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Read Articles
Most read articles are listed by the number of read for the previous three months.
A Case Study on the Preservation Strategies of ‘Historic Urban Parks’ in the UK, the USA, and Japan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2):20-33.
https://doi.org/10.9715/KILA.2020.48.2.02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891
https://doi.org/10.9715/KILA.2020.48.2.020

Design Strategies and Processes through the Concept of Resilience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44-58.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37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

Design and Management Direction of Smart Park for Smart Green City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6):1-15.
https://doi.org/10.9715/KILA.2020.48.6.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530
https://doi.org/10.9715/KILA.2020.48.6.001

Conflicts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moval of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s - A Case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4):21-35.
https://doi.org/10.9715/KILA.2018.46.4.02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427
https://doi.org/10.9715/KILA.2018.46.4.021

The Creation of Ttukseom Pleasure Ground and Its Transformation to a Park
뚝섬유원지의 생성과 공원화
뚝섬유원지의 생성과 공원화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1):127-142.
https://doi.org/10.9715/KILA.2018.46.1.12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425
https://doi.org/10.9715/KILA.2018.46.1.127

An Analysis of Cultural Hegemony and Placeness Changes in the Area of Songhyeon-dong, Seoul
서울 송현동 일대의 문화 헤게모니와 장소성 변화 분석
서울 송현동 일대의 문화 헤게모니와 장소성 변화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1):33-52.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3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422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33

Analysis of Areas Vulnerable to Urban Heat Island Using Hotspot Analysis - A Case Study in Jeonju City, Jeollabuk-do -
핫스팟 분석을 이용한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 분석 - 전주시를 대상으로 -
핫스팟 분석을 이용한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 분석 - 전주시를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5):67-79.
https://doi.org/10.9715/KILA.2020.48.5.06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93
https://doi.org/10.9715/KILA.2020.48.5.067

Reimagining “A Picturesque Landscape” - The Borrowed Scenery of the Byungsan Neo-Confucian Academy, Korea, and its Heuristic Instrumentality -
“그림 같은 풍경”의 재해석 - 병산서원 차경 설계의 수양론(修養論)적 해석 -
“그림 같은 풍경”의 재해석 - 병산서원 차경 설계의 수양론(修養論)적 해석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6):15-29.
https://doi.org/10.9715/KILA.2022.50.6.015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35
https://doi.org/10.9715/KILA.2022.50.6.015

The Design Trends of Outdoor Space in Commercial Multi-Complexes in Korea
국내 복합상업시설 외부공간의 특성과 변화 양상
국내 복합상업시설 외부공간의 특성과 변화 양상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5):89-106.
https://doi.org/10.9715/KILA.2020.48.5.08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17
https://doi.org/10.9715/KILA.2020.48.5.089

Analysis of Environmental Equity of Green Space Services in Seoul - The Case of Jung-gu, Seongdong-gu and Dongdaemun-gu -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100-116.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0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13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00

Poly Synonyms Study on Naturalness in Landscape Architecture
조경학 연구에서 자연성 개념의 다의적 체계 연구
조경학 연구에서 자연성 개념의 다의적 체계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3;51(1):29-41.
https://doi.org/10.9715/KILA.2023.51.1.02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13
https://doi.org/10.9715/KILA.2023.51.1.029
The Diversification of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the Rise of Everyday Aesthetics - Theoretical Agendas and Issues of Yuriko Saito’s Everyday Aesthetics -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3;51(2):42-53.
https://doi.org/10.9715/KILA.2023.51.2.042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06
https://doi.org/10.9715/KILA.2023.51.2.042

Case Analysis and Applicability Review of Parametric Design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조경 설계 분야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사례 분석과 활용 가능성
조경 설계 분야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사례 분석과 활용 가능성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2):1-16.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04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01

Mobility Change around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발생 전·후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 분석
COVID-19 발생 전·후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3;51(4):101-118.
https://doi.org/10.9715/KILA.2023.51.4.1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94
https://doi.org/10.9715/KILA.2023.51.4.101

Identifying Landscape Perceptions of Visitors’ to the Taean Coast National Park Using Social Media Data - Focused on Kkotji Beach, Sinduri Coastal Sand Dune, and Manlipo Beach -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의 경관인식 파악 - 꽃지해수욕장․신두리해안사구․만리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의 경관인식 파악 - 꽃지해수욕장․신두리해안사구․만리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10-21.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1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77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10

Types of Landscape Design Concepts through Analysis of Award-Winners for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을 통해 본 조경설계개념의 유형†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을 통해 본 조경설계개념의 유형†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2):102-115.
https://doi.org/10.9715/KILA.2022.50.2.102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70
https://doi.org/10.9715/KILA.2022.50.2.102

A Case Study on the UK Park and Green Space Policies for Inclusive Urban Regeneration
영국의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사례 연구
영국의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사례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5):78-90.
https://doi.org/10.9715/KILA.2019.47.5.078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69
https://doi.org/10.9715/KILA.2019.47.5.078

A Study on the Wind Ventilation Forest Planning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숲 조성 계획기법 개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숲 조성 계획기법 개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3;51(2):28-41.
https://doi.org/10.9715/KILA.2023.51.2.028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54
https://doi.org/10.9715/KILA.2023.51.2.028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Improving Effects of Green Curtain in Summer
Green Curtain 형식의 벽면녹화시스템을 통한 여름철 건물 실내 열환경 비교 분석
Green Curtain 형식의 벽면녹화시스템을 통한 여름철 건물 실내 열환경 비교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5):80-89.
https://doi.org/10.9715/KILA.2022.50.5.08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53
https://doi.org/10.9715/KILA.2022.50.5.080

A Comparative Analysis on Mountain Enjoyment Culture of Joseon Dynasty and Contemporary in Korea - Targeting the Major Famous Mountains in Gyeongsangbuk-do -
조선시대와 현대의 산 향유 양상 고찰 및 발전 방향 모색 - 경북 선비문화권 주요 명산(名山)을 대상으로 -
조선시대와 현대의 산 향유 양상 고찰 및 발전 방향 모색 - 경북 선비문화권 주요 명산(名山)을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6):64-79.
https://doi.org/10.9715/KILA.2021.49.6.064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52
https://doi.org/10.9715/KILA.2021.49.6.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