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주민참여형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국외 사례 비교 연구

이애란, 박재민
Airan Lee, Jae-Min Park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청주대학교 휴먼환경디자인학부 조경도시계획전공
Dept. of Human Environment Design, College of Science, Cheong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Jae-Min Park, Dept. of Human Environment Design, College of Science,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28503, Korea, Tel.: +82-43-229-8508, E-mail: jm018@cju.ac.kr

본 연구는 2017년 농업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연구과제 ‘사회통합유도형 도시 커뮤니티정원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과제번호 PJ01258102) ’의 지원을 받았으며, 2017년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를 토대로 작성함.

© Copyright 2018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y 03, 2018 ; Revised: Jun 25, 2018 ; Accepted: Jun 25, 2018

Published Online: Jun 30, 2018

국문초록

최근 도시농업, 텃밭 가꾸기 등에 대한 관심과 활동에서 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아름다운 커뮤니티정원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개인단위의 생산중심 텃밭가꾸기 활동은 익숙한 반면, 공동체가 함께 아름다운 정원으로 가꾸는 것에 대한 측면은 여전히 경험이 적고 정보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국내 도입되어야 할 가이드라인의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국외 커뮤니티정원 가이드라인 6개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외에서 커뮤니티정원 관련 가이드라인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비교적 적은 분량 (100쪽 이내) 으로 제작되었으며, 자료에 대한 온라인 접근이 용이한 편이었다. 일부에서는 편집에 대한 허용을 하고 있었다. 가이드라인의 구성은 초보자가 처음부터 따라할 수 있도록 개요, 기획, 대상지 선정 및 설계, 시공, 유지관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만 초보자들을 위하여 첫 미팅의 논의사항부터 커뮤니티를 어떻게 형성해 나아가야 하는지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개요에서는 개념 정의, 목적, 효과, 성공요인 등을 담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의 이해를 돕고 있었다. 대상지 선정에서는 대상지의 햇빛, 급수, 토양오염 등을 체크리스트 등을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설계와 관련해서는 구체적 도면, 이미지 보다는 설명중심으로 다루고 있어 초보자의 이해를 돕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시공에서는 기반조성, 구조물설치, 식재부분을 다루었으며, 특히 정원 조성 시 노동력의 확보 방법을 구체적으로 포함하였다. 유지관리는 자세히 다루며, 시설물, 회원, 자금에서부터, 병충해, 반달리즘, 유기농 재배, 생물다양성 등까지 확장하여 설명하였다. 부록은 다양한 체크리스트, 행정 서식, 가이드라인, 도면, 연락처 등을 포함하여 초보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국외 커뮤니티정원의 조성 경향과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향후 도입 예정인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의 기본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With the changing of social needs and paradigms, citizens are concerned about aesthetic and cultural community gardens from productive urban farms in Korea. It is still difficult, however, to cultivate a beautiful garden with a community to design, install and manage i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mmunity garden design guidelines of other countrie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six guidelines for community garden design in the UK, Canada, the USA, Australia and Japan.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community garden design guidelines are opened freely via on-line service. The guidelines are composed with chronological processes such as intro, site selection,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e introduction section treats definition, purpose, meaning, efficiency and success factors for community gardens. Site selection emphasizes site conditions (soil, light, shadow, water, etc.), landholding and insurance. The design section, however, lacks adequate drawings and case images. These guidelines offer little explanation with few illustrations and sentences. Construction sections explain about plantings, facilities, expense and details. The maintenance guidelines of community gardens contain how to control members, funding, harvesting, pests and plants. In addition, some guidelines include vandalism, organic cultivation methods, recording and advertisement. Lastly, the appendix contains a variety of checklists, administrative documents, guidelines, drawings, and contacts.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overseas community gardens design guidelines so as to also supply directions for guidelines to be introduced in Korea.

Keywords: 도시농업; 도시재생; 커뮤니티 디자인; 공동체 정원; 게릴라 정원
Keywords: Urban Gardening;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Design; Guerrilla Garden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쾌적한 거주환경개선의 일환으로 담장 허물기, 쌈지공원, 학교 숲과 더불어 도시농업 (주말농장, 텃밭 등) 관련 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특히 도시농업은 시민들의 능동적 공동체 활성화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Lim and Sung, 2016). 국외에서도 유사한 개념으로 커뮤니티정원 활동이 (community gardening)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이는 생산적 활동을 기반으로 공동체 형성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국내 도시농업 활동과 유사하지만, 도시농업은 주로 생산 중심의 활동, 지역공동체보다는 가족단위의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커뮤니티정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범위는 한정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정원과 지역공동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며, 기존의 도시농업보다는 아름답고 주민들이 함께 가꾸어 나아갈 수 있는 커뮤니티정원 조성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름답고 지역공동체가 함께하기 위한 커뮤니티정원을 어떻게 기획, 설계, 시공, 관리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 관련 가이드라인은 주로 정원디자인보다는 농업 중심의 텃밭 조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아름답고 공동체가 함께 계획하고 만들어갈 수 있는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정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더불어 최근 정부차원의 도시재생 사업, 특히 5만m2 이하의 우리 동네 살리기 유형에 있어 커뮤니티정원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 예를 들어, 주민 커뮤니티의 중심 공간이 될 수 있는 골목길과 도시 축소에 따른 범죄와 화재우려가 높은 빈집에 대한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대안으로써 커뮤니티 정원은 유효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정원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국외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기존 가이드라인의 구성 방식 및 구조, 세부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도입 예정인 주민참여형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의 기본 지향점과 콘텐츠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II. 이론적 고찰
1. 커뮤니티정원이란?
1) 커뮤니티정원의 개념과 의미

커뮤니티정원의 사전적인 의미는 울타리 등 영역에 의해 명확하게 구분되는 개인정원 외에 주민공동체가 함께 조성한 개방된 공간으로 식물요소와 조형물로써 공동체 의식을 키우거나 행사나 이벤트가 열리고 놀이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공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Kim et al., 2006; Lee, 2012). 커뮤니티정원과 유사하게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는 커뮤니티 텃밭, 도시농업, 주말농장, 텃밭농원, 도시텃밭, 가족농원, 생활농업 등이 있으나, 그 역사적 배경과 이용 주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내용적, 공간적 범위에 따라 각 연구자마다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Park et al. (2011)은 미국에서의 정의를 인용하여 “생산적 활동을 기반으로 주민참여, 공동체 형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하였다. Hashimoto (2017)는 관리 및 이용 주체 중심으로 정의하며, 주체는 지역 주민으로 이들이 멤버를 모집하고, 일부 지정된 활동 장소에서 활동하며, 활동 내용을 스스로 설정하고, 화단 조성 등 다양한 활동에 대처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Hou et al. (2009)는 의미 중심으로 정의하며, 녹색공간의 확대, 경작을 통한 생산성, 건강한 먹거리, 방치된 토지에 대한 지역사회의 욕구실현, 지역주민의 소통과 협력을 이루어내고, 좀 더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사회로 발전하는 장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 외 Urban Greenery Foundation (2005)은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는 정원으로서 경관미의 향상과 심신의 위로와 치유, 생활의 안전과 안심의 장이 되며, 만남과 교육을 통한 배움, 커뮤니티 재생을 통한 지역의 애착과 지역의 힘을 기르는데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다 포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를 종합하여 개인정원과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첫째, 주민이 주체가 되어 파트너십으로 전개해가는 협동전개과정이므로 정원 만들기의 프로세스를 즐기는 활동 (지역창조 프로젝트) 인 점이 다른 활동과 다름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주민이 주체적으로 커뮤니티의 자립화를 도모한다는 점이다. 활동이 충실해지면 커뮤니티 멤버의 의욕이 촉진되며, 궁극적으로 지역의 자생력이 높아진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취미적인 개인의 원예활동이나 텃밭 만들기의 즐거움을 넘어서, 장기적으로 지속적으로 마을의 미래를 계획하여 푸르른 마을을 만들기 활동으로 전개될 수 있다 (Urban Greenery Foundation, 2005).

2) 커뮤니티정원의 역사와 전개과정

커뮤니티정원 (Community garden) 은 미국에서 1890년대 저소득층의 자급용 농원, 주로 전쟁 중의 식량공급용 농원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세계대전 이후 영양공급과 직업훈련을 위한 도시농업, 공동체 활성화, 도시미화 등과 관련한 사회 이슈와 관계되어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환경교육과 사회복지에 대한 문제로 확장되었다 (Hou et al., 2009). 현재 커뮤니티정원의 용도 및 의미, 지역의 환경개선이나 녹화를 통한 커뮤니티 형성이라는 용도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며, 1973년에 뉴욕에서 시작한 ‘그린 게릴라 (Green guerilla) ’의 활동에서 그 발전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운동은 정부의 허가 없이 도시환경과 생활을 개선했던 사례였다. 이후 1978년 녹화운동을 합법화하려는 노력이 진행되며, 시에 신청하여 비영리단체인 그린 썸 (Green thumb) 을 설립하였다 (Tomomi, 2015). 미국의 대표적 커뮤니티정원은 시애틀의 사례이며, 피카르도의 이름을 따서 P-패치 (P-patch) 라고 부르고 있다. 이 사례는 텃밭을 거점으로 공동체를 구성하고, 다양한 소통과 이벤트의 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더불어 P-패치는 시애틀시의 공동체, 청소년, 마켓 등의 프로그램을 시애틀마을공동체국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www.ci.seattle.wa.us/neighborhoods/ ppatch).

유럽의 경우, 독일의 클라인가르텐 (Klein garten) 이 대표적이며, 산업화와 도시화 이후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동경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주말농장의 형태로 시작되었다. 이후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1, 2차 세계대전에는 군수물자의 공급처가 되었으나, 전쟁 후 경작기능에서 여가기능으로 바뀌며 발전하였다. 작은 ‘Klein’과 정원의 ‘Garten’의 합성어로, 도시의 공공녹지 기능, 도시민의 건강과 휴양을 위한 공간으로 정착되어 이용되고 있다. 영국은 1920년대 대도시의 무질서한 팽창을 막기 위해 위성도시를 계획하였고, 얼라트먼트 정원 (Allotment garden) 으로 시작하였다. 얼라트먼트 정원은 주거지 근처 접근이 편리한 곳에 도시민 특히 노인층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이용권을 제공하여, 채소재배 및 사회적 교류를 유도하기 위한 서비스로 시작하였다 (Kim, 2011). 이와 같이 각국 커뮤니티정원의 이용 목적과 방식은 국가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으나, 각 커뮤니티정원마다 테마가 있어 건강유지를 위한 장, 커뮤니티 형성의 장, 보다 안전한 음식의 실현의 장 등 세부적으로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 특히 커뮤니티정원은 지난 40여 년간 미국, 캐나다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5,000여 개의 회원이 참여하는 미국커뮤니티가든협회 (ACGA) 이 결성되어 다양한 교육과 교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Lee, 2016).

일본의 첫 커뮤니티정원은 1924년 교토에 개설된 분구 (分区) 농원으로 영국의 얼라트먼트 정원을 모델로 하였으며, 꽃을 재배하고 지역환경의 개선을 목표로 하였다. 1926년에는 오사카시와 도쿄에 독일의 클라인가르텐을 모델로 한 커뮤니티정원을 개설하였다. 일본에서는 커뮤니티 정원이 확산되기 이전에 ‘시민농원 (市民農園) ’이 있었지만, 1990년대부터는 미국에서 들여온 도시텃밭의 성격이 강한 커뮤니티정원이 퍼지기 시작하였다. 커뮤니티정원의 활동은 거의 유사한 시민농원 활동을 포괄한다 할 수 있다. 도시녹화기금이 운영하는 커뮤니티정원네트워크 (Community Garden Network: CGN) 는 NPO단체와 협력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커뮤니티 정원으로 불리며, 시작한 초기 사례는 1995년 요코하마 도시공원 내 튤립 심기 활동이나 1998년 신 가와사키와 오사카 한난시의 커뮤니티 정원 포켓 등이 있다. 해당 커뮤니티 정원의 목적은 고령자의 보람 있는 삶 만들기, 국철 조차장 철거지의 재생, 장애인의 복지와 관련된 것이었다. 기존 시민농원은 환경 악화의 개선, 농지 이용 활성화, 레저 수요 등의 배경이었다면, 커뮤니티 정원은 주민이 주도하는 마을만들기의 한 형태로 지역과제 해결을 위한 활동으로서 실천하고 있다 (Hideki, 2002).

3) 관련 선행연구

커뮤니티정원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Kim et al. (2006), You (2011), Kim et al. (2012), Sung and Lee (2013)는 국내외 커뮤니티정원의 사례를 분석하여 커뮤니티정원의 발전 방향과 모델을 제안하였다. Hashimoto (2017) 는 활동의 장에서 구성요소와 활동내용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Choi (2009), Hue and Kim (2012), Kim and Lee (2013)는 국내 커뮤니티정원의 경제적, 환경적, 심리․사회적 효과를 설명하였으며, Choi and Seo (2016), Kim et al. (2006), Park et al. (2011)은 커뮤니티정원의 모델을 제시한 바 있다. 국내 정원 관련 가이드라인은 주로 조경 전반에 관한사항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과 텃밭과 농촌마을과 개인주택 정원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2016; 2017) 이 개발되었으며, 시민참여와 관련하여 시민정원사 매뉴얼 (Gyeonggi Agro Food Institute, 2016) 이 있으나, 주로 커뮤니티의 형성과 정원의 디자인보다는 원예적 관점에서 식생의 유지관리 중심으로 제작되고 있었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국외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관련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사례분석 (case study) 의 방식을 취하였다. 다만 일본 사례의 경우, 자료 확보 및 해석에 어려움이 있어, 관계 전문가 자문1)을 받아 가이드라인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관련문헌의 수집을 위하여, Amazon 온라인 서점, 학술 DB (Academic Search Complete, Science Direct, Ebsco Journal), 검색엔진 Google을 사용하였으나, 파일럿 검색을 토대로 살펴보면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의 경우, 대부분 일반인 독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대다수 사례들이 온라인에 공개되고 있었다. 이에 검색엔진인 Google을 중심으로, 키워드 검색 (Community, garden, design, guideline) 을 조합하여 관련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일본 사례의 경우, Amazon에서 도서형태만이 검색되어 현지 전문가 자문을 받아 관련 자료를 확보하여 선정하였다. 그 외 학술 DB에서는 치유정원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이 검색되었으나, 본 연구의 방향과 달라 제외하였다.

1단계 자료수집에서 커뮤니티정원과 관련된 총 65개의 커뮤니티 조성 가이드라인 수집하였다. 2단계에서는 본 연구에 유의미한 시사점이 있고 본 연구에 부합하는 15개의 가이드라인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선정기준은 본 연구 취지에 맞는 적합성, 가이드라인 사이의 대표성, 분량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농업만을 다루어 본 연구의 취지와 다르거나, 양적으로 타 가이드라인의 내용에 수렴되는 10쪽 이내의 자료는 포함하지 않았다. 그 외 치유 등의 특정 주제, 행정적 가이드라인, 요약 자료 등은 제외하였다. 3단계에서는 상호 시사점이 분명하고, 각 국가별 특성을 담은 사례 6개를 최종 선정하였다 (Table 1 참조). 다만 호주사례의 경우, 충분한 시사점을 갖추고 있어 2개의 가이드라인을 포함하였다.

Table 1. Design guideline cases for the community gardening
Guideline names Country (city) Publishing Year Total page (appendix page)
A Building community gardens USA (Montana) Alternative energy resources organization 2009 62 (35)
B Community gardens hand book Canada Alberta health services 2016 64 (32)
C The good practice guide for community garden Australia Cultivating community 2002 58 (27)
D Community garden guidelines Australia (Sydney) Sydney city council 2016 40 (10)
E Love Lewisham's guide to creating a community garden UK (London) Lewisham council 2014 38
F Community garden development: Planning guide by flower and green (コミュニティガーデンのおすすめー花と緑のまちづくりガイド) Japan Urban greenery foundation 2005 103 (5)
Download Excel Table

내용 분석은 가이드라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가이드라인의 구성 특성을 토대로, 개요,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부록으로 구분하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전체 가이드라인의 구성 특성에 따른 것으로, 분석 대상 가이드라인 모두 시계열적인 순서로 개요,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와 부록의 형태를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둘째, 각 가이드라인에 기술된 내용과 그 강도를 살펴보았다. 각 항목에 대한 평가는 기존 연구의 기호법 (Nam and Kim, 2017) 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기술된 경우, ‘●=적극적 제시’, 직접 언급을 하고 있지만 그 빈도와 강도가 높지 않을 경우, ‘◉=중간’, 세부적 기술은 없지만 연관되거나 한두 번 언급된 경우, ‘◯=소극적 제시’, 전혀 언급되지 않았을 경우, ‘×=내용 없음’을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그리고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국내 도입할 커뮤니티정원 가이드라인의 방향과 유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술하였다.

III. 연구 결과

1. 분석대상 커뮤니티정원 가이드라인 구성 특성
1) 분석대상 커뮤니티정원 가이드라인 기본 특성
(1) 커뮤니티정원 가이드라인 제작 환경

조사된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이하 가이드라인) 들을 살펴보면,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 정원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경험이 많은 국가의 지방정부와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제작되어 배포하고 있었다. 가이드라인은 주로 커뮤니티정원 활동이 활발히 진행된 지역 및 기관에서 제작되고 있었으며, 커뮤니티정원 활동의 확산을 도모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서 발간하고 있었다. 시기적으로는 대부분 2000년대 이후 제작되어 온라인에 공개하고 있었다. 조사된 자료에서 2002년 제작된 가이드라인 C만이 온라인 배포용과 오프라인 (15달러) 으로 판매하였을 뿐, 그 외 대부분은 무료로 배포하고 있었다. 많은 경우, 편집 및 재배포에 대해서도 허용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분석대상 가이드라인은 대중들이 보다 쉽게 접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공개적으로 배포되고 있으며, 온라인의 발달과 함께 발전하고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일본 사례의 경우, 온라인으로 제작된 사례를 찾기 어려웠고 책으로 제작되어 판매하고 있었다2).

(2)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구성 및 상호 관계성

전체 분량은 일본 사례를 제외하면 약 40–60쪽으로 비교적 적은 편이었으며, 본문보다는 부록의 분량이 상대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가이드라인의 특성상 참고하거나 이해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 (사진, 도면, 연락처 등) 가 많이 필요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특이한 점은 각 가이드라인들은 상호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시드니 시의 가이드라인 D는 주변 지방정부의 가이드라인의 기준이 되고 있었고, 호주 멜번시의 가이드라인 C는 영국 자료 (federation of city farms and community garden) 를 참조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었으며, C는 다시 캐나다 가이드라인 B의 기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대표적 사례는 인근 지역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더 나아가 일부 사례는 지리적으로 먼 도시와 국가에도 영향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온라인으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지리적문제와 관계없이 관심사와 주제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여 네트워크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개별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특성

분석 대상 가이드라인들은 커뮤니티정원이라는 유사한 대상을 다루고 있지만 각 사례별 차별화된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국 사례인 A는 커뮤니티정원에 대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는데, 미국 커뮤니티정원의 역사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었고, 실제 진행했던 설계 사례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며, 각종 편지 사례 및 문구 등에서도 구체적으로 담아주고 있었다. B는 정부와 협력관계에 있는 비영리 민간단체에서 제작하였으며, 온라인 자료라는 특성을 토대로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해주고 있었다. 민간단체에서 제작하였기에 적용 대상을 특정 지역에 한정하지 않고 있었다. 질문 형태로 커뮤니티정원에 대한 소개를 함으로써 초보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었으며, 커뮤니티정원의 유형, 조성 과정에서의 팁 및 체크리스트 등을 잘 정리하고 있었다. C는 타 분석 대상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기에 제작된 가이드라인으로 디자인보다는 커뮤니티의 형성과 생산중심의 커뮤니티정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다만, 커뮤니티정원의 조성에서 생산만이 아닌, 심미성과 문화적 가치의 중요성을 잊지 말고 조성해야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오랜 기관 활동한 비영리 민간단체인 Cultivating Community의 경험을 토대로 제작되어, 단어와 문구 등을 구체적을 다루며 세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D는 시드니 시에 최근 제작한 가이드라인으로 편집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사례였으며, 타 사례와 달리 공공의 관점에서 제작되었다. 예를 들어, 시에서 보유하고 있는 커뮤니티정원의 위치, 정부의 지원 및 연락처 등에서 상세히 기술하고 있었으며, 반면 타 사례에서 많이 다루던 실제 정원의 설계와 시공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주제의 폭은 상대적으로 넓었는데, 예를 들어 생물다양성, 유기농 식물 재배 등처럼 보다 확장된 개념을 담고 있었다. E의 경우, 런던 Lewisham 시에서 제작하였으며, 도시 내 유휴부지의 활용성, 심미성, 범죄예방, 반달리즘, 대기환경 개선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었다. 타 가이드라인에 비해 각 단계별로 명확한 문장과 용어를 사용한다는 차별성이 있었고, 설명글 하단에 질문형태로 다시 다루고 있어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었다. 그 외 부록에서는 앞서 서술한 내용을 성공사례에 적용하여 동일한 과정으로 설명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도를 높였다. 전반적으로 조사 대상 가이드라인들은 디자인보다는 커뮤니티의 형성과 조성 프로세스에서 유의사항을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의 초기 예상과 달리, 가이드라인들은 사례이미지보다는 설명 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Table 2 참조).

Table 2. Contents analysis of community garden design guidelines
Contents A B C D E F
Intro Definition ×
Purpose ×
Category × ×
History × ×
Efficiency ×
Success factor × × × ×
Checklist × × × ×
Starting Purpose
Community
Sponsor × ×
Budget ×
Publish and outreach × × × ×
Finding sites Site condition
Landholding ×
Insurance × ×
Design Type × × × ×
Design and drawing × ×
Planting × × × ×
Experts × × × ×
Program × × × × ×
Construction General details × × × ×
Facilities × × × × × ×
Expense × × × × ×
Plants × × × ×
Management Guideline document
Manage of plants × × ×
Pest × × ×
Harvesting × × × ×
Membership × ×
Fund management × ×
Articles of association × × ×
Vandalism × × × ×
recording × × ×
Etc (organic, Biodiversity, pet and art) × ×
Appendix Checklist for site evaluation × ×
Checklist for design × × × × ×
Samples for meeting × × × ×
Guideline for management × × × ×
Term × × × × ×
Role × × × × ×
Map and location of community garden × × × × ×
Consent form of land lease × × ×
Consent form of participation × × × ×
Evaluation & survey × ×
Schedule × × ×
Insurance × × × × ×
Mailing sample × × × × ×
Advertisement samples × × × ×
Cases Drawings × × ×
Sketches × × × × ×
Succeed cases × × × × ×
Links and resource ×
Etc Nutrition tip, funding sources Free tips, funding sources
Download Excel Table
2. 단계별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특성 분석
1) 개요

개요 부분에서는 커뮤니티정원에 대한 개념 정의, 목표, 의미와 효과, 성공요인 등의 전반적 사항을 기술하고 있었다. 주로 커뮤니티정원의 의미와 효과에 대한 기술이 많았는데, 예를 들어 커뮤니티정원이 제공하는 생태성, 건강성, 경제성을 소개하고, 직접적인 효과인 공동체성 강화, 건강성, 물리적 활동 증가, 정원기술의 학습, 정체성과 자존감 향상, 환경보전, 녹지공간 확보 등과 간접적 효과인 범죄예방, 에너지와 자원 보전, 지속가능성, 생태계보호 등의 거시적 가치를 설명하고 있었다. 미국과 일본 사례에서는 커뮤니티정원의 역사에 대해서 기술하 고 있었는데, 주로 미국에서의 1, 2차 세계대전과 연관된 Victory garden (Figure 1-d 참조) 에 관한 기술이 주를 이루었고, 이는 일본사례에서도 동일하게 자국의 역사가 아닌 미국의 역사를 다루고 있었다. 커뮤니티정원 유형은 대상지 여건, 이용자, 목적에 따라 다양해짐을 전제하고 설명하였으나, 각 가이드라인의 취지와 목적에 따라 몇 가지 유형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가이드라인 B에서는 개인, 집단, 그리고 개인과 집단 혼합을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었는데 이는 생산 중심의 커뮤니티정원 조성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반면 D에서는 면적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 참여인원 및 시설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쉽게 그 예상 규모와 범위를 이해할 수 있었다. 커뮤니티정원 조성을 위한 대상지에 대해서는 대부분 방치된 유휴부지를 대상으로 정의하고 있지만, 더 넓게는 공원, 보행로 주변, 옥상정원, 학교, 종교시설, 병원, 주택, 개인주택, 과수원 등으로 확장하여 그 한계를 두고 있지 않았다. 그 외 성공을 위한 요인을 명시하고 있었는데, 사람 (참여자 유형), 대상지, 정원 스타일, 구조 (유지관리), 프로모션 (이벤트와 행사) 등의 인자를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서 첫 미팅에서의 훈련된 퍼실리테이터의 참여를 통해 집단적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구성해 나아가는 과정의 중요성을 기술하고 있었다.

jkila-46-3-117-g1
Figure 1. Various drawings, poster, checklist and case of community gardens
Download Original Figure
2) 기획 단계

기획단계에서는 커뮤니티정원을 처음 대면한 초보 참가자들에게 무엇부터 시작해야 하는지를 설명해주고 있었다. 가이드라인에서 그 시작은 참여할 인원을 모집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단계부터 기술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 회의에서의 안건과 공통의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과 방법을 다루었으며, 지속적으로 커뮤니티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드닝에 관한 참여자의 관심정도, 대상지의 규모와 정원의 유형을 사전에 고려하여 계획해야함을 설명하였다. 기획 단계는 초보자인 참가자들의 이해를 보다 쉽게 하고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본문 또는 부록에 체크리스트와 사례 등을 포함하여 도움을 주고 있었다. 그 외 초기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항목들을 제시하고 있었는데, 커뮤니티정원의 목적, 이용자, 코디네이터의 유무, 기존 경험 유무, 현재 예산과 향후 스폰서, 대상지 확보, 정원 디자인 (이용자 고려) 방향, 유지관리를 제시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참여 회의의 지속성 유지, 의사결정 방식, 청소, 생산물에 대한 수확방식, 코디네이터의 발굴, 등록, 행사, 타 커뮤니티와의 파트너쉽 형성 등을 다루기도 하였다. 국내 사례 (Lee and Lee, 2018) 와 달리, 커뮤니티정원의 조성 및 유지관리에 있어서 자금의 확보와 스폰서에 관하여 자세히 다루고 있었다. 다만 그 절차적 단계에서, 커뮤니티 형성과 대상지의 선정이후에 진행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었다. 자금의 확보와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었는데, 커뮤니티의 자체적 비용 (회비) 부담뿐만 아니라, 지역 내 관련 기관 (관련 상점, 병원, 공공기관, 학교 및 대학) 으로부터의 다양한 지원과 벼룩시장, 생산물 및 기념품등을 이용한 소득, 공공기관으로부터의 예산 지원 등의 활용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었다.

3) 대상지 선정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에서 적합한 대상지 선정은 해당 프로젝트의 성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대상지 선정은 대상지 여건과 소유관계의 두 가지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었다. 첫째 대상지 현황 여건의 검토에 관한 것으로써, 햇빛, 그늘, 지형, 외부로부터의 시각성, 토질, 배수, 토심, 지하시설 현황, PH도, 토양오염, 접근성, 자본금, 편의 시설, 참여자 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중에서 식물의 생장과 밀접한 일사량과 정원 용수 확보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강조되고 있었다. 그리고 토양 환경에 따른 유의점을 밝히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유휴지는 토양오염이 된 사례가 일부 있기에 과거 대상지의 이용 역사를 확인해야 하며, 도로 주변, 철거물 지역에 대해서는 토양오염 테스트가 반드시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 외 기존 식생 현황, 대상지 지하 시설물 (전기, 수도, 전화, 하수 등), 주변 관련 커뮤니티, 도로 접근성, 대상지의 피복 (cover) 과 현황 (잡초, 잔디, 포장 등),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따른 식생 영향 정도 또한 대상지 선정에서 고려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Table 3 참조). 이러한 각 요소들은 부록에 체크표를 포함하여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토지 소유권과 관련한 사항이다. 가드닝 대상지가 개인부지, 공공부지의 차이점을 밝히고 있으며, 개인토지 소유자와의 협의 방식과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언급하며, 동의서 양식 등을 포함하여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지자체에서 제작한 가이드라인의 경우, 관련하여 공공기관의 협조를 받을 수 있도록 기관 명칭과 주소를 명기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토지소유자와의 계약기간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3년 단위로 재계약할 것을 권장하였다. 특징적으로 책임보험에 관한 사항을 다수의 가이드라인에서 포함하고 있었다. 커뮤니티정원 조성이나 이용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다양한 안전사고, 특히 지하시설물 파손에 대비해야 함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보험비용 절감을 위한 스폰서와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강조하고 있었다.

Table 3. Considering contents for community gardens
Classify Contents
Intro Considering elements Gathering community, regular meeting, decision making method, cleaning, harvest, garden coordinator, registration, event, partnership, annual gardner fees, local business, corporations, fundraising, public grants
Benefit Reduce neighbourhood crime, antisocial behaviour, sustainable land management, improve quality of local envrionment, food production, wildlife, air quality, carbon emission, organic, fresh vegetable, physical activity, social gathering, learn garden skill, pride of community, preserve local environment, growing green space, build community, improve nutritional health improve amenity, reduce environmental impact, create purposeful recreation, biodiversity
Site Condition Sunlight, shade, size, topography, visuality, soil composition, drainage depth of topsoil. under ground pipes, target population, accessibility, pre-exisiting asset, facilities, history of use, exposure, slope and drainage, restrictions, property stature, terms, sun/shade patters, access to water & rain barrels, wind, elevation (slope), soil conditions and quality, trees, shrubs and flowers bed, building, structures and fences, pave areas, traffic pattern, parking, play areas, sitting areas, underground system, view
Type Derelict sites, parks, railway station and tracks, public, church yard and cemeteries, waste ground, recreation ground, school, hospital or university, common lands and housing estate, urban fringe agricultural land, nature strips and back lanes, vacant blocks, shopping strips
Design Elements Aesthetics, services, low-wastes, inter-grated soil fertility management, sustainable, organic pest management, scenic landscape, accessability, safety
Facilities Garden toolshed, greenhouse, compost bins and worm farms, shelter from rain and sun, seating and table, washing area, toilet, gathering place, children's play space, notice board and sign
Construction Preparation Remove garbage and weeds, path soil test, water lines and drainage system
Structure Bed, pathway and ramp, composing bims, garden shed, rain barrels, fences and gates, sign, green house, rest area with benches and shade, childeren's play areas
Plant Region, seeding, transplants, what to grow
Maintain Element Share tools, fee, garden guideline, survey, education, celebrate, fundraising, incorporating, vandalism, pest, frog fond, natve bee and exotic bee, soil cult and fill
Funding Fee, donation, sell goods, fundraise locally, public, partnership
Download Excel Table

이러한 대상지 선정은 발굴하기, 선택하기, 권리확보의 단계로 진행되며, 현실에서는 대상지 선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처음 선택한 토지가 적합한 곳이 아닐 수 있기에 2–3곳의 대상지를 준비해 둘 것을 제안하고 있었다. 시드니 사례 (C) 에서는 커뮤니티의 목적에 따른 토지의 규모 선택 (대형 1,000m2 이상, 중간 400m2, 소형 100m2) 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는데, 목적에 따른 이용 면적과 참여자수 그리고 관련한 도입 시설 등을 제시하고 있었다 (Table 4 참조).

Table 4. Recommended garden types by size of land and group
Large Medium Small
Size 1,000m2 or more Around 400m2 Up to 100m2
Type of garden Community Community Community or footpath verge
No. of members 40 or more 25 or more 15 or more
Herbs, flowers, vegetables
Miniature fruit trees
Accessible paths for wheelbarrows, prams, wheelchairs
Composting system
Communal garden bed-forage for herbs
Biodiversity garden
Tool shed 16m2 7m2 2m2
Other Chickens, ducks, native bees and frog pond Native bee and frog ponds
Download Excel Table
4) 정원 설계

설계 단계에서는 구체적 설계의 과정과 방법보다는 고려해야 할 사항을 기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정원 설계 단계는 기능적인 측면과 심미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었다. 커뮤니티정원 설계 시 기능적으로 고려할 요소로는 이용주체 (노인, 어린이, 장애인 등), 접근성 (이동시간, 이동거리, 이동방법 등), 베드의 수량, 통행로 (베드 사이의 보행 공간), 서비스 동선, 유기물을 이용한 토양 관리, 지역 내 재료와 재활용 시설의 활용, 물 공급 용이성, 병충해, 에너지 효율성, 사람들에게 알려지거나 알릴 수 있을 정도의 아름다움 유지 및 관리, 안전성, 외지지 않은 위치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Table 3 참조). 그리고 구체적 방법과 수치를 제시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베드 주변에 나무칩 (bark) 을 10cm 정도 멀칭하여 잡초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관개 (irrigation) 는 직접 급수, 파이프 라인, 스프링클러 등을 소개하며, 현실적으로 호스 등을 이용하여 직접 물을 주는 것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임을 밝히고 있다. 베드를 이용할 경우, 통행로 확보가 중요하므로 수레와 이동을 고려하여 1.22m 이상의 폭을 확보하고 이용자 행태를 고려하여 60cm 모듈이 합리적이며, 경사도는 5cm 이하로 할 것을 설명하고 있었다. 토심은 최소 15cm를 확보하고 일부 식재는 30–46cm를 확보해야 함을 설명하고 있었다.

기능적인 것뿐만 아니라, 커뮤니티정원은 근본적으로 아름답고 매력적인 디자인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특히 심미성을 갖춘 정원은 새로운 참여자를 유도하고 토지소유자와 주변인들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줌을 강조하고 있었다. 주변 사람들이 지나가며 감각하는 느낌을 향상시키는 것의 중요함을 설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매력적인 식재 (과일나무, 관목, 허브 등의 초화류, 꽃이 있는 채소 등), 시설물 (의자, 정물 등) 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필요함을 기술하였다. 다만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하며, 다양한 주제가 있는 정원 (나비정원, 허브정원, 바위정원 등) 또한 고려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5) 정원 시공

시공부분은 대상지 기반조성, 구조물 설치와 식재 부분으로 구분되었다. 기반조성은 주로 대상지 내 잡초 및 쓰레기의 제거, 그리고 토양테스트를 통한 토질 및 중금속 확인, 배수 및 관수 시스템과 참여 노동 인력 등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구조물 설치는 접근성을 고려한 베드 설치, 비료 제작통, 공구창고, 빗물저류조, 담장과 문, 안내판, 온실, 휴식을 위한 의자와 그늘,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공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식재의 경우, 기존 묘목이나 포트를 이식하거나 씨앗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사례도 있었다. 예를 들어 묘목을 온실에서 키워서 옮기는 방법, 물은 24시간마다 뿌리가 충분히 젖도록 주고 잎사귀는 젖지 않도록 해야 하며, 토양 특성에 따른 씨앗뿌리기와 자생 식물, PVC 파이프를 이용한 트렌치 설치 등과 같이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세부적 방법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었다.

첫 정원 시공은 초보자들에게 매우 어려운 활동이므로, 조경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그리고 공공기관이 가지고 있는 장비 등이 있을 경우, 이를 지원받을 것을 제안하였다. 커뮤니티정원 시공 시 기존 시설의 재이용과 무료로 재료를 확보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었다. 기존 재료 재이용의 좋은 점을 설명하고 있지만, 철도주변 침목 등의 경우 오염물질이 배출되므로 주의해야 하며, 식용 식물 재배는 하지 말아야함을 명확히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정원 시공 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해당 커뮤니티 외에 일시적으로 자원봉사자를 모집하여 운영할 수 있음을 안내해 주고 있었다. 커뮤니티정원 관련 기존 공공 및 민간단체와 연계하여 자원봉사자를 모집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으며, 지역에서 제작된 가이드라인에서는 관계 기관의 연락처와 주소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었다. 커뮤니티정원의 생물다양성을 위한 장소로서의 가능성과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예를 들어 개구리 연못, 벌통 등의 이용 방법을 소개하였고, 그 외 애완동물의 관리, 예술의 도입 방법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6) 유지관리

유지관리 부분은 대다수 가이드라인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었다. 유지관리는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기본 사항과 여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추가 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 사항으로는 시설의 공유, 회원 및 회비관리, 유지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추가 사항은 수확물의 공유 및 처리 방법, 병충해 관리, 반달리즘, 유기농 재배, 생물다양성 확보, 동물, 예술 등의 사항이 있었다.

유지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살펴볼 수 있는데, 정기적 회의, 주변 관련 단체와의 네트워킹, 행사 및 이벤트 (오픈데이, 특별이벤트 등), 안내판을 통한 정보 제공, 미디어, 소셜미디어와 홈페이지 등의 적극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설문지 샘플을 포함하여 간단한 설문조사를 수확기 (가을) 에 시행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적으로 커뮤니티정원과 커뮤니티를 보완하고 개선해 나아가도록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하고 있는 정원을 향상시키고 참여자들의 지속적 관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여 특별한 지식과 기술, 경험을 얻을 것을 제안하였으며, 주기적인 행사와 이벤트를 통해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도모해야함을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커뮤니티정원의 지속성과 성공을 위해서는 자금의 관리와 확보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초보자의 이해가 쉽도록, 구체적 방법으로 영수증 모으기, 연필 사용 금지, 세금환급 등을 설명하고 있었다. 지역의 민간 및 공공단체로부터의 다양한 재정적 지원 확보 방안을 설명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자금을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와 계획을 통해서 구체적 원칙을 세워야함을 알려주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정원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계획을 구체화하고, 잠재적 자금 이용 방안을 세우고, 이를 토대로 제안서를 준비하며, 관련 사항을 기록하고, 프로젝트 진행과 관련한 전반 사항을 지속적으로 문서화 작업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었다. 특징적으로 커뮤니티정원의 경우,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반달리즘 (Vandalism) 에 대한 대응 방안을 소개하고 있었다. 그 대비 방안으로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고 많은 사람들이 방문할 수 있도록 하며, 덜 인기 있는 식재를 심고 가시가 있는 장미 등의 식물을 사용할 수 있음 기술하고 있다. 그 외, 과잉 생산된 생산물을 공유하는 방법과 건조, 냉동 및 통조림 제작방법을 포함하기도 하였다.

7) 그 외 부록

부록은 각 가이드라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적으로 초기 커뮤니티의 목표와 방향, 그리고 준비과정을 점검할 수 있도록 대상지, 유지관리, 설계 체크리스트 등을 포함하여 도와주고 있었다 (Figure 1-d, e 참조). 그 외 관련 서식 (회원 등록, 설문지, 토지이용 동의서, 메일, 홍보자료, 역할과 업무분담 등) 을 제공하고 있었다. 지역에서 개발된 사례에서는 해당 지역의 커뮤니티정원 위치와 관련 기관 연락처를 포함하고 있었다. 설계와 관련하여 도면 예시, 스케치 사례, 성공 사례 사진 등을 포함하였다. 그 외 용어정의, 무료 재료 확보 방안, 보험 등의 구체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IV. 결론 및 시사점

도시 내 정원 및 텃밭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며, 다양한 커뮤니티정원 조성 활동이 전개되어 왔다. 이에 관련한 다양한 가이드라인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2016; 2017; Gyeonggi Agro Food Institute, 2016) 이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은 생산중심의 도시농업, 마을텃밭, 원예 작물 재배 및 식생의 유지관리 중심에서 다뤄져 공간 디자인에 대한 부분은 간과되어 왔다. 이에 초보자들을 위한 커뮤니티의 형성과 실질적 정원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가이드라인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커뮤니티정원 조성 역사가 깊고 관련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국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그 시사점과 국내 도입 방향을 고찰하였다. 관련하여 연구자들의 초기 고민은 한국적 상황을 고려할 때, 국내 도입되어야 할 가이드라인은 생산보다는 아름다운 정원 설계를 위한 실질적 디자인 기법, 소재 및 사례를 많이 포함해야 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왜냐하면 국내의 경우, 전통적 농경문화 속에서 텃밭의 조성 및 관리는 익숙한 반면, 아름다운 정원 조성과 소재 사용에 대한 경험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더불어 텃밭의 경우 토지는 공유하지만, 사실상 유지관리와 생산물은 개인적으로 소유함으로써 공동체의 참여에 있어 한계성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도입할 가이드라인에 관한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앞서의 결과를 토대로 종합해보면, 전반적으로 분석 대상 가이드라인들은 비전문가 특히, 처음 커뮤니티정원을 접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함에 따라 온라인에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었으며, 100쪽 이내의 적은 분량으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향후에도 적합한 정보 제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다만 기존 사례는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사례 이미지, 다이어그램 등보다는 관련 내용에 대한 서술형 (Figure 1-e 참조) 으로 작성되어 있어 향후 국내 도입 시에서는 보다 친숙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전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초보자들이 단계적으로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개요 및 기획, 대상지 선정 및 설계, 시공, 유지관리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는 단계적으로 따라할 수 있는 적합한 방식이라 할 수 있었다.

각 단계별 특징과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요 및 기획 단계에서는 개념 정의, 목표의 설정, 의미와 효과, 성공요인 등을 포함하여 커뮤니티정원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앞서의 이해를 바탕으로 초보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를 다뤄야할 것이다. 즉, 기획단계는 정원 조성 참여자들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시작점이다. 가이드라인 이용자의 대다수는 정원은 물론 커뮤니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이므로, 구체적으로 정원 조성에 참여할 인원을 어떻게 모으고 막연한 첫 미팅에서 어떤 이야기를 나눠야 하는지 등의 세세한 내용, 기존 사례와 서식 등을 제공하여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커뮤니티 정원의 유형이 매우 다양하므로, 이용자들이 스스로 조성 목적과 면적 등을 구분하여 그 참여 인원과 필요한 시설 (Table 4 참조) 등을 다룰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참여 주체의 선정은 조성과 지속적 유지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로 설명되고 있다. 이에 기존 국내 유사한 사례의 실제 경험을 부록에서 포함하는 것은 효과적 대안일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연구자들의 관련 커뮤니티정원 참여자 면담 경험에 따르면, 커뮤니티정원 모임 이후의 식사, 정원 생산물 활용한 음식나누기, 정기적 아침 청소, 마을잔치, 공공지원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등은 국내에 적합한 커뮤니티의 지속성과 확장의 중요한 방법이었다. 다만 이 또한 공동체 참여 주체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유연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 기존 사례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상지 선정은 프로젝트의 성공과 지속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실제 시공단계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다. 힘겹게 정원을 조성하더라도 불량한 토질, 부족한 광량과 정원수 공급이 어려울 경우 실패 확률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커뮤니티의 지속적 참여와 유지관리 또한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이드라인 제작 시, 고려해야 할 대상지 선정 체크리스트를 명확히 제공하여 적지를 선정하게 함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햇빛, 그늘, 배수, 정원수 확보 등은 반드시 다뤄져야 할 부분이며, 이와 관련한 수종의 특성 및 확보에 관한 정보 또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토지소유관계는 개인이 다루기 어려운 부분이 많으므로, 공공과의 협력과 지원의 필요성과 방법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다만 다양한 선정 요소를 모두 포함할 경우, 초보자들에게 오히려 접근이 어렵거나 혼란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그 중요도와 대상지의 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필요가 있다.

정원 설계와 관련하여, 기존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사실 미흡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커뮤니티정원이 이용 주체, 대상지 등에 따라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에, 유형별 사례보다는 문장으로 서술하거나 1–2개 사례만을 보여주고 있어, 정원 초보자들이 참고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향후 국내 도입되어할 사례에서는 이러한 부분은 충분히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유형별 정원 사례, 면적 및 유형에 따른 도입 시설 선정, 현장 여건에 따른 식재 및 방법 등에 관한 구체적이고 대표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일반인들은 전문가처럼 전문적 도면작성이 어렵기 때문에, 국외 사례처럼 핸드드로잉이나 파워포인트 등을 이용한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음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Figure 1-a, b, c 참조). 국내 여러 사례 중 대표 유형으로 참고할 수 있는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참여자의 의욕을 고취시키고 이해를 도울 필요가 있다. 다만 많은 사례를 포함할 경우, 초기 목적과 달리 전체 분량이 많아질 수 있으므로, 기존 조경 관련 책자, 웹페이지 등의 링크 주소를 활용함이 유용할 것이다. 가능하다면, 직접 현장에 방문할 수 있도록 유형별 주변 사례에 대한 위치와 기본 정보를 제공하여, 참여 커뮤니티가 스스로 현장방문과 관계자 만남을 통해 간접적 경험을 학습하고 보다 확장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정원시공은 초보자가 진행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부분으로, 세부적인 정보가 필요하지만 전체 분량상 많은 부분을 포함하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주요한 기본 사항 식재 전 기반조성 (제초, 쓰레기 제거 등), 토양테스트, 베드 및 시설물 설치, 통행로 확보, 안내판 등에 관한 사항을 체크리스트로 작성하여 제공하고, 관련한 사례이미지를 포함하며, 추가적인 사항은 참고문헌, 관련 웹 사이트 등을 소개해줄 필요가 있다. 더불어 현실적으로 공공, 민간단체 또는 조경 및 정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성공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가능한 부분에 있어 관련 기관명, 연락처 및 사례 등을 포함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커뮤니티정원의 지속가능한 유지관리와 관련하여, 유지관리 부분은 대상지 선정과 함께 분석대상 가이드라인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이다. 연구자들의 견해로는 설계와 시공 부분에서는 구체적인 내용과 이미지 사례를 포함하여 참여자의 이해를 도울 필요가 있지만, 유지관리 부분은 기존 사례와 유사하게 주요한 문장과 키워드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왜냐하면 초기 대상지 선정, 설계와 시공을 진행하며 참여자들은 일정 부분 경험을 쌓게 되면서, 참여자 스스로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과 경험을 쌓았을 것이므로, 전체 분량을 고려할 때, 기존 분석 대상 가이드라인처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점과 관련 자료의 위치를 제공하여 스스로 지식을 확대하게 함이 효과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시설물, 자금, 수목, 병충, 행사와 이벤트와 더불어 주변 커뮤니티와의 네트워킹과 확장, 생물다양성, 범죄예방, 도시재생, 일자리창출 등으로 확장하여 다룰 수 있다. 그 외 부록에서는 앞서의 내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 문서서식, 성공사례와 도면자료 등을 참조할 수 있도록 보완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최근 커뮤니티정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현 정부의 주요한 정책사업인 도시재생과 밀접과도 연결되고 있다. 기존 노후 주거 및 상업지역의 건축물은 낡고 허름하지만 그 속에는 보이지 않는 장소성과 역사성이 내재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 도시정책에서는 이를 모두 허물고 새로운 건축물과 도시구조를 만들어 냄으로 인해 기존 주민들은 공동체적 가치와 향수를 담은 장소의 기억을 상실해 왔다. 반면, 도시재생은 그 장소의 가치를 바탕으로 공동체성을 지키고 장소의 가치를 활용하는데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도시정책에서 커뮤니티정원은 매우 경제적이고 활용가치가 높은 전략적 선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5만m2 이하의 우리 동네 살리기 사업의 경우, 도시 내 유휴공간과 골목길을 중심으로 재생하는 사업으로 커뮤니티정원을 조성하고, 가꿈으로써 공동체성을 높이며, 아름다운 가로경관을 형성하는 데 있어 매우 현실적이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대안일 것이다.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공동체가 해체되며, 점차 공동체가 함께하는 커뮤니티정원에 대한 중요성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부응하고자 국내 적합한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의 기본 콘텐츠와 구성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다만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국내에 필요한 부분은 정원조성 경험이 없는 참여자들에게 실질적이고도 구체적인 정원 설계 및 시공 방법에 대한 부분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가이드라인 사례는 문장 중심의 서술 방식을 취하고 있어 초보자들에게는 여전히 막연함을 줄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의 한계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실질적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설계와 시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다만 커뮤니티정원은 대상지와 참여 주체에 따라 그 유형이 광범위하므로, 이에 대한 대표성 있는 사례와 더불어 다양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도록 정보를 구축하고 제공함이 향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외 커뮤니티정원 가이드라인의 경향과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향후 국내 가이드라인의 기본방향을 제시해 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Notes

1. 2017년 4월 15–18일 치바대 아키타 교수 (원예학과장) 자문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치바대 김응주 박사의 도움을 받아 최종적으로 자료를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2. 이와 관련하여 자문을 요청한 전문가들은 자료 공개와 강한 저작권에 대한 인식과 관련한 문화적 차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References

1.

Alberta Health Services (2016) Community Gardens Handbook: A Guide for Community Groups in Alberta. (https://www.albertahealthservices.ca/assets/info/nutrition/if-nfs-community-gardens-handbook.pdf)

2.

Alternative Energy Resources Organization (2009) Building Community Gardens. Montana. (http://aeromt.org/PDFs/AERO_Garden_Manual. pdf)

3.

Choi, B. D. (2009) A Study on the Formation of a Vegetable Garden in an Apartment Complex.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4.

Choi, J. M. and Seo B. H. (2016) Research on developing a model for perry-urban welfare community garden for second-class citizens in the metropolis.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4 (1): 97-116.

6.

Cultivating Community (2002) The Good Practice Guide for Community Gardens. (https://communitygarden.org.au/wp-content/uploads/ 2010/06/Good_Practice_Guide_CG.pdf)

7.

Gyeonggi Agro Food Institute (2016) Citizen Gardener Manual.

8.

Hashimoto, M. (2017) Citizen fellowship to “Stop Hate Speech”: Community base of Studies of Koreans Abroad. The Korea Journal of Japanese Study 43: 105-130.

9.

Hideki, Y. (2002) Comunity Garden: Making Green Community with Citizens. Tokyo: Academic Publishers. (コミュニティガーデン:市民が進める緑のまちづくり)

10.

Hou, J., Johnson J. M. and Lawson L. J. (2009) Greening Cities, Growing Communities. Seattle: 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 in Association with University of Washington.

11.

Hue, J. N. and Kim T. K. (2012) Valua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urban agriculture using turnbull model.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20 (4): 431-455.

12.

Kim, J. Y. and Lee Y. S. (2013) A study on design direction of community garden in urban deprived area through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effects: Targeting on the community garden of Jeonju-si urban regeneration test-bed area.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12 (6): 83-98.

13.

Kim, K. H., Cho D. B. and Kim M. H. (2006) Eco-symbolic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community gardens and common spaces of eco-villages in Europ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7 (5): 117-126.

14.

Kim, M. H (2011) Study on the Community Garden Model Utilizing a Small Vacant Space in the Urban Area.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15.

Kim, S. H., Yoon S. Y., Cha. M. J., Yoo. Y. S., Cho. J. Y. and Kim Y. S. (2012) A study on experimental construction of community garden: A case study on rooftop of SAHA disabled welfare hou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 (2): 24-37.

16.

Lee, A. and Lee N. R. (2018) A case study of community garden related guideline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37: 57-58.

17.

Lee, C. H. (2012) A Comparative Study on Urban Agriculture Operating Agents: Construction and Operating System with a Focus on Community Allotment.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8.

Lee, G. H. (2016) Community garden movement and urban agriculture on North America. Seoul Garden Show Conference. pp. 6-21.

19.

Lewisham Council (2014) Love Lewisham, Love Growing your own Food, Lewisham's Guide to a Community Garden, London. (https://www.lewisham.gov.uk/inmyarea/openspaces/Documents/CommunityGardensGuide.pdf)

20.

Lim, J. E. and Sung J. S. (2016) The effect of community gardening on the formation of social connectedness among residents in new town apartment complexes: Comparison between community garden users and non-users. Urban Design 17 (3): 25-40.

2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riteria.

22.

Nam, H. G. and Kim A. H. (2017) Analysis of design guidelines for inclusive parks as an inclusive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 (2): 89-100.

23.

Park, E. J., Lee Y. S. and Ahn C. H. (2011)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arden based on social capital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1 (6): 117-125.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Making Garden on Farming Villages.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Maintenance Guideline for Private Home Garden.

2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7) Design of Vegetable Garden.

27.

Sung, C. W. and Lee J. K. (2013) A study of implications on art community garden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Case study of oversea art community garden.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23: 33-42.

28.

Tomomi, F. (2015) Community to Cultivate in Community Gardens in the Community: Creating a Place to Connect with Greenery through Community Gardens, Faculty of Cultural Studies, Waseda University Social Construction theory Region Cities Seminar. (地域の庭で育てるコミュニティ:コミュニティガーデンを通じた緑とつながりの場づくり, http://www.waseda.jp/sem-muranolt01/SR/S2015/S2015-furuta. pdf)

29.

Urban Greenery Foundation (2005) Recommendation of Community Garden: Flower and Green City Planning Guide, Tokyo: Seisonbado Shinkansha. (都市緑化基金, コミュニティガーデンのおすすめー花と緑のまちづくりガイド, 東京: 誠文堂新光社)

30.

You, H. J (2011)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Garden Model. Master Thesis, Donga University.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