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rticle

스포츠관광이 개인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 제주 가시리 트레일러닝 대회 사례 중심으로 -

이승열
Lee Seungyeol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박사수료
Ph.D. Candidate,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Seungyeol Lee, Ph.D. Candidate,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Tel.: +82-2-880-8529, E-mail: seungyeol.lee@snu.ac.kr

© Copyright 2025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y 30, 2025; Revised: Jun 18, 2025; Accepted: Jul 14, 2025

Published Online: Aug 31, 2025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읍 가시리에서 개최된 트레일러닝 대회를 사례로, 스포츠관광이 참가 개인의 생활 실천 변화와 지역 공동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근거이론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관광·여가 활동의 일시적 정체 이후 야외 여가 활동이 확산되는 사회적 맥락에서, 트레일러닝 대회 참가자, 지역 주민, 대회 운영 관계자, 후원자 등 총 2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Vivo 15과 Excel을 활용해 관리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129개의 개념, 27개의 하위범주, 9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으로는「COVID-19로 인한 사회·여가 환경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은「지역 자원 조건」으로 도출되었다. 중심 현상은「일상·환경 실천 형성」과「마을 정체성 형성」으로 밝혀졌고, 중재적 조건으로는「실천 요인」,「관광 욕구」,「위험 지각」이 나타났다. 이에 따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으로 확인되었으며, 결과는「일상과 공동체의 변화」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여섯 범주는 참여형 스포츠관광이 개인과 공동체에 미치는 변화를 구조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포츠관광이 개인의 지속적인 실천을 유도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과정을 보여준다. 나아가 지역 활성화 전략으로서 스포츠관광의 실천적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how sports tourism influences changes in individual practices and the formation of local communitie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based on a case study of a trail running event held in Gasi-ri, Jeju Isl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8 participants, including trail runners, local residents, event organisers, and sponsors.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NVivo 15 and Excel. The analysis yielded 129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9 higher-order categories. The causal condition was 「Changes in Social and Leisure Environments Triggered by COVID-19」,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Local Resource Conditions」,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Formation of Everyday and Environmental Practices」 and 「Formation of Local Identity」.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d “Practical Factors,” “Tourism Needs,” and “Risk Perceptio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the consequence was “Shifts in Everyday Life and the Community.” These categories explain how participatory sports tourism impacts bot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e findings demonstrate its potential to support sustained engagement and contribute to local development.

Keywords: 스포츠문화; 일상실천; 경관자원; 환경 감수성; 포스트코로나
Keywords: Sports Culture; Everyday Practice; Landscape Resources; Environmental Sensitivity; post-COVID19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스포츠를 활용한 지역 활성화는 1980년대 경제 성장기 이후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었다. 각 지역에서 스포츠 경기장을 설립하거나 프로팀을 창단하는 등 주로 물리적·경제적 기반 조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대형 스포츠 대회 개최를 통한 경제적 효과 창출이 주요 목적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수도권 집중 현상, 인구 감소, 고령화 등 사회적·도시적 변화에 따라 스포츠의 역할이 경제적 효과를 넘어 사회적·문화적 가치 확장과 지역 공동체 활성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정책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스포츠는 건강 증진은 물론 참여와 관람 등의 방식으로 지역 주민 간 사회적 교류를 촉진하고 공동체에 미치는 긍정적인 역할을 보여줬다(정강환, 1995; 이유찬 등, 2004). 이러한 흐름 따라 스포츠를 지역사회 연대 강화의 한 축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법과 정책이 마련되었다. 2020년에 제정된「국민체육진흥법」은 “체육활동으로 연대감을 높이며, 공정한 스포츠 정신으로 체육인 인권을 보호하고, 국민의 행복과 자긍심을 높여 건강한 공동체의 실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했으며, 2023년 대한민국 정책브리핑을 통해 공개된「제1차 스포츠 진흥 기본계획」에서는 “스포츠를 통해 국민 건강과 지역 활력을 제고한다.”라는 개념 아래 스포츠가 지역사회 연대를 실현하는 기반으로 작동함을 강조했다.

스포츠와 관광의 결합으로 이뤄진 스포츠관광은 현대 관광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George and Swart, 2012). 특히, 스포츠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여행하는 형태의 참여형 스포츠관광은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되었으며,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를 위해 지역사회가 스포츠관광을 지역 발전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스포츠관광은 관광객의 소비 지출을 통한 경제적 이익 창출뿐만 아니라 지역 문화유산의 가치 재발견, 주민 자긍심 고취, 사회적 결속 강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Getz(1997)는 스포츠관광을 ‘개최지의 지역경제와 공동체 이익을 달성할 목적을 가진 스포츠 이벤트의 개발 및 마케팅 과정’으로 정의하여, 스포츠관광이 단순한 개별 여행이 아닌 지역공동체의 이익을 지향함을 강조했다. 이는 스포츠관광의 공급자 관점에서 본 정의로서, 스포츠관광이 지역경제 기여와 지역발전을 지향하는 활동임을 보여준다. 한편, Gibson(1998)의 연구에서는 스포츠관광을 일시적으로 일상 생활권을 벗어나 신체활동에 참여하거나 관람하거나 관련 명소를 방문하는 레저 중심 여행으로 규정하여 참가형과 관람형 등 스포츠관광의 유형을 제시한 바 있다. 이처럼 스포츠 이벤트 참여를 목적으로 한 관광은 관광객에게는 여가·건강 증진의 기회를 주고, 개최지에는 경제적 수익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활력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인식된다.

트레일러닝(trail running)1)은 자연 경관을 달리는 야외 스포츠로, 최근 국내에서 건강과 여가를 추구하는 새로운 스포츠관광 형태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포츠관광은 일상 생활권을 벗어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거나 관람하기 위한 여가 활동으로 정의되며, 자연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트레일러닝은 이러한 능동적 스포츠관광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대규모 스포츠 대회와 달리, 상대적으로 소규모 스포츠 대회인 지역 트레일러닝 대회는 지역 주민의 참여와 지역 자원의 활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Fernández et al., 2022). 본 연구는 2011년부터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마을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트레일러닝 대회를 사례로, 트레일러닝이라는 소규모 스포츠관광 실천의 일상화가 개인의 삶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가시리 마을은 오름과 목장 경관을 배경으로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트레일러닝 대회를 운영해 온 지역으로서 스포츠관광을 통한 농촌 활성화의 대표 사례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트레일러닝 참여자와 지역 공동체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며, 개인 행위와 실천의 축적이 지역사회 변화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질적 면담자료를 개방 코딩과 축 코딩으로 분석하여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심 현상, 중재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의 6개 범주를 도출하고, 범주별 하위범주와 의미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RQ1. COVID-19 팬데믹으로 촉발된 사회·여가 환경 변화는 트레일러닝 참여자들의 스포츠관광 동기와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RQ2. 트레일러닝 대회 참가는 개인의 일상적 건강 실천과 환경에 대한 감수성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RQ3. 참여형 스포츠관광으로서 트레일러닝은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과 사회적 연대 강화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트레일러닝 실천의 구조와 지역 공동체 변화 과정을 밝혀냄으로써, 향후 지역 경관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스포츠관광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1.2 연구의 흐름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전개된다. 첫째, 이론적 고찰에서는 스포츠관광과 트레일러닝의 개념 및 특성을 살피고, 스포츠관광이 지역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다. 이어서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점을 논의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과 기여점을 부각한다. 둘째, 연구 대상지인 가시리와 이곳에서 개최되는 트레일러닝 대회의 현황을 소개하고, 연구 참여자 선정 및 자료수집 절차를 설명한다. 셋째, 연구분석 결과에서 도출된 개념과 범주들을 제시하고,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①인과적 조건 ②맥락적 조건 ③중심현상 ④중재적 조건 ⑤작용·상호작용 전략 ⑥결과의 순으로 분석 결과를 서술한다. 또한 축 코딩을 통한 범주 간 관계망과 시간 경과에 따른 실천 변화 과정을 논의한다. 넷째,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을 언급하여 추가 연구 과제를 제안한다.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 연구

2.1 스포츠관광과 트레일러닝

스포츠관광(sports tourism)은 관광과 스포츠가 융합된 개념으로 여러 학자에 의해 정의되었다. 대표적으로 Gibson(1998)은 스포츠관광을 레저 목적으로 일상 생활권을 떠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거나 관람하거나 이와 관련된 장소를 방문하기 위한 여행으로 규정하였으며, Standeven and De Knop(1998)은 상업적 목적 없이 집이나 직장을 떠나 능동적 혹은 수동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는 여행으로 설명하였다. 초기 연구들은 소비자의 관점에서 스포츠관광을 정의하였는데, 이후 Getz(1997)이 제시한 정의는 공급자의 시각을 반영했다. 스포츠관광이란 이벤트 개최지의 지역경제와 공동체의 이익 달성을 목표로 하는 스포츠 이벤트의 개발 및 마케팅 과정으로서, 스포츠 이벤트를 통한 지역의 경제·사회적 효과 창출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스포츠관광은 개최지에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경제적 성장 동인을 제공할 뿐 아니라, 개최지를 전 세계에 홍보하여 관광목적지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한다(Lohana et al., 2023). 아울러 스포츠관광은 개최 지역의 문화유산과 자연경관을 결합하여 지역 고유의 매력을 세계 무대에 선보이는 기회가 되며, 이를 통해 지역 정체성 강화와 환경보호의 효과도 함께 추구될 수 있다. Weed와 Bull(2009)은 스포츠관광이 사회적·문화적으로 광범위한 파급효과를 지닌 현상으로써,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스포츠관광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역발전의 한 축으로 부상했다고 언급했다(최덕철, 2016). UNWTO(세계관광기구) 또한 스포츠관광을 가장 성장 속도가 빠른 관광 분야 중 하나로 언급하고 있다(Table 1 참조).

Table 1. Conceptual definitions of sport tourism
Author (Year) Conceptual definition
Getz (1997) Sport tourism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sports events aimed at achieving regional economic and community benefits.
Gibson (2003) A leisure-oriented trip that includes (1) direct participation in physical sports activities, (2) spectating at sports events, and (3) visiting sports-related attractions.
Hall and Weiler(1992) Travel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or watching sports activities for non-commercial reasons.
Hinch abd Higham (2001) Sport tourism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events, outdoor activities, and elements of health and exercise.
Lisa (1998) The concept of sports and travel may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interpretations, but includes not only direct participation and spectating, but also all competitive and non-competitive sport tourism activities.
Robinson and Gammon (2004) The primary motivation of sport tourism lies in active or passive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ies.
Standeven and De Knop (1999) Encompasses all forms of active or passive sports activities, involving travel away from home or the workplace for commercial or non-commercial purposes.
Wahab (1975) Engaging in or spectating sports events, commercial recreation activities, and non-commercial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Weed and Bull (2005;2009) Sport tourism is a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phenomenon formed through unique interactions among activities, people, and places.
Park (2000) Includes travel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to watch sports events, and to visit sport tourism attractions.
Shin and Park (2009) Temporarily leaving one’s daily living environment to engage in physical sports activities, spectating, or leisure-centered pursuits.
Lee and Kim (2004) Travel undertaken to participate in sports competitions or to visit sport tourism sites.
Han (2001) Staying at a particular location for more than 24 hours to enjoy sports either as a spectator or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Korea Tourism Organization(1996) Temporarily leaving one’s daily liv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or spectating sports, and returning afterward.
Download Excel Table

이러한 스포츠관광의 유형 가운데 참여형 스포츠관광은 여행객이 스포츠 대회나 활동에 직접 참가자로서 참여하는 형태를 말한다. 예컨대 마라톤, 트레일러닝과 같은 이벤트에 관광객들이 출전하거나 완주를 목표로 방문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트레일러닝(trail running)은 참여형 스포츠관광의 대표적인 예로, 산길이나 들판 등 자연환경에서 달리는 스포츠다. 트레일러닝은 도전적인 신체활동과 더불어 현지의 자연경관과 문화를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마라톤과 차별화된 관광 체험을 제공한다. 해외에서는 몽블랑 UTMB(Ultra-Trail du Mont-Blanc) 등 저명한 트레일러닝 대회들이 스포츠관광 축제로 발전하여 전 세계 러너(Runner)들이 찾아오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이 자원봉사자와 응원단으로 참여하여 지역 축제로 정착된 사례가 많다.

표선면 가시리에서 진행되는 트레일러닝 대회는 스포츠관광 분야에서 성공적인 참여형 스포츠관광으로 평가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11년 지역민 출신 선수의 주도로 시작되어 매년 4월 10월 개최되는 국제적인 규모로 성장한 이 대회는, 스포츠를 통한 관광객 유치와 지역사회 발전의 선순환 사례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최근 2024년 개최된 대회에서는 해외 참가자가 1,600여 명에 달해 전체 참가자의 48%를 차지하였고, 이에 따른 지역 경제 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COVID-19 유행으로 2020년 대회는 부득이 취소되었으나 이후 방역 완화와 함께 2022년 대회가 재개되었고 참가자가 증가하였다. 2023년 대회는 UTMB 월드 시리즈의 하나로 개최되어 국내외 러너들의 관심을 모았으며, 접수 단계부터 정원이 조기 마감되는 등 높은 인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트레일러닝 관광의 성장은 건강에 관한 관심 그리고 야외 활동에 대한 심리적 욕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적 배경에서 스포츠관광의 개인·지역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2.2 스포츠관광과 지역 공동체 변화

대규모 스포츠 대회 유치는 관광객의 소비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뿐 아니라, 지역 주민들에게 공동의 목표 의식과 자긍심을 부여하여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Lohana et al., 2023). 또한 지역 주민들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거나 스포츠 이벤트를 공동으로 준비하는 경험은 지역사회 내 새로운 인간관계 형성과 유대감을 형성함으로써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이유찬, 1997). 스포츠는 주민들이 공동의 목표 아래 모이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공동체적 유대감과 정체성이 강화될 수 있다. Coalter(2007) 또한 지역 스포츠 참여가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 구축과 사회적 포용력을 높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사회자본의 축적이라는 관점에서도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즉, 스포츠관광을 단순히 운동을 목적으로 한 관광으로 한정하지 않고, 지역 사회 내에서 운동 실천이 공동의 연대와 정서적 교류 속에 정착되는 경험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시리 트레일러닝 대회의 사례에서 스포츠대회가 지역 공동체의 긍정적 변화를 견인하는 양상이 관찰된다. 주민들은 기획자, 조직위원, 봉사자, 지원 인력 등 다양한 형태로 참여하면서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동하며 이를 통해 마을 내 세대를 아우르는 새로운 연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가시리 대회는 지역의 문화·자연 자원을 경기 코스와 프로그램에 접목함으로써 주민들이 마을에 대한 자부심을 새롭게 인식하게 한 측면이 있다. 벚꽃과 유채꽃이 만개한 가시리 마을 길 코스,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먹거리 제공 등은 주민들에게 지역 문화의 가치를 재발견시키는 동시에 외부 참가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준다. 이는 스포츠관광을 통한 지역 문화 홍보와 보존이라는 효과로 이어졌고 주민들은 지역 정체성을 더욱 견고하게 다질 수 있었다.

스포츠관광은 지역 공동체가 가진 역량을 넓히는 데 기여한다. 대회를 준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은 행정기관, 후원기업, 스포츠 단체 등과 교류하며 조직 운영 능력과 역량을 확장하게 된다. 가시리 사례에서 마을 주민들은 초기에는 생소했던 국제 대회 운영을 학습함으로써, 이제는 매년 수천 명 규모의 행사를 자율적으로 치를 수 있는 역량을 축적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향후 해당 공동체가 다른 이벤트나 지역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도 소중한 자산으로 작용한다. 한편, 스포츠관광으로 외부 방문객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부담이나 상호 문화차이 등에 대하여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고민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과정도 일종의 학습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대회 코스 환경캠페인, 응원 문화 등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한 공동체의 문제 해결 능력과 참여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처럼 스포츠관광을 계기로 지역 공동체가 단단하게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모습은 국내외 여러 사례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스포츠관광이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의 촉매가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Lohana et al., 2023).

2.3 선행 연구와의 차별점

국내 스포츠관광 분야의 연구들은 주로 대형 스포츠대회의 경제적 파급효과, 지역 주민 인식 조사, 스포츠관광 정책 개발 등에 초점을 맞춰왔다. 노동연(2021)은 스포츠관광 관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주요 이슈 흐름을 파악하였고, 김종성(2017)은 스포츠관광 활성화 요인을 빅데이터로 분석하였다. 또한 엄대영과 박상윤(2022)은 장소 애착 및 만족도를 설문조사로 밝힌 바 있으며, 문선호와 이양주(2024)는 스포츠관광 참가자의 제약과 스포츠관광 제약 협상, 행동 의도의 인과적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양적 방법을 사용하여 인과관계나 영향력을 규명하는 데 주력했다. 또한 지역과 문화 기반 스포츠관광의 관계를 다룬 연구로는 최승재(2023) 스포츠관광이 지역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로 분석한 최근 연구가 있으나 스포츠관광 참여가 개인과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특히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스포츠관광 경험의 과정과 구조를 밝혀낸 연구는 관광 분야 일부에 국한되어 있고, 국내에서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Table 2 참조).

Table 2. Classification of domestic sport tourism studies by content scope, author, methodology, and research focus
Content scope Author (Year) Methodology Research focus
A B C D E
Big data and sports tourism trends Roh (2021) Survey․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Kim (2017) Big data analysis
Kim et al. (2017) Big data analysis
Sports events and tourism experience Eum, Dae-Young Park, Sang-Yoon (2022) Survey․regression analysis
Ko and Ji (2013) Survey․regression analysis
Yi and Kim (2008) Survey․regression analysis
Min et al (2020) Survey
Sports tourism and individual factors Mun and Lee (2024) Survey․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Kim and Park (2018) Survey․path analysis
Regional sports tourism and policy Kim and Seok (2023) Literature review․policy analysis
Kang et al (2021) Qualitative research․policy analysis
Kang and Park (2004) Survey․policy analysis
Lee et al (2021) IPA analysis
Choi (2023) Survey
Moon (2016) Policy research
Eom and Kwon (2019) Qualitative research․in-depth interviews
Choi (2016) Network analysis

Research Focus: A. Economy & Policy B. Tourism Facilities C. Sports Events D. Natural Environment E. Others

Download Excel Table

본 연구는 기존의 스포츠관광 연구와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지닌다. 첫째, 질적 연구를 통해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정량 연구에서 포착하기 어려운 변화와 역동적 맥락을 밝혀낸다는 점이다. 둘째, 개인과 공동체라는 다층적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여, 스포츠관광이 개인적 실천과 사회적 변화를 연결 짓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보여준다. 셋째, COVID-19 이후 새롭게 형성된 사회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포스트코로나 시대 스포츠관광의 역할과 의미를 조명한다는 점에서 시의성이 있다. 이러한 차별점을 통해 본 연구는 스포츠관광이 일회성 소비를 넘어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발전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자 한다.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본 연구는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가시리는 조선시대 국영 목장인 ‘갑마장(쫄븐 갑마장)’이 위치했던 지역으로, 제주 말(馬)과 목축 문화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를 이어왔다. 그러나 1948년 제주 4·3 사건으로 중산간 지역 중에서도 심각한 피해를 보며, 마을 공동체의 해체와 경제적 침체를 동시에 경험하였다. 이후 지역 주민들은 마을의 회복과 발전을 목표로 지역 자원을 활용하고 공동체 참여를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했으며, 이 과정에서 스포츠와 문화가 지역 활성화의 주요한 전략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1990년대 이후 가시리는 지역의 역사적 유산과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스포츠와 지역 문화를 결합한 지역 발전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역사 문화 자산인 ‘갑마장’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승마 관련 이벤트 외에도, 트레일러닝과 같은 자연경관 기반 스포츠를 도입하여 지역 정체성을 새롭게 해석했다. 과거 가시리는 제주도 내에서도 교통 접근성이 낮아 오랜 시간 동안 개발에서 소외된 지역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고립적 특성이 자연경관과 생태 자원을 현재까지 보존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하여 트레일러닝에 적합한 조건을 제공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가시리 트레일러닝 대회는 주민주도의 지역발전 모델로서도 중요한 연구적 가치를 가진다. 대회의 운영은 가시리 지역민 트레일러너가 설립한 전문 기획사를 중심으로, 지역 체육회, 가시리 마을회, 부녀회, 청년회 등 마을 공동체 내 다양한 조직의 협력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부녀회는 참가자들에게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음식(가시리 국수)을 제공하며, 청년회는 코스 안내 및 안전 관리를 맡고 있고, 생활개선회는 참가자 접수 및 행사 운영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주민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는 단순한 대회 운영을 넘어 지역 스포츠 문화를 형성하고 공동체 결속력을 강화하는 주요한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해당 지역의 대회 참가자는 30여 개국 4,000여 명을 넘어섰으며, 한국지방행정연구원(전대욱과 김해솔, 2023)의 지역경제 파급 효과 분석에 따르면 제주 국제트레일러닝 대회는 2024년 약 119억 원 이상의 지역경제 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도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및 수입 유발효과 등을 모두 합산한 결과다2). 이는 스포츠관광이 지역경제와 공동체 연대의 지속 가능한 전략으로서 잠재적 가치를 가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Table 3 참조).

Table 3. Key features of the Gasi-ri trail running competition in Jeju
Year Major Features
2011 First Jeju International Trail Running Competition held
2013 Joined the International Trail Running Association (ITRA) and certified as an official ITRA trail course
2015 Operated Jeju International Trail Running Competition and Trans Jeju International Trail Running Competition
2018 Selected for the Ultra-Trail World Tour
2019 500 foreign participants, accounting for about 40% of all Trans Jeju participants
2023 Joined the UTMB World Series and selected as a UTMB World Series event
Download Excel Table

본 연구는 트레일러닝 대회가 참가자 개인의 경험과 지역 주민 및 지역 공동체에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대회 참가자(일반인과 엘리트 선수), 지역 주민, 대회 관계자, 후원사 담당자, 행정 담당자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28명을 대상으로 면담했다. 연구자는 면담에 앞서 연구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구두 동의를 받은 후 면담을 수행하였다. 각 면담은 약 30분 동안 개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면담 자료는 녹음 및 필기 방식으로 수집한 후 이를 텍스트로 정리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모든 참여자의 익명성과 정보 보호 원칙을 준수하여, 참여자는 번호(ID)로 표기하여 개인 식별할 수 없도록 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암호화를 통해 자료를 보호했다(Figure 1 참조).

jkila-53-4-79-g1
Figure 1. Changes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Gasi-ri trail running event in Jeju Source: Trans Jeju by UTMB 2025 Legend: a: jkila-53-4-79-i1 2017 jkila-53-4-79-i2 2018 jkila-53-4-79-i3 2019 jkila-53-4-79-i4 2023 b: jkila-53-4-79-i5 Trans Jeju by UTMB, jkila-53-4-79-i6 Jeju Trail Running.
Download Original Figure

면담은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첫째, 참가자들은 어떠한 계기와 동기로 트레일러닝에 시작하게 되었으며, 팬데믹 전후 개인의 생활 양식과 건강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둘째, 참가자들이 트레일러닝 대회 참가 과정에서 겪은 개인적·환경적 어려움은 무엇이며, 대회 운영이나 지역 차원에서 어떠한 개선점이 필요한가? 셋째, 가시리에서 개최된 트레일러닝 대회에 참가하면서 참가자들이 지역의 자연경관, 환경, 주민과의 교류 측면에서 인상적으로 경험한 것은 무엇인가? 넷째, 트레일러닝 실천을 통해 참가자들의 일상적 건강관리 및 삶의 질, 환경과 지역 공동체에 대한 인식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 다섯째, 참가자들이 향후 가시리를 다시 방문하거나 지속적으로 트레일러닝 대회에 참가하고자 하는 의향은 어떠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위와 같은 질문을 중심으로 2024년 4월 제주 국제 트레일러닝 대회에 참가하여 대회 기간 대회 참가자와 관계자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현장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후, 공무원, 대회 후원자 등을 대상으로 추가 면담을 진행했으며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2024년 7월부터 9월까지 유선 면담을 통해 보완하였다. 추가로 2024년 12월 트랜스제주 by UTMB 트레일러닝 설명회에 참여하여 면담 대상자를 추가로 확보했으며, 트레일러닝 대회의 운영 및 참가 경험을 폭넓게 탐색하였다(Table 4 참조).

Table 4. List of interview participants
No. Age Group Gender Participation Type / Occupation Region of Residence
1 40s Fe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Seoul
2 40s Fe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Seoul
3 Teens Male Event Participant / Student Seoul
4 40s 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Incheon
5 30s 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Busan
6 30s Fe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Seoul
7 40s 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Busan
8 30s Fe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Seoul
9 30s Fe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Seoul
10 30s Fe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Busan
11 30s Fe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Jeju
12 20s 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Jeju
13 40s 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Jeju
14 40s 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Jeju
15 20s 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Busan
16 30s Male Event Participant / Office Worker Jeju
17 20s Female Event Participant / Student Seoul
18 30s Female Event Participant / Athlete Seoul
19 30s Male Event Participant / Athlete Seoul
20 40s Male Event Participant / Athlete Seoul
21 50s Male Event Organiser / Director Jeju
22 40s Male Event Organiser / Second Director Jeju
23 50s Male Event Organiser / Village head (Gasi-ri) Jeju
24 50s Male Event Sponsor / CEO Jeju
25 40s Male Event Sponsor / Office Worker Seoul
26 60s Female Event Volunteer / Women’s Association (Gasi-ri) Jeju
27 50s Female Event Volunteer / Village Secretary (Gasi-ri) Jeju
28 40s Female Event Volunteer / Village Treasurer (Gasi-ri) Jeju
Download Excel Table
3.2 분석 방법

본 연구 자료 분석에는 근거이론 방법론(Corbin and Strauss, 2014)을 활용하였다. 면담 전사본을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NVivo 15와 Excel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방 코딩을 통해 의미 있는 개념들을 추출하였다. 줄 단위로 면담 내용을 검토하며 반복 등장하거나 의미상 유사한 표현을 개념화했다. 이는 면담 내용을 개념화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Hoddy, 2019). 이후 축 코딩 절차를 통해 범주 간의 관계와 맥락을 체계화하였다. Corbin과 Strauss가 제안한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①인과적 조건 ②중심 현상 ③맥락·중재 조건 ④작용·상호작용 ⑤전략 ⑥결과의 구조로 범주들을 재배열하고 각 범주에 하위범주를 속성으로 연결했다. 이를 통해 트레일러닝 실천이 개인과 공동체 차원에서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인과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 단독으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분석 절차를 수행하였다. 질적 분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구자의 주관적 편향을 최소화하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가적 검증 과정을 거쳤다. 첫째, 피어 디브리핑(peer debriefing)을 통해 질적 연구 경험이 풍부한 박사수료생 2인에게 분석 내용과 결과를 제공하고, 코딩의 분석 해석에 대한 피드백을 수렴하여 객관성을 강화하였다. 둘째, 삼각검증(triangulation)을 진행하여 참가자, 지역 주민, 행정 담당자 등 관점을 교차 비교 검토하여 자료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였다.

4. 연구 분석 결과

4.1 개방 코딩

본 연구의 심층 면담 원자료에 대한 개방 코딩을 통해 총 129개의 개념이 추출되었으며, 유사한 개념들을 묶은 결과 27개의 하위 범주와 9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에서 나타난 주요 개념들을 살펴보면, 개인의 생활양식 변화와 관련된 개념들로「규칙적인 운동 습관 형성」,「자신감 향상」,「건강증진」,「새로운도전 욕구」 등이 다수 등장하였다. 대다수 참가자는 트레일러닝 대회 준비를 위해 규칙적인 운동 습관을 갖게 되었고, 완주 성공 등 성취 경험을 통해 자신감과 만족감이 높아졌음을 언급하였다. 또한「대회 이후 다른 트레일러닝 대회에도 참가하게 되었다」거나「러닝 동호회에 가입하여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스포츠관광 이벤트 참여 경험이 개인의 장기적인 여가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지역 공동체 형성과 관련된 개념으로는「주민 간 대화 증가」,「마을에 활기」,「협동심 향상」,「새로운 모임」 등이 추출되었다. 주민들은 트레일러닝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웃 주민 간 공동 작업과 교류가 늘어났다고 언급하였는데, 이는 스포츠관광 이벤트가 주민들 사이의 사회적 연결망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 이 외에도「지역 이미지 상승」,「환경보호 의식 제고」 등의 개념이 추출되어, 트레일러닝 대회가 가져온 다양한 변화를 드러냈다. 이는 자연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관광 활동이 참여자의 환경 감수성을 높이는 효과와 관련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Sivek, 2002). 이러한 개방 코딩 결과는 트레일러닝 스포츠관광 참여를 통한 개인적 성장과 공동체적 새로운 변화의 다양한 측면을 확인했다.

4.2 축 코딩
4.2.1 범주분석과 패러다임 모형 생성(Figure 2, Table 5, 6 참조)
jkila-53-4-79-g2
그림 2. Paradigm model of sports tourism behavior
Download Original Figure
Table 5. Causal conditions of trail running practice during the pandemic
Concepts Sub-category Category
Closure of sports facilities, restrictions on indoor exercise, limited access to public leisure facilities, increased demand for outdoor activities Restrictions on Activities Due to Social Distancing Changes in Social and Leisure Environments Triggered by COVID-19
Interest in health after the pandemic, health maintenance, well-being, fear of infection, preference for outdoor activities, emotional fatigue, contemplation of natural environments, desire for new challenges Increased Demand for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Regional travel, travel via social media and media, sharing of travel information in online communities Domestic Travel as an Alternative to Overseas Travel
Download Excel Table
Table 6. Contextual conditions shaping trail running practice and local engagement in rural areas
Concepts Sub-category Category
Parasitic cones (Oreum) of Jeju, forest trails, coastal paths, basaltic landscapes, the region’s diverse terrain and natural environments together offer favourable physical conditions for trail-based activities Natural landscape Local resource conditions
Local communal pastures, local paths, canola flower plaza, pony experience park Cultural landscape
Canola flowers, cherry blossom paths, Noksan-ro, silver grass festival, noodles, local specialities, adjustment of farming schedules, spring and autumn-oriented event management Local resources
Gasi-ri, Resident-led initiatives, local youth associations, women’s associations, lifestyle improvement groups, collaboration with planners and athletes from the Gasi-ri, Cooperation from local government officials, village-based sponsors, ESG companies Collaborative management
Download Excel Table
4.2.1.1 인과적 조건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은 중심 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사건이나 원인을 의미한다(Vollstedt and Rezat, 2019). 본 연구에서는 인과적 조건으로「COVID-19로 촉발된 사회·여가 환경의 변화 Changes in Social and Leisure Environments Triggered by COVID-19」가 도출되었다. 가시리 트레일러닝 대회 역시 2020년에 예정되었던 행사가 취소되고 2021년에도 제한적으로 개최되는 등 팬데믹으로 큰 차질을 빚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시적 정체기는 역설적으로 팬데믹 이후 시기에 대한 잠재수요의 축적으로 이어졌다. 한편, 인과적 조건의 하위범주로는 팬데믹 자체 외에도「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른 활동 제한 Restrictions on Activities Due to Social Distancing」,「신체·정서 건강 욕구 증가 Increased Demand for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해외여행 대안으로의 국내 여행 Domestic Travel as an Alternative to Overseas Travel」 등이 도출되었다. 이는 코로나 확산으로 각종 체육시설 이용이 제한되고 해외여행이 어려워지자, 국내 자연환경에서 즐길 수 있는 대안적 활동으로 트레일러닝이 잠재적 주목을 받게 된 상황을 보여준다. 코로나 이전부터 존재하던 웰빙, 자연 지향 여가 선호, 국내 관광 활성화 움직임 등이 있었는데, 이는 트레일러닝 참여 증가의 직접적 동인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4.2.1.2 맥락적 조건

맥락적 조건(contextual condition)은 중심 현상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배경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맥락적 조건은「지역 자원 조건 Local Resource Conditions」으로 나타났으며, 자연환경과 마을경관 그리고 지역의 구조와 운영 조직이 트레일러닝 실천을 지지하는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자연경관 Natural Landscape」,「문화 경관 Cultural Landscape」,「지역자원 Local Resources」,「협력 운영 Collaborative Management」의 네 가지 하위범주로 구성되었다. 이처럼 물리적·사회적 자원이 결합한 환경은 트레일러닝이 특정 지역과 공동체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이어질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한다(Table 7, 8 참조).

Table 7. Central phenomenon of the formation of everydayness and rural identity through trail running practice
Concepts Sub-category Category
Use of commuting time, repeated practice, self-adjusted distance and time, establishment of regular exercise habits, restoration of health Formation of healthy daily practices Formation of everyday and environmental practices
Perception of natural landscapes and diverse sensory experiences, emotional stability and immersion,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respect for biodiversity Formation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Dialogue among local organisations such as women’s and youth associations, preparation for the event and operation of cheering squads, provision of traditional noodle dishes Formation of solidarity Formation of local identity
Reputation as an international sports event, Local pride, Attachment to the village, Increased recognition of preserving environmental heritage Formation of sense of place
Download Excel Table
Table 8. Intervening conditions of trail running practice and rural engagement
Concepts Sub-category Category
Positive memories of trail running, recollections of participation in regional events, kindness of local residents, local food at the event venue, memories of tourist attractions Emotion Practical factors
Volcanic cones and coastal paths, sounds of birds in the forest, immersion in breathing and physical activity Sensation
Sense of accomplishment from self-directed running distances, completing the trail running event, incorporation into daily routines, weight maintenance, increased confidence Achievement
Encouragement from friends, motivation from running community members, promotion through social media and mass media Emotional needs Tourism needs
Empathy for environmental community philosophies, sharing of expertise and values, formation of participant identity Social needs
Experiences of collaboration with village organisations, trust in event management structures, satisfaction and sense of belonging from stable event operation Structural needs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 long-distance travel, locations outside the metropolitan area, pphysical limitations due to high-intensity exercise, infection, hypothermia Physical risks Risk perception
Self-consciousness under other gaze, feelings of intimidation due to lack of skill, concerns about eligibility Psychological risks
Download Excel Table
4.2.1.3 중심 현상

중심 현상(central phenomenon)은 인과적 조건에 의해 발생하고, 작용·상호작용 전략 및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사건을 의미한다(Vollstedt and Rezat, 2019). 이 연구에서 중심 현상은「일상·환경성 형성 Formation of Everyday and Environmental Practices」과「마을 정체성 형성 Formation of Local Identity」으로 나타났으며,「건강 일상성 형성 Formation of Healthy Daily Practices」,「환경 감수성 형성 Formation of Environmental Sensitivity」,「연대성 형성 Formation of Solidarity」,「장소성 형성 Formation of Sense of Place」의 네 가지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일상적인 신체 실천이 감각적, 사회적, 장소적 정체성과 맞물려 형성되는 복합적인 경험임을 보여준다. 참여자들은 대회 참가를 계기로 트레일러닝을 일상적인 신체활동으로 받아들이며, 출퇴근 전후 시간이나 주말 등 자신의 생활 리듬에 맞춘 운동 실천을 지속하고 있었다. 따라서 건강한 일상 실천 양식이 형성되었고, 자연환경에 대한 경험과 정서적 안정감이 축적되며 환경 감수성 또한 강화되었다.

한편, 마을 내에서는 대회를 함께 준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주민 간의 조직화와 상호 협력, 세대 간 연대, 공동의 목표에 대한 자긍심이 형성되었고, 지역 주민들 사이에 연대성과 공동체 유대를 성장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트레일러닝 확산은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 변화를 포함한다. 대회가 커지면서 참가자들의 구성도 다양해졌으며, 과거 일부 마니아층 중심이었던 것이 가족 단위, 중장년층 등으로 저변이 확대되었으며 지역 주민들도 대회를 지역 축제 화하는 변화를 보였다. 대회 준비를 위해 연중 일부가 대회 관련 활동(코스 정비, 봉사 준비 등)으로 채워지는 등 스포츠 실천의 일상화가 공동체 차원에서도 이루어졌다. 이는 앞서 인과적·맥락적 조건이 만나 촉발된 결과로, 본연구의 이론적 탐구 중심에 놓여 있다.

4.2.1.4 중재 조건(Table 9 참조)
Table 9. Actions / interaction strategies of trail running practice and rural community participation
Concepts Sub-category Category
Division of roles within village organisations for course guidance, fostering cooperation, encouragement from local residents Community organisation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Utilisation of local landscapes such as canola flower trails, cherry blossom paths, and reed roads, provision of meals featuring local specialities, sponsorship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friendly sports brands, promotion through broadcasting and local newspapers, the expans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values Integration and utilisation of local resources and content
Download Excel Table

중재 조건(intervening condition)은 중심 현상의 전개 과정에서 참여자의 행위 전략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심리적 특성, 사회·환경적 맥락 등 다층적 변인을 포함한다(Corbin and Strauss, 2014). 중심 현상의 전개에 영향을 주지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변수로 현상에 촉진 또는 제약 작용을 하는 조건들이다. 본 연구에서 중재 조건은「실천 요인 Practical Factors」,「관광 욕구 Tourism Needs」,「위험 지각 Risk Perception」으로 나타났으며, 총 여덟 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실천 요인은「감정 Emotion」,「감각 Sensation 」,「성취 Achievement」로 구성되며, 자연경관 경험에서 몰입적 경험과 운동 성취는 실천 지속의 내면적 동기로 작용하였다. 관광 욕구는「정서적 욕구 Emotional Needs」,「사회적 욕구 Social Needs」,「구조적 욕구 Structural Needs」로 나타났고, 이는 경험 공유, 지역 운영에 대한 신뢰 등으로 구체화 되었다. 반면 위험 지각은「물리적 위험 Physical Risks」과「심리적 위험 Psychological Risks」으로 나뉘며,「기상 변화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고강도 운동량에 따른 신체적 한계 Physical Limitations Due to High-Intensity Exercise」,「타인의 시선에 대한 위축감 Self-Consciousness under Other Gaze」 등이 실천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4.2.1.5 작용/상호작용 전략

작용/상호작용 전략(actions/interaction strategies)은 중심 현상에 대응하거나 현상을 관리하기 위한 실질적 반응을 의미한다(Vollstedt and Rezat, 2019). 본 연구에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Governance」으로 나타났으며,「주민 조직화 Community Organisation」와「지역 자원과 콘텐츠의 활용·연계 Integration and Utilisation of Local Resources and Content」의 두 가지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주민 조직은 코스 정비, 급수 및 음식 제공, 안전 요원 배치 등 세부 영역을 분담하여 준비하며 능동적 운영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협력적 거버넌스 측면에서 서귀포시청 등 관계 기관과 후원 기업들이 참여하여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한 것이 중요한 전략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예산 확보, 홍보 마케팅, 전문 인력 지원 등 필요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할 수 있었다. 한편, 대회 주최 측은 가시리만의 특색을 살리기 위해 유채꽃길, 벚꽃길, 갈대길, 조랑말 공원 등 지역 고유의 장소를 활용하였으며, 부녀회는 국수를 제공하는 등 공동체 차원에서 대회에 환대문화를 형성하며 차별점을 보였다.

4.2.1.6 결과

결과(consequence)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따라 나타난 실천의 귀결을 의미한다(Vollstedt and Rezat, 2019). 본 연구에서 가시리 트레일러닝 사례의 결과로는 크게 두 갈래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하나는 지역사회 변화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 생활양식의 변화이다. 먼저, 지역사회 측면에서 트레일러닝 대회는 가시리 마을에 사회경제적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었다. 매년 수천 명에 이르는 외부 방문객이 몰려와 숙박, 식음료, 관광 소비를 창출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새로운 소득원이 생겼다. 면담에 따르면 “대회가 열리는 주에는 마을 숙소가 꽉 찬다.”, “매출이 크게 늘어 모두가 반긴다.”라는 등 직접적인 경제 효과가 언급되었다. 더불어 주민들의 사회적 결속력도 높아졌다. 함께 행사를 준비하고 치르는 과정에서 세대와 직업을 막론한 협력이 이뤄지고, 서로에 대한 신뢰와 유대가 강화되었다는 평가다. 실제로 주민들은 대회 이후에도 정기적으로 모여 소감을 나누거나 개선점을 논의하며 공동체 의사소통을 활발히 이어갔다. 이러한 경험은 지역 정체성의 성장으로 이어지며 주민들은 자신의 마을에 대한 긍지를 더욱 느끼게 되었다. 트레일러닝 스포츠관광 모델은 지역 경제 활성화, 사회적 응집력 증진, 지역 정체성 강화 등 다차원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0 참조).

Table 10. Consequences of trail running practice and community participation
Concepts Sub-category Category
Utilisation of commuting time, establishment of repetitive routines, a run-oriented trip Routinisation of daily practices Shifts everyday life and the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nning among family members, colleagues, neighbours, local residents, fostering stronger community ties Collectivisation of practices
Utilisation of local paths, communal pastures, local resources Conversion into village resources
Event management led by women’s and youth associations, role-sharing among local organisations, the establishment of an event management culture Structuring of village organisation
Appreciation of natural landscapes, immersion,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emotional purification, mental restoration, fresh air Development of health-oriented tourism
Sharing reviews via social media, uploading records to running apps, viewing content on YouTube Digitalisation of tourism
Download Excel Table

다만 일부 참가자들은 기상 변화나 고강도 운동으로 인한 신체적 한계를 경험하기도 했으며, 타인의 시선에 대한 부담감이나 실력 부족에 대한 위축감을 토로하기도 했다. 개인 생활양식의 변화도 중요한 결과로 관찰되었다. 대회에 반복적으로 참가하거나 트레일러닝을 취미로 지속하게 된 개인들은 여가 활동과 소비 행태 전반에서 변화를 경험했다. 첫째, 소비 양식과 일상 행태의 변화이다. 트레일러닝을 꾸준히 실천하게 된 참가자들은 기능성 운동복, 러닝화, 수분 보충 장비 등 러닝 장비에 대한 소비가 늘어난 반면, 음주나 유흥 중심의 소비는 줄었다. 아울러, 옷차림에서도 기능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이는 야외활동 중심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이 개인의 소비 행위와 일상 습관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환경 감수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 강화이다. 트레일러닝이 자연 속에서 이뤄지는 활동이다 보니, 참가자들은 자연환경의 소중함과 보전의 필요성을 더욱 자각하게 되었다. 면담에서는 “자연을 달리다 보니 예전보다 쓰레기에 민감해지고, 줍기도 한다.”, “소비할 때 환경친화적인 브랜드를 찾게 된다.”라는 진술도 있었다. 이는 실천의 지속성과 함께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참가자들의 환경 윤리와 소비 기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국내 러닝 및 등산 활동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쓰레기 투기 문제3)는 참여형 스포츠관광이 주의해야 할 환경적 부담을 보여준다. 실제로 마라톤 대회에서는 참가자 1명당 평균 6개의 일회용컵을 사용하여 대형 대회 시 하루에만 18만 개의 컵 쓰레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다행히 2025년 서울에서 개최된 ’무해런’ 대회처럼 다회용컵과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운영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어5), 향후 지방 트레일러닝 대회도 이러한 지속가능한 운영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여행 양상의 변화이다. 트레일러닝이 생활화된 이들은 여행 계획을 세울 때 관광지만 보는 것이 아니라 현지의 러닝 코스를 고려하거나, 해외여행도 경관을 보며 달리러 가는 여행으로 목적이 바뀌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여러 참가자가 해외 유명 트레일러닝 대회를 목표로 여행을 간다거나 국내 대회 전후로 대회 개최 지역을 더 여행하며 즐긴다고 하여, 스포츠 중심의 여행 문화가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개인 수준의 변화들은 결국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긍정적 효과를 지닌다.

4.2.2 과정 분석

축 코딩에서 도출된 범주들과 관계를 바탕으로 스포츠관광을 통한 개인과 공동체 변화 과정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과정 분석은 연구 현상의 전개 단계를 서사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어떻게 변화가 발생하고 진전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가시리 트레일러닝 사례에서 변화 과정은 ① 준비 단계, ② 전환 단계, ③ 정착 단계로 구분했다. 먼저 ① 준비 단계는 트레일러닝 대회의 초창기부터 팬데믹 시기까지의 기간으로, 변화의 토대가 형성된 시기이다. 2011년 첫 대회 개최 이후 가시리 주민들은 해마다 행사를 치르며 경험을 쌓았고, 소규모이지만 꾸준한 성장을 이어왔다. 그러나 2020년 팬데믹 발생으로 준비 단계의 후반부에서 행사가 멈추게 되었다. 대회가 중단된 기간 동안, 참여자와 주민은 의미와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Figure 3 참조).

jkila-53-4-79-g3
그림 3. Three-stage development of a participatory sports event
Download Original Figure

즉, 준비 단계는 잠복기의 축적과도 같아서, 이후 변화를 위한 필수 조건들이 내재해 있었다. 예컨대 주민 조직은 이전부터 형성되어 있었고, 참가 희망자는 존재하고 있었으며, 팬데믹 기간 그 욕구가 응축되었다. 다음 ② 전환 단계는 팬데믹 직후 대회 재개의 시기로, 변화가 본격적으로 보이는 단계이다. 2021년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로 대회가 다시 열리자 기다렸던 러너들이 대거 몰려와 참가자 수 급증을 이루었다. 이때 참가자 구성도 과거보다 다양화되어 변화의 양상이 분명해졌다. 전환 단계에서 의미 있는 변화는 스포츠관광에 대한 인식 전환이다.

예컨대 주변 상점의 매출이 늘고, 외지 방문객들이 마을에 활기를 불어넣는 것을 체감하면서 주민들은 대회의 가치를 재평가하였다. 또한 참가자 개개인은 오랜만의 대규모 달리기를 통해 신체적·정신적 해방감을 얻었고, 동호인들과 만나면서 사회적 교류의 즐거움을 재발견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전환 단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③ 정착 단계는 팬데믹 이후 지속적인 발전기로서, 변화가 구조적으로 자리 잡는 단계이다. 2023년 이후 가시리 트레일러닝 대회는 국제 시리즈에 편입되고 해마다 정례적으로 개최되면서 지역사회 내 정착하였다. 이제 주민들은 매년 봄과 가을이면 당연히 대회를 준비하는 문화를 가지게 되었고, 참가자들도 제주 트레일러닝을 하나의 축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개인들의 변화 또한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일상 속 실천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스포츠관광은 지역사회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의 과정을 종합하면, 참여형 스포츠관광을 통한 개인·공동체 변화는 사건 이전의 준비에서 사건 계기의 전환 그리고 사건 이후의 정착이라는 시간적 흐름 속에서 점진적으로 이뤄졌다. COVID-19라는 외부 충격은 신체활동 욕구를 확인하는 단서가 되었고, 그 후 적절한 맥락과 전략이 맞물리면서 개인과 공동체에 새로운 행동양식과 의미를 정착시켰다. 이러한 과정 분석을 통해 우리는 스포츠관광이 장기적 행동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참여형 스포츠관광의 사회적 가치를 방증한다.

5. 결론

본 연구는 제주 가시리 트레일러닝 대회 사례를 통해 참여형 스포츠관광이 개인의 생활 실천 변화와 지역 공동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개방 코딩과 축 코딩을 거쳐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통합하면,「포스트 코로나 시대 참여형 스포츠관광 활성화와 개인·공동체의 동반 변화」라는 하나의 핵심 범주로 요약될 수 있다. 즉, 팬데믹을 계기로 야외 스포츠관광이 활성화되는 중심 현상이 나타났고, 이에 개인의 지속적인 실천 변화와 지역 공동체의 동반 성장이라는 결과가 함께 도출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관광의 효과를 개인과 공동체를 아우르는 다층적 분석을 통해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스포츠관광의 경제적 효과나 사회문화적 효과를 개별적으로 다룬 데 반해, 본 연구는 개인적 삶의 변화와 공동체적 변화를 연계하여 살펴봄으로써 스포츠관광 현상을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개인의 여가 활동 참여가 어떻게 공동체의 변화로 이어지고 증폭되는지 근거이론을 통해 구조화함으로써, 스포츠관광 분야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둘째,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사례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위기 이후 관광 행동 변화에 관한 지식을 축적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야외 활동에 대한 선호 증가와 같은 변화가 스포츠관광 영역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경험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는 향후 유사한 사회적 충격 상황에서 스포츠관광의 회복력과 역할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스포츠관광의 실천적 적용과 정책적 활용을 위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스포츠관광 이벤트를 기획할 때 지역 주민의 능동적 참여를 최대한 끌어내는 거버넌스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주민이 주인이 되는 행사일수록 공동체에 남는 사회적 유산이 크기 때문에, 사전 기획 단계부터 주민 의견을 반영하고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대회의 콘텐츠를 지역의 문화·자연 자원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개발해야 한다. 가시리 사례에서 보았듯이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지역에 대한 애착심을 높인다. 지역의 경관, 문화 등을 통해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안전 관리 체계 강화와 친환경 운영 방식의 체계적 도입이 필요하다. 현장 응급의료팀 운영, 분명한 코스 표식 및 야간 조명 보강, 참가자 대상 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 특히 기상 변화에 따른 저체온증 예방과 고강도 운동으로 인한 부상 방지를 위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다회용 컵과 개인 물병 휴대 의무화하여 일회용 컵 문제를 예방하여 환경 부담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스포츠관광 이벤트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모니터링과 지원이 필요하다. 대회 개최의 경제·사회적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기록하는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과 예산 확보에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쓰레기 배출량, 응급출동 건수, 참가자 만족도 등 사후 평가 체계를 구축하여 지속적 개선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일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다소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제주 가시리라는 지역적 맥락과 트레일러닝이라는 종목의 특성이 결합한 사례이므로, 다른 지역이나 다른 유형의 스포츠 이벤트에서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의 스포츠관광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보편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록 본 연구에서 부정적 경험 사례들을 일부 포함하였으나, 대규모 관광객 유입에 따른 주민 갈등이나 환경 부담과 같은 부정적 측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정적 영향과 위험 요인까지 포괄하여 스포츠관광의 지속 가능한 운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장기적 관점에서 환경보호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보장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균형 잡힌 발전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후속 연구를 통해 참여형 스포츠관광의 이론적·실천적 완성도를 더 높여나갈 것을 기대한다.

Notes

국제트레일러닝협회(International Trail Running Association, ITRA)에 따르면, 트레일 러닝은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 도보 경주로서,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하며, 전체 코스 중 포장도로 비율이 최대 20% 이내로 제한된다. 경로는 수 킬로미터의 단거리에서부터 80킬로미터 이상의 울트라 트레일 코스까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고 정의된다. 국제트레일러닝협회,「What is Trail Running?」, ITRA 공식 웹사이트, (검색일: 2025년 5월 27일).

미디어제주,「제주국제트레일러닝대회, 2024년 4,000명 참가…지역경제 효과 119억」, 《미디어제주》, 2024년 4월 23일, (검색일: 2025년 7월 8일).

손요한,「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과정에서 우리가 간과하는 것」, 《런톡 (RunTalk)》, 2024년 10월 27일, (검색일: 2025년 7월 4일).

김상수,「다회용컵·재사용 번호표 등 ‘무해한 마라톤’ 눈길」, 《헤럴드경제 비즈니스》, (무해한 마라톤), 헤럴드경제, 2025년 2월 19일, (검색일: 2025년 7월 4일).

반기웅,「배번표·기록칩·메달까지…‘일회용 없이’ 뿌듯한 질주」, 《경향신문》, 2025년 3월 24일, (검색일: 2025년 7월 4일).

References

1.

강경문, 전호문, 김경현(2021) 전라남도 지역별 스포츠관광자원과 일반관광자원 연계전략.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6(2): 77-92.

2.

강정호, 박정희(2004) 부산지역발전을 위한 스포츠관광 상품화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 스포츠 리서치 15(6): 635-646.

3.

고경진, 지민준(2013) 해양레저스포츠 관광지 속성에 따른 지역사회 관광 이미지와 재방문 선호도에 관한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9(3): 119-138.

4.

김민수, 오승욱, 임정원, 한진욱(2017)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포츠산업 지원 사업 수요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2(2): 45-66.

5.

김종백, 석강훈(2023) 지역 특화 스포츠관광산업 육성 사업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 탐색. 한국융합과학회지 12(2): 41-53.

6.

김종성(2017) 스포츠관광 활성화와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3): 99-109.

7.

김형훈, 박인혜(2018) 스포츠관광 참여자의 선택속성, 진지한 여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경로모형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7(6): 177-187.

8.

노동연(2021) 스포츠 투어리즘 스토리텔링과 러브마크, 방문객 만족, 행동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9(4): 359-372.

9.

문보영(2016) 스포츠관광 산업과 정책적 과제. 한국관광정책 66: 75-78.

10.

문선호, 이양주(2024) 대학생들의 스포츠관광 제약과 스포츠관광제약 협상, 행동의도의 인과적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26(3): 156-163.

11.

민두식, 고정민, 이완영(2020) 국제스포츠이벤트 관람객의 체험과 지각된 가치, 관광지역이미지, 만족도, 행동의도 간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체육학회지 59(3): 243-261.

12.

박용범(2000)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스포츠관광의 활용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3: 687-698.

13.

신규리, 박수정(2009) 스포츠관광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 471-478.

14.

엄대영, 박상윤(2022) 지역특화 스포츠관광 프로그램의 체험요소가 도시이미지, 장소애착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90: 187-196.

15.

엄철호, 권순용(2019) 농어촌 스포츠관광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지역발전에 대한 양가적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58(4): 113-126.

16.

이석주, 김흥태(2004) 대중관광 시대의 스포츠관광 진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13(2): 425-439.

17.

이유찬(1997) 스포츠 활동이 공동체 의식형성의 지역사회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 131-142.

18.

이유찬, 윤종국, 류경희(2004) 스포츠이벤트 참가동기 요인과 지역사회 의식 형성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1: 727-740.

19.

이정학, 김대웅, 이지혜, 김민준(2021) 지역특화 스포츠관광지 육성을 위한 스포츠관광 이미지 속성 연구: IPA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체육과학회지 30(5): 639-652.

20.

이태균, 김규순(2008) 지역 스포츠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람객 만족요인 연구: 2007 전국 초등학교 축구대회를 사례로. 관광연구 22(4): 133-150.

21.

전대욱, 김해솔(2023) 제주 스포츠대회․전지훈련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툴 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과제 보고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2.

정강환(1995) 지역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관광전략에 관한 연구: 외국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7: 213-224.

23.

최덕철(2016) 창원시의 스포츠관광 활성화 방안: Network이론적 접근. 지역산업연구 39(4): 117-150.

24.

최승재(2023) 문화와 스포츠관광을 연계한 지역발전 방안 연구.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5(2): 141-154.

25.

한국관광공사(1996) 관광정보. 11월호.

26.

한철언(2001) 21c스포츠관광. 서울: 백산출판사.

27.

Coalter, F.(2007) A Wider Social Role for Sport: Who’s Keeping the Score? (1st ed.). Routledge.

28.

Corbin, J. and A. Strauss(2014)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29.

Fernández-Martínez, A., D. Cabello-Manrique, A. F. Roca-Cruz, and A. Nuviala(2022) The influence of small-scale sporting events on participants’ intentions to recommend the host city. Sustainability 14(13): 7549.

30.

George, R. and K. Swart(2012) International tourists’ perceptions of crime-risk and their future travel intentions during the 2010 FIFA World Cup™ in South Africa. Journal of Sport and Tourism 17(3): 201-223.

31.

Getz, D.(1997) Event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Cognizant Communication Corporation.

32.

Gibson, H. J.(1998) Sport tourism: A critical analysis of research. Sport Management Review 1: 45-76.

33.

Gibson, H. J.(2003) Sport tourism: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7(3): 205-213.

34.

Hall, C. M. and B. Weiler(1992) Special Interest Tourism. London: Belhaven Press.

35.

Hinch, T. D. and J. E. Higham(2001) Sport tourism: A framework for research.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1): 45-58.

36.

Hoddy, E. T.(2019) Critical realism in empirical research: Employing techniques from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22(1): 111-124.

37.

Lohana, S., M. Imran, A. Harouache, A. Sadia, and Z. Ur Rehman(2023) Impact of environment, culture, and sports tourism on the economy: A mediation-moderation model. Economic Research-Ekonomska Istraživanja 36(3): 1-20.

38.

Robinson, T. and S. Gammon(2004) A ques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motives: Revisiting and applying the sport tourism framework. Journal of Sport and Tourism 9(3): 221-233.

39.

Sivek, D. J.(2002) Environmental sensitivity among Wisconsi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2): 155-170.

40.

Standeven, J. and P. de Knop(1998) Sport Tourism.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ublishers.

41.

Vollstedt, M. and S. Rezat(2019) An introduction to grounded theory with a special focus on axial coding and the coding paradigm. In G. Kaiser and N. Presmeg, eds., Compendium for Early Career Researchers in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pp. 81-100.

42.

Wahab, S.(1975) Wahab on Tourism Management. Tourism International Press.

43.

Weed, M. E.(2005) Sports tourism theory and method: Concepts, issues and epistemologies. European Sport Management Quarterly 5(3): 229-242.

44.

Weed, M. and C. Bull(2009) Sports Tourism: Participants, Policy and Providers.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