 접근도로 개발, 교량 및 하천 복개, 상업진입로 개설을 위해 하천변 도로 확장 등의 계획을 수립하였다(수도권개발연구소, 1984: 17-19). 실제로 공군사관학교 부지의 일부는 상업용지(71,100m2)로 전환되었다.

서울시는 86아시안게임 개막에 대비하여 보라매공원 계획을 축소하고 서둘러서 개원했지만, 이후 보라매공원 경계지에 변화를 주어 도시개발을 견인하였다. 그 주요 근거로, 공군사관학교 이전적지가 공원이 되는 과정에서 온실과 시설중대, 운동장 등이 있던 동남쪽의 일부 용지를 상업시설지로 민간에 매각하여 개발한 점과 부지 동측 내부반 2동과 과외활동장 일대의 공원용지를 종합의료시설로 변경, 지정(1986년 7월 29일)한 것을 들 수 있다. 1996년 보도에 따르면 “보라매공원 일대 주상복합타운 탈바꿈”이라는 제목으로 “2만여 평에 달하는 보라매공원 상업지역에는 주상복합빌딩 5동을 포함, 건물 15동이 들어서고 있다”고 하면서 국내 대형건설사가 참여하여 최고 42층의 건물이 건설 중이라고 했다(동아일보, 1996년 3월 14일자). 이듬해에는 보라매공원을 서울시 신청사 용지로 검토하였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균형발전을 위해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남서부 지역 개발을 위해 후보지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매일경제, 1997년 2월 17일자). 신청사 조성은 미완에 그쳤지만, 보라매공원과 그 일대가 도시계획의 거점지역으로 고려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라매공원은 단순히 도시공원으로서 자리를 차지하고 것이 아니라, 일부 필지를 도시시설을 위한 것으로 내어주거나 공원을 매개로 주변이 도시화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보라매공원은 다른 공원과 달리 도시시설과의 경계를 느슨하게 두고 도시 컨텍스트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론

본 연구는 이전적지로서 보라매공원의 의의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원의 조성, 변화, 특성을 공공기록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으로 이전적지에서 출발한 보라매공원의 가치와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라매공원은 1980년대 이전적지 공원정책이 본격화되기 이전에 조성된 대형공원으로서 서울에 대규모 공원면적을 확보한 전례 없는 사례이다. 그리고 서울시 공원 확충과 청소년육성책과 같은 시․정부 정책을 반영하여 조성한 공원이다. 청소년 중심 공원에서 출발한 보라매공원은 동시대 공원 트랜드를 반영하면서 전 연령대가 고루 활용할 수 있는 지역 거점 공원으로 자리잡았다. 둘째, 보라매공원은 공군사관학교의 기억과 흔적이 중첩된 공원이라는 점에서 공원사(史)적 가치를 가진다. 보존된 이전적지의 경관과 시설은 장소의 기억, 공간의 서사 등과 같은 의도된 디자인의 실천이 아닌 짧은 조성 기간, 적은 비용 등의 현실적인 상황에서 우연히 만들어진 결과이다. 장소의 이름과 공간의 구성과 배치 등이 이전적지의 장소성과 중첩되어 있어서, 1990년대 이후 조성된 이전적지 공원의 성패와 비교해 볼 만한 가치를 가진다. 셋째, 이전적지를 도시계획으로 활용하여 공공 가치를 도모함으로써 지역의 변화에 기여했다. 보라매공원의 일부는 상업용지로 전환되었고 서남권을 대표하는 시립병원이 들어섰다. 공원 주변에 있던 공군대학 이전부지는 공공용지로 개발되었는데, 이들 토지이용계획은 이후 공원 주변의 변화를 견인하였다. 이는 공원조성과 도시개발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공원과 도시가 유연하게 공생할 수 있는 선례를 남겼다.

1980년대에 공군사관학교 이전적지에 대한 보라매공원의 조성은 우리나라에서 이전적지의 공원화가 본격화되기 이전에 시도된 것으로, 한국의 도시공원사에서 의미 있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당시 세계대회를 앞두고 실시한 전국토공원화운동이나 공원용지 확보를 위한 정책 등은 보라매공원 조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보라매공원은 서남부지역의 군부대 이전적지가 공원화되는 시작점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전적지 공원화의 대표 유형으로 1980년대 조성된 보라매공원의 가치를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공원의 공공기록을 중심으로 보라매공원의 변화를 고찰한 까닭에, 공원의 도시계획적 맥락을 심층적으로 다루지 못한 점은 연구의 한계이다. 1980년대 서울 서남부지역에 있던 군부대와 군사학교의 대대적인 이전으로 생겨난 또 다른 공원인 문래공원, 노량진공원 등의 고찰은 후속 연구로 남긴다.

Notes

인구집중유발시설이란 학교, 공장, 공공청사 등 인구 집중을 유발하는 시설이다(「수도권정비계획법」제2조 제3호).

2022년 8월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은 푸른도시여가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각 공원녹지사업소 역시 공원여가센터로 하여 운영 중이다. 동부공원여가센터(동부공원녹지사업소)는 사무실을 서울숲으로 이전하였는데, 보라매공원 공공기록물(비전자문서)은 현장에 그대로 보관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과 분석했던 2021년을 기준으로 변경 이전의 명칭들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서울지역의 주요 군 시설 이전 문제는 행정수도 이전 계획을 가지고 있던 박정희, 전두환 정권 시설부터 꾸준히 논의된 것이다.

References

1.

강효정(2014) 시설 이전적지 공원화 사업의 공간 재해석 유형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4): 141-152.

2.

경향신문 1986년 1월 7일자. “시민공원 조성, ╔푸른서울╝ 가꾼다”.

3.

경향신문 1986년 7월 1일자. “잇단공원 개장, 도시민 휴식 만끽”.

4.

고하정(2022) 도시 공원을 탐하다. 아트숨비: 서울시.

5.

길연진(1990) 서울시도심부 이전적지의 개발에 관한 연구: 휘문중고교 이전적지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예슬, 구영민(2020) 공장 이전적지 공원 조성에 의한 도시 공간의 변화와 새로운 장소성 창출에 관한 연구-도시재생에 의한 영등포공원의 도시적 역할 부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40(2): 355-358.

7.

김은주(2008)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도심 이전적지 설계연구-의정부시 홀링워터 미군부대 이전적지를 사례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홍배, 박정환, 박진택(2004) 공장이전적지의 근린공원조성이 지역경제 및 주민복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39(3): 145-150.

9.

내무부(1985) 전국토공원화운동의 기술교본.

10.

동아일보 1996년 3월 14일자. “보라매공원일대 ╔주상복합타운╝ 탈바꿈”.

11.

매일경제 1997년 2월 17일자. “서울신청사 보라매공원 다시 부상”.

12.

박상현, 임동일(2016) 군사시설 이전적지 활용의 공공성 제고방안: 강원도 군사시설 이전사업을 사례로. 도시재생 2(1): 29-53.

13.

박준영, 이은엽, 송선영, 엽정식(2014) 군사시설 이전부지 공원화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LHI Journal 5(4): 225-234.

14.

박희성(2022) 개발시대의 조경, 그 결정적 순간들, 한국 조경 50년을 읽는 열다섯 가지 시선. pp. 134-153.

15.

서울시립대학교 수도권개발연구소(1984) 공사이전적지활용계획(안).

16.

서울시립대학교 수도권개발연구소(1985) 공사이전적지활용계획.

17.

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2000) 보라매공원 기본계획 보고서.

18.

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2002) 보라매청소년공원 제1단계 재정비사업 보고서.

19.

서울특별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2004) 보라매청소년공원 제2, 3단계 재정비사업 보고서.

20.

서울특별시 동작구(1994) 동작구지. p. 755.

2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2002) 영등포구지. pp. 643-644.

22.

서울특별시(1962) 대방동 공군사관학교 주변 산지사방사업설계서.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10000030156).

23.

서울특별시(1985a) 서울시 공원녹지 정책방향 연구.

24.

서울특별시(1985b) 보라매공원 임시관리계획.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10000550417).

25.

서울특별시(1986a) 보라매공원시설 이용 및 보수계획.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10000550395).

26.

서울특별시(1986b) 설계심사자료보완보고.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50000085001).

27.

서울특별시(1986c) 보라매공원상업지역 활용계획 송부.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10000550404).

28.

서울특별시(1986d) 소동물원조성공사 협조.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50000085015).

29.

서울특별시(1987a) 보라매공원근린공원 조성계획 결정요청.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10000536882).

30.

서울특별시(1987b) 동상건립허가요청, 독립운동가 김마리아.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10000536768).

31.

서울특별시(1988) 보라매수영장 및 로라스케이트장 입장료 시달요청.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1 0000536408).

32.

서울특별시(1990a) 보라매공원 민자유치 제2차공사(테니스장)지구 기부채납서류 보완촉구.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50000085162).

33.

서울특별시(1990b) 보라매공원민자유치시설 제1차공사(수영장) 기부채납보완서류 제출.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50000085163).

34.

서울특별시(1991) 도시계획조정결과통보.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50000010542).

35.

서울특별시(1993a) 공군대학 이전예정지 토지이용계획수립.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30000124096).

36.

서울특별시(1993b) 공군대학 이적지 부지 사용협의.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1030000124111).

37.

서울특별시(1996)「공원확충 5개년계획」.

38.

서울특별시(2003) 시립보라매병원 시설확충계획(안) 방침통보.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건 ID: 201300001 23695).

39.

서울특별시(2006) 보라매청소년공원 제2,3단계 재정비사업 추진계획. 기록관리시스템.

40.

서울특별시(2007) 보라매청소년공원 제2,3단계 재정비사업(에어파크조성) 관련 업무협의 결과보고. 기록관리시스템.

41.

서울특별시(2009) 공원 소나무 군락지 조성 및 보라매시립병원 환자 편익증진계획. 기록관리시스템.

42.

서울특별시(2011) 동작소방서 의용소방대 보라매공원 다목적 운동장 이용 협조 요청. 기록관리시스템.

43.

서울특별시(2012) 보라매공원 테마놀이터 재조성기본계획. 기록관리시스템.

44.

서울특별시(2014a) 보라매공원 애견놀이터 개설에 대한 민원접수. 업무관리시스템.

45.

서울특별시(2014b) 보라매공원 내 다목적 운동장 신청 서울보라매초등학교. 기록관리시스템.

46.

서울특별시(2022) 프로젝트 서울 홈페이지. s://project.seoul.go.kr/

47.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89) 동명연혁고 13(관악․동작구편).

48.

손성일(2021) 서울어린이대공원 활성화를 위한 재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유송화(2007) 서울지역 공공기관 이전적지의 적정활용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이대영(2007) 공공기관 이전부지의 공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이춘홍(2006) 도시성장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고려한 안양시 삼덕공원 설계계획(안).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5-44.

52.

임승빈, 정윤희, 허윤선, 권윤구, 변재상(2012) 공원에서의 장소정체성 분포와 공간요소 반족도의 관련성 연구-선유도공원과 서울숲공원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7(7): 77-90.
,

53.

전경숙(2009)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관점에서 본 광주광역시 폐선부지 푸른길 공원의 의의.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3): 1-13.

54.

조선일보 1986년 3원 14일자. “보라매공원 ╔청소년전용╝ 으로”.

55.

조선일보 1988년 11월 23일자. “봉천천 복개공사착공”.

56.

조성우, 김항집(2022) 근대산업시설 이전적지의 리모델링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적 추진방안. 대한건축학회 연합논문집 19(1): 117-125.

57.

조판기, 김진수(2018) 사례로 보는 경제기반형도시재생-이전적지. 국토연구원.

58.

지준만, 김형주(2015) 이전적지의 유형별 활용 사례 및 활용촉진방안 연구: 공공기여 및 용도변경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회 28(2): 145-169.

59.

최정우(1997)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따른 도심지공장 이전적지 개발계획: 영등포내 대규모 공장 이전적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한겨레 1999년 11월 15일자. “수련원․문화의집․쉼터․야간공부방… 서울시 청소년 전용공간 크게 늘려”.

61.

함병수(1997) 청소년육성 5개년계획의 평가 및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62.

함정훈, 최유정(2011)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이론을 적용한 폐선부지의 재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설기술논문집 30(1): 133-142.

63.

「수도권정비계획법」제2조 제3호(2022년 12월 22일 검색). 국가법령전보센터. https://www.la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