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Read Articles
Most read articles are listed by the number of read for the previous three months.
Trends and Issues of Garden City Municipal Projects in Korea
국내 정원도시 프로젝트 추진 동향과 쟁점
국내 정원도시 프로젝트 추진 동향과 쟁점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4;52(5):96-112.
https://doi.org/10.9715/KILA.2024.52.5.096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967
https://doi.org/10.9715/KILA.2024.52.5.096

Case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National Urban Park
사례로 본 한국 국가도시공원 조성 연구
사례로 본 한국 국가도시공원 조성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2):116-126.
https://doi.org/10.9715/KILA.2022.50.2.116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690
https://doi.org/10.9715/KILA.2022.50.2.116

The Design Trends of Outdoor Space in Commercial Multi-Complexes in Korea
국내 복합상업시설 외부공간의 특성과 변화 양상
국내 복합상업시설 외부공간의 특성과 변화 양상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5):89-106.
https://doi.org/10.9715/KILA.2020.48.5.08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416
https://doi.org/10.9715/KILA.2020.48.5.089
A Study on Status of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with National Statistics
국가통계자료를 활용한 조경산업 현황 연구
국가통계자료를 활용한 조경산업 현황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5):40-53.
https://doi.org/10.9715/KILA.2022.50.5.04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299
https://doi.org/10.9715/KILA.2022.50.5.040

Design and Management Direction of Smart Park for Smart Green City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6):1-15.
https://doi.org/10.9715/KILA.2020.48.6.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277
https://doi.org/10.9715/KILA.2020.48.6.001

Interpreting the Evolving Idea of the ‘Garden’ in Singapore’s Urban Environmental Policy
싱가포르의 친환경 도시 정책에서 정원 개념의 변화
싱가포르의 친환경 도시 정책에서 정원 개념의 변화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4;52(4):86-103.
https://doi.org/10.9715/KILA.2024.52.4.086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59
https://doi.org/10.9715/KILA.2024.52.4.086

Case Analysis and Applicability Review of Parametric Design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조경 설계 분야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사례 분석과 활용 가능성
조경 설계 분야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사례 분석과 활용 가능성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2):1-16.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16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01
A Case Study on the Preservation Strategies of ‘Historic Urban Parks’ in the UK, the USA, and Japan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2):20-33.
https://doi.org/10.9715/KILA.2020.48.2.02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113
https://doi.org/10.9715/KILA.2020.48.2.020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Pet Plant Kit Industry - Catering to the Demands of Industry Professionals -
반려식물 키트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산업 종사자의 수요를 중심으로 -
반려식물 키트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산업 종사자의 수요를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4;52(3):46-58.
https://doi.org/10.9715/KILA.2024.52.3.046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059
https://doi.org/10.9715/KILA.2024.52.3.046

Designing and Creating a Model Garden to Demonstrate Carbon Reduction - Case Study of Carbon Reduction Model Garden at 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
탄소저감 현장 실증을 위한 모델정원 설계와 조성 - 국립세종수목원 탄소저감 모델 정원을 사례로 -
탄소저감 현장 실증을 위한 모델정원 설계와 조성 - 국립세종수목원 탄소저감 모델 정원을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3;51(6):75-87.
https://doi.org/10.9715/KILA.2023.51.6.075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055
https://doi.org/10.9715/KILA.2023.51.6.075

Design Strategies and Processes through the Concept of Resilience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44-58.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86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

Analyzing the Socio-Ecological System of Bees to Suggest Strategies for Green Space Planning to Promote Urban Beekeeping
꿀벌의 사회생태시스템 분석을 통한 도시 양봉 활성화 녹지 계획 전략 제시
꿀벌의 사회생태시스템 분석을 통한 도시 양봉 활성화 녹지 계획 전략 제시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4;52(1):46-58.
https://doi.org/10.9715/KILA.2024.52.1.046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50
https://doi.org/10.9715/KILA.2024.52.1.046

An Analysis of Cultural Hegemony and Placeness Changes in the Area of Songhyeon-dong, Seoul
서울 송현동 일대의 문화 헤게모니와 장소성 변화 분석
서울 송현동 일대의 문화 헤게모니와 장소성 변화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1):33-52.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3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38
https://doi.org/10.9715/KILA.2022.50.1.033

Analysis of Environmental Equity of Green Space Services in Seoul - The Case of Jung-gu, Seongdong-gu and Dongdaemun-gu -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100-116.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00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880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00

Le Corbusier’s Influence on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5):12-26.
https://doi.org/10.9715/KILA.2021.49.5.012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821
https://doi.org/10.9715/KILA.2021.49.5.012

Explo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rom the Landscape Industry Perspective
조경산업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탐색
조경산업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탐색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59-75.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5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83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59

Scenario-Based Analysis on the Effects of Green Areas on the Improvement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녹지 조성 시나리오에 따른 도시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녹지 조성 시나리오에 따른 도시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6):1-14.
https://doi.org/10.9715/KILA.2022.50.6.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71
https://doi.org/10.9715/KILA.2022.50.6.001

A Study on Changes in Habitat Enviroment of Wild Birds in Urban River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A Case Study of Tancheo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야생조류 서식환경 변화 연구 - 탄천 생태․경관보전지역를 사례로 -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야생조류 서식환경 변화 연구 - 탄천 생태․경관보전지역를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4;52(2):79-95.
https://doi.org/10.9715/KILA.2024.52.2.07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64
https://doi.org/10.9715/KILA.2024.52.2.079

A Study of the Overseas-Constructed Korean Garden using Native Pl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 The Case Study of ‘Das Dritte Land (The Third Nature)’ -
한반도 자생식물로 조성한 해외 한국정원 연구 -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
한반도 자생식물로 조성한 해외 한국정원 연구 -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4):1-14.
https://doi.org/10.9715/KILA.2021.49.4.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59
https://doi.org/10.9715/KILA.2021.49.4.001

The Creation of Ttukseom Pleasure Ground and Its Transformation to a Park
뚝섬유원지의 생성과 공원화
뚝섬유원지의 생성과 공원화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1):127-142.
https://doi.org/10.9715/KILA.2018.46.1.12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35
https://doi.org/10.9715/KILA.2018.46.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