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Cited Articles

A Study on Decreasing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 (PM2.5) by Structures in a Roadside Buffer Green - A Buffer Green in Songpa-gu, Seoul -
도로변 완충녹지의 식재구조에 따른 초미세먼지 (PM2.5)농도 저감효과 연구 - 서울 송파구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도로변 완충녹지의 식재구조에 따른 초미세먼지 (PM2.5)농도 저감효과 연구 - 서울 송파구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4):61-75.
https://doi.org/10.9715/KILA.2018.46.4.061
HTML
PDF
PubReader
Cited by 12
https://doi.org/10.9715/KILA.2018.46.4.061
Particulate Matter Removal of Indoor Plants, Dieffenbachia amoena ‘Marianne’ and Spathiphyllum spp. according to Light Intensity
광량에 따른 실내식물 디펜바키아와 스파티필럼의 미세먼지 제거능
광량에 따른 실내식물 디펜바키아와 스파티필럼의 미세먼지 제거능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2):62-68.
https://doi.org/10.9715/KILA.2018.46.2.062
HTML
PDF
PubReader
Cited by 11
https://doi.org/10.9715/KILA.2018.46.2.062

Carbon Reduction and Enhancement for Greenspace in Institutional Lands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과 증진방안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과 증진방안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4):1-7.
https://doi.org/10.9715/KILA.2020.48.4.001
HTML
PDF
PubReader
Cited by 11
https://doi.org/10.9715/KILA.2020.48.4.001

Case Analysis and Applicability Review of Parametric Design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조경 설계 분야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사례 분석과 활용 가능성
조경 설계 분야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사례 분석과 활용 가능성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2):1-16.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01
HTML
PDF
PubReader
Cited by 11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01

Perception and Appraisal of Urban Park Users Using Text Mining of Google Maps Review - Cases of Seoul Forest, Boramae Park, Olympic Park -
구글맵리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공원 이용자의 인식 및 평가 - 서울숲, 보라매공원,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
구글맵리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공원 이용자의 인식 및 평가 - 서울숲, 보라매공원,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4):15-29.
https://doi.org/10.9715/KILA.2021.49.4.015
HTML
PDF
PubReader
Cited by 10
https://doi.org/10.9715/KILA.2021.49.4.015

Identifying Landscape Perceptions of Visitors’ to the Taean Coast National Park Using Social Media Data - Focused on Kkotji Beach, Sinduri Coastal Sand Dune, and Manlipo Beach -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의 경관인식 파악 - 꽃지해수욕장․신두리해안사구․만리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의 경관인식 파악 - 꽃지해수욕장․신두리해안사구․만리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10-21.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10
HTML
PDF
PubReader
Cited by 9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10

A Study on the Concept and User Perception of Smart Park - Focused on the IoT See Park Users in Daegu City -
스마트공원 개념 정립 및 공원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대구 IoT See 시범사업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
스마트공원 개념 정립 및 공원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대구 IoT See 시범사업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5):41-48.
https://doi.org/10.9715/KILA.2019.47.5.041
HTML
PDF
PubReader
Cited by 9
https://doi.org/10.9715/KILA.2019.47.5.04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r Matter Reduction and Space Shielding Rate in Urban Neighborhood Park
도시근린공원 미세먼지(PM)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 -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도시근린공원 미세먼지(PM)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 -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6):67-77.
https://doi.org/10.9715/KILA.2019.47.6.067
HTML
PDF
PubReader
Cited by 9
https://doi.org/10.9715/KILA.2019.47.6.067

Time Series Analysis of Park Use Behavior Utilizing Big Data - Targeting Olympic Park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원 이용행태의 시계열분석 -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원 이용행태의 시계열분석 -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2):27-36.
https://doi.org/10.9715/KILA.2018.46.2.027
HTML
PDF
PubReader
Cited by 8
https://doi.org/10.9715/KILA.2018.46.2.027

Design and Management Direction of Smart Park for Smart Green City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6):1-15.
https://doi.org/10.9715/KILA.2020.48.6.001
HTML
PDF
PubReader
Cited by 8
https://doi.org/10.9715/KILA.2020.48.6.001

Analysis of Areas Vulnerable to Urban Heat Island Using Hotspot Analysis - A Case Study in Jeonju City, Jeollabuk-do -
핫스팟 분석을 이용한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 분석 - 전주시를 대상으로 -
핫스팟 분석을 이용한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 분석 - 전주시를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5):67-79.
https://doi.org/10.9715/KILA.2020.48.5.067
HTML
PDF
PubReader
Cited by 7
https://doi.org/10.9715/KILA.2020.48.5.067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Modification Effects of Street Trees Depending on Planting Types and Street Directions in Summertime Using ENVI-Met Simulation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로 방향별 가로수 식재 형태에 따른 여름철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로 방향별 가로수 식재 형태에 따른 여름철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2;50(2):1-22.
https://doi.org/10.9715/KILA.2022.50.2.001
HTML
PDF
PubReader
Cited by 7
https://doi.org/10.9715/KILA.2022.50.2.001

A Study on the Inducement Distance of Senior-Friendly Park and Evaluation of Green Service Area - Focused on the Pedestrian Aspect -
보행적 측면에서 노인친화형 공원의 유치거리 도출 및 녹지서비스 지역 평가 - 보행자 측면 중심으로 -
보행적 측면에서 노인친화형 공원의 유치거리 도출 및 녹지서비스 지역 평가 - 보행자 측면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1):1-9.
https://doi.org/10.9715/KILA.2019.47.1.001
HTML
PDF
PubReader
Cited by 6
https://doi.org/10.9715/KILA.2019.47.1.001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by Park Types Displayed in 3rd Generation SNS
제3세대 SNS에 표출된 공원 유형별 이용 특성 분석
제3세대 SNS에 표출된 공원 유형별 이용 특성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49-58.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49
HTML
PDF
PubReader
Cited by 6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49

Explo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rom the Landscape Industry Perspective
조경산업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탐색
조경산업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탐색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59-75.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59
HTML
PDF
PubReader
Cited by 6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59

Carbon Reduction by and Quantitative Models for Landscape Tree Species in Southern Region: - For Camellia japonica, Lagerstroemia indica , and Quercus myrsinaefolia -
남부지방 조경수종의 탄소저감과 계량모델: - 동백나무, 배롱나무 및 가시나무를 대상으로 -
남부지방 조경수종의 탄소저감과 계량모델: - 동백나무, 배롱나무 및 가시나무를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3):31-38.
https://doi.org/10.9715/KILA.2019.47.3.031
HTML
PDF
PubReader
Cited by 6
https://doi.org/10.9715/KILA.2019.47.3.031
A Case Study on the Preservation Strategies of ‘Historic Urban Parks’ in the UK, the USA, and Japan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2):20-33.
https://doi.org/10.9715/KILA.2020.48.2.020
HTML
PDF
PubReader
Cited by 6
https://doi.org/10.9715/KILA.2020.48.2.020

Analysis of Budget Trends related to Creation of Urban Park in Seoul - Focusing on Budgetary Document -
서울시 도시공원조성예산 변동 추세 - 예산서를 중심으로 -
서울시 도시공원조성예산 변동 추세 - 예산서를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0;48(3):1-11.
https://doi.org/10.9715/KILA.2020.48.3.001
HTML
PDF
PubReader
Cited by 6
https://doi.org/10.9715/KILA.2020.48.3.001

Evaluation of Perceived Naturalness of Urban Parks Using Hemeroby Index
헤메로비 등급(Hemeroby Index)을 활용한 도시공원의 인지된 자연성 평가
헤메로비 등급(Hemeroby Index)을 활용한 도시공원의 인지된 자연성 평가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1;49(2):89-100.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89
HTML
PDF
PubReader
Cited by 6
https://doi.org/10.9715/KILA.2021.49.2.089

Design Strategies and Processes through the Concept of Resilience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44-58.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
HTML
PDF
PubReader
Cited by 5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