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Read Articles
Most read articles are listed by the number of read for the previous three months.

Deriv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actors for Reducing Particulate Matter - Using Text Mining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요소 도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요소 도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5):79-96.
https://doi.org/10.9715/KILA.2021.49.5.07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50
https://doi.org/10.9715/KILA.2021.49.5.079

Characteristics of High Modernism in the Path of Policy for Urban Parks and Greenbelts under the Kim Hyeon-Ok’s Mayoralty (1966-1970), Seoul
김현옥 서울시장(1966~1970년)의 공원녹지 정책 경로에서 나타난 하이 모더니즘 특성
김현옥 서울시장(1966~1970년)의 공원녹지 정책 경로에서 나타난 하이 모더니즘 특성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5):27-45.
https://doi.org/10.9715/KILA.2021.49.5.02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580
https://doi.org/10.9715/KILA.2021.49.5.027

Design Strategies and Processes through the Concept of Resilience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44-58.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525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

The Effect of Greenspace on School Commuting Routes on Pedestrian Satisfac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Creation
학교통학로 녹지가 보행자의 만족도와 조성 방향에 미치는 영향
학교통학로 녹지가 보행자의 만족도와 조성 방향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1):20-32.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2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66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20

A Study on the Place Identity of Shin-Cheorwon with the Intrinsic Everydayness-By Using Photovoice Methodology-
일상성이 내재된 신철원 장소정체성 연구 -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
일상성이 내재된 신철원 장소정체성 연구 -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1):53-67.
https://doi.org/10.9715/KILA.2021.50.1.05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40
https://doi.org/10.9715/KILA.2021.50.1.053

Design and Management Direction of Smart Park for Smart Green City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6):1-15.
https://doi.org/10.9715/KILA.2020.48.6.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34
https://doi.org/10.9715/KILA.2020.48.6.001

Conflicts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moval of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s - A Case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4):21-35.
https://doi.org/10.9715/KILA.2018.46.4.02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33
https://doi.org/10.9715/KILA.2018.46.4.021

A Study on the Management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Vegetation Structure of Geumgang Pine (Pinus densiflora ) Forest in Sogwang-ri, Uljin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 식생구조 특성에 따른 관리방안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 식생구조 특성에 따른 관리방안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1):1-19.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308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01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 (PM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 - A Buffer Green in Songpa-gu, Seoul -
도로변 완충녹지의 식재구조에 따른 초미세먼지 (PM2.5)농도 저감효과 연구 - 서울 송파구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도로변 완충녹지의 식재구조에 따른 초미세먼지 (PM2.5)농도 저감효과 연구 - 서울 송파구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4):61-75.
https://doi.org/10.9715/KILA.2018.46.4.06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52
https://doi.org/10.9715/KILA.2018.46.4.061

Case Analysis and Applicability Review of Parametric Design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조경 설계 분야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사례 분석과 활용 가능성
조경 설계 분야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사례 분석과 활용 가능성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2):1-16.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42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01

Types of Landscape Design Concepts through Analysis of Award-Winners for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을 통해 본 조경설계개념의 유형†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을 통해 본 조경설계개념의 유형†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2):102-115.
https://doi.org/10.9715/KILA.2022.50.2.102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29
https://doi.org/10.9715/KILA.2022.50.2.102

Analysis of Environmental Equity of Green Space Services in Seoul - The Case of Jung-gu, Seongdong-gu and Dongdaemun-gu -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100-116.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0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28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00

An Analysis of Cultural Hegemony and Placeness Changes in the Area of Songhyeon-dong, Seoul
서울 송현동 일대의 문화 헤게모니와 장소성 변화 분석
서울 송현동 일대의 문화 헤게모니와 장소성 변화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1):33-52.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3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25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33
A Comparative Study on Willingness to Manage Urban Parks by Age - Focusing on the Case of Incheon City Park -
연령별 시민참여형 도시공원 관리의지 비교 연구 -인천광역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연령별 시민참여형 도시공원 관리의지 비교 연구 -인천광역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6):16-26.
https://doi.org/10.9715/KILA.2021.49.6.016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23
https://doi.org/10.9715/KILA.2021.49.6.016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Ornamental Grasses in South Korea
국내 유통 관상용 그라스의 현황 및 특징 분석
국내 유통 관상용 그라스의 현황 및 특징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5):151-162.
https://doi.org/10.9715/KILA.2021.49.5.15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10
https://doi.org/10.9715/KILA.2021.49.5.151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for the Density Management of Overcrowded Planting Sites and the Planting Design of New Planting Sites -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s in the Dongtan New Town, Hwaseong -
과밀식재지 밀도관리 및 신규식재지 배식설계 모델 개발 연구 - 화성시 동탄신도시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과밀식재지 밀도관리 및 신규식재지 배식설계 모델 개발 연구 - 화성시 동탄신도시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82-92.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82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03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82

Carbon Reduction and Enhancement for Greenspace in Institutional Lands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과 증진방안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과 증진방안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4):1-7.
https://doi.org/10.9715/KILA.2020.48.4.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201
https://doi.org/10.9715/KILA.2020.48.4.001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Modification Effects of Street Trees Depending on Planting Types and Street Directions in Summertime Using ENVI-Met Simulation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로 방향별 가로수 식재 형태에 따른 여름철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로 방향별 가로수 식재 형태에 따른 여름철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2):1-22.
https://doi.org/10.9715/KILA.2022.50.2.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97
https://doi.org/10.9715/KILA.2022.50.2.001

Case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National Urban Park
사례로 본 한국 국가도시공원 조성 연구
사례로 본 한국 국가도시공원 조성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2):116-126.
https://doi.org/10.9715/KILA.2022.50.2.116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94
https://doi.org/10.9715/KILA.2022.50.2.116

Analysis of Urban Park Nightscape based on the Design-Construction Process and Current Status - Focused on Yeouido Park -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조성 과정과 실태 분석 - 여의도공원을 중심으로 -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조성 과정과 실태 분석 - 여의도공원을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2):14-26.
https://doi.org/10.9715/KILA.2018.46.2.014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85
https://doi.org/10.9715/KILA.2018.46.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