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미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 동향과 특성 연구

이명준*, 김정화**, 서영애***
Myeong-Jun Lee*, Jung-Hwa Kim**, Young-Ai Seo***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기술사사무소 이수 연구소장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강사
***기술사사무소 이수 소장
*Director of Urban Curation Lab., ESOO Landscape Architects
**Lecturer,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Director, ESOO Landscape Architects
Jung-Hwa Kim, Lecturer,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92, Korea, Tel.: +82-2-6490-2835, E-mail: junghwa101010@gmail.com

이 논문은 연구자들이 한국조경학회의 2018년 추계 학술발표대회에서 「조경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후 수정 보완한 것임.

© Copyright 2018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Sep 10, 2019; Revised: Oct 28, 2019; Accepted: Oct 28, 2019

Published Online: Dec 31, 2019

국문초록

이 연구는 미국 조경 아카이브의 구축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둔다. 미국의 공공․대학․연구기관에서 운영하는 조경 아카이브 일곱 곳을 대상으로 아카이브 형성 배경, 기능, 범위와 대상, 수집 방법, 분류 체계, 활용 방법을 검토한 결과, 미국 조경 아카이브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경관의 가치와 중요성 인식이 아카이브 형성 배경에 주요하게 작용한다. 둘째, 아카이브의 목적은 경관의 다양성과 의미에 대한 대중의 인식 고취와 교육에 있다. 셋째, 아카이브의 대상과 범위는 각 운영기관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다. 넷째, 수집 방법으로는 자료 기증이 주를 이루며, 이외에 자료 구매와 기록화 작업 등이 있다. 다섯째, 아카이브의 분류 기준은 사람, 작품 혹은 장소, 자료 유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아카이브 대상과 범위에 따라 차별화된 경향을 보인다. 여섯째, 미국의 조경 아카이브는 다양한 전문가와 조직의 참여와 협업, 그리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재정이라는 밑바탕 위에서 구축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조경 아카이브 구축에 대해 세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경 아카이브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과 차별화된 주제 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적합한 자료 수집, 분류, 기록, 디지털화 방법과 체계를 모색해야 하며, 이를 위해 기초 연구와 시범 아카이브 구축 등이 필요하다. 셋째, 학술과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한 아카이브 활용 방안을 개발하고, 재정 확보와 관련 제도 마련을 통해 아카이브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조경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when constructing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in the United Stat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creating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Focusing on seven American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operated by public institut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mission, scope, subject, acquisition, arrange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in the archiv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erican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landscape plays a major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second, the purpose of the archives is to educate and encourage people to find diversity or significance of landscapes; third, the subject and scope of the archives var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operating institution; fourth, the main acquisitional method is to receive a donation and to purchase materials or documents; fifth,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each archive differs depending on the subject and scope; and sixth, the archives were built on the basis of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with various experts and organizations with stable and sustainable financial resources. These characteristics offer three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in Korea. First, a long-term vision for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and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iated themes are required. Second, appropriate methods of material collection and systems of classification, recording, and digitization are necessary and therefore research and pilot archives are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ustainabilsity of archives by developing ways to utilize the archives in connection with academic and educational programs, thereby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and allowing for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policies. As basic research,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in Korea.

Keywords: 공원 아카이브; 조경사; 조경가; 기록화; 디지털화
Keywords: Park Archives;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s; Documentation; Digitalizing

I. 서론

조경은 대상지의 생태적 정보와 더불어 그곳에 누적되어 온 다양한 문화와 기억을 바탕으로 하여 바람직한 이용을 제안하는 분야이다. 특히, 근래에 도시 재생이 건조 경관 설계 분야의 주요 가치와 대상으로 대두되면서 대상지의 여러 기억을 복원하거나, 이를 이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조경의 주요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예컨대 지난해 효창공원을 독립운동기념공원으로 재조성하려는 논의가 시작되었고, 광화문 광장의 재조성을 위한 현상공모가 개최되었다. 이보다 앞서 2016년에는 한국은행 앞 분수 광장의 리뉴얼 아이디어 공모전이 열리기도 했다.

문제는 근대에 조성된 조경 공간부터 만들어진 지 채 십 년도 안 된 공간에 이르기까지 재조성 논의가 있을 때마다 그 변화에 대한 기록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사업 주체나 연구자, 일반 시민이 접근해서 조경 공간에 대한 기록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아카이브는 현재 없다.

‘아카이브(archive)’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장소, 기관, 혹은 집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사적 자료와 기록물의 컬렉션(collection)”이며, 그러한 “자료와 기록의 소장처”까지 지칭한다(English Oxford Living Dictionaries). 아카이브는 관련 기록물을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보관하는 일차적 역할뿐만 아니라, 기록물에 관한 연구, 일반 대중이 아카이브에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임무를 지니고 있다.

도서관, 미술관, 박물관 등은 기관의 목적 자체가 자료를 수집하고 보관하는 일종의 아카이브이며, 축적한 많은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면서 대중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아카이브를 계속해서 진화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록물의 수집과 보관이 주요 목적이 아닌 기관에서도 보유 자료의 관리와 보존, 기관 홍보를 위해 흥미로운 주제와 분류 체계를 만들어 자체 아카이브를 만들고 있다. 다시 말해, 기관이 있으면 아카이브도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아카이브가 생겨나고 있다. 유럽의 조경 및 건축계와 이 연구에서 살펴볼 미국에서는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조경 공간과 관련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정리 및 보관하는 아카이브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오늘날 조경 분야에서도 장소 특정적인 아카이브에서 확장된 조경가와 조경작품 등을 포괄하는 아카이브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한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로 우선 미국 조경 아카이브의 사례를 탐색한다. 연구의 목적은 미국 조경 아카이브의 체계와 방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궁극적으로는 조경 관련 기록물을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관리하여 대중에게 조경의 가치와 역할을 알리면서, 하나의 전문 분야로서 조경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고찰

1. 연구사

조경 아카이브를 직접적인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많지 않다. 다만, 아카이빙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한 공식 학술 출판물이 몇 건 발견될 뿐이다.1) 아카이브 실무의 역사에 초점을 맞춰보자면, 해외의 경우 조경 및 관련 아카이브가 활발히 구축되어 왔다. 우선, 이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는 미국은 조경(landscape architecture)이라는 전문 분야가 발전한 나라인 만큼 조경가와 조경 디자인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여 조경 아카이브를 구축해오고 있다.2)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는 문화유산으로서 정원 경관을 중심으로 한 아카이브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그러한 대상을 디자인하는 조경가에 초점을 맞춘 전문 아카이브는 찾기 어렵다.3) 자료를 구축하기 시작한 시기는 아카이브마다 차이가 있으나, 기록물의 체계적 관리와 대중과의 소통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기는 대체로 자료의 디지털화가 가능해진 2000년대를 전후해서이다.

국내의 경우, 조경 아카이브 관련 실무와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조경 아카이브의 학술 연구는 Choi(2014)의 ‘공원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정리체계 연구’가 유일하다. 그는 공원 조성의 초기부터 조성 이외의 이용과 관리를 아우르는 전반적인 과정에서 생산되는 모든 기록물의 정리체계를 제안했다.4) 반면, 건축 분야는 2000년 이후 전문적인 아카이브를 구축해오고 있다. 건축도시공간연구소의 연구를 시작으로(Yu et al., 2009) 건축 아카이브의 필요성과 기본 방향 등의 담론이 생산되었으며, 이와 함께 여러 전문 아카이브가 실제로 구축되었다.5) 현재 한국 건축 아카이브는 당위성과 공감대 형성의 단계를 넘어 지속가능성을 논하는 단계에 이르렀다.6)

최근 들어 국내 조경계에서 특정 장소를 중심으로 한 아카이브 구축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문화비축기지의 역사와 조성과정에 대한 아카이브가 구축되었고(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8), 월드컵공원과 용산공원도 아카이브 구축을 시작했다.7) 서울시에서 해마다 진행하는 ‘공원학개론’의 2019년 주제는 공원 아카이브로, 10월과 11월 4회에 걸쳐 전문가와 시민을 대상으로 한 공원 아카이브 포럼이 개최되었다(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또한, 최근 한국조경학회 산하에 도시조경아카이브연구회가 발족되어 조경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

2. 연구 대상과 방법

이 연구는 미국의 조경 아카이브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말 조경은 영어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landscape architecture)의 번역어로, 랜드스케이프 아키텍처라는 말이 하나의 전문분야로 지칭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중후반 미국에서이다(Waldheim, 2014: 187-191; Disponzio, 2014: 192-200). 1970년대 하나의 전문 분야로 태동한 한국 조경은 학제, 실무, 이론적인 측면에서 미국 조경의 영향을 받아왔다(Woo, 2017). 둘째, 앞 절에서 언급했듯이 미국의 조경 아카이브는 도시 공원과 정원이라는 대상뿐 아니라, 그러한 경관을 설계하는 조경가와 디자인 관련 자료를 꾸준히 축적해 왔다. 다시 말해, 미국은 전문 ‘조경’ 아카이브가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미국의 조경 아카이브는 아카이브의 기본 목적이자 기능인 기록, 수집, 연구, 대중과 소통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차 우리나라의 조경 아카이브 구축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주요 조경 관련 아카이브 일곱 군데를 선정하여 이를 공공․대학․연구기관 등 운영 주체별로 분류하였다. 둘째, 해당 아카이브 웹사이트와 관련 기관의 웹사이트에 축적된 기록물을 검토하였다. 개별 아카이브의 구체적인 내용을 기관, 배경, 설립연도, 목적, 범위와 자료, 자료 출처, 정리 체계, 활용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8) 셋째, 분석 내용을 토대로 미국 조경 아카이브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통해서 얻게 된 우리나라 조경 아카이브 구축의 기본 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했다.

Ⅲ. 결과 및 고찰

1. 미국 조경 아카이브 분석
1) 공공기관의 조경 아카이브
(1) 미국립공원관리청 경관아카이브, HALS

국립공원관리청 경관아카이브(Historic American Landscape Survey; HALS)는 국립공원관리청이 추진하는 문화재 문서화 프로그램(Heritage Documentation Program; HDP) 세 가지 중 하나로, 역사적 경관 보존 계획과 사업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 전역의 역사적 경관과 지역을 문서화하는 프로젝트이자 아카이브이다. 이것은 단일 건물과 지구에서 역사적 경관과 그 지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된 역사 보존 개념에 뿌리를 둔다. 2000년 미국국가공원관리청(National Park Service; NPS)이 미국조경가협회와 함께 HALS 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이듬해 미국조경가협회, 미국국가공원관리청, 미국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은 이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으며, 2010년에 세 기관은 이 프로그램을 영구적인 연방 프로그램으로 만들었다.

국립공원관리청 경관아카이브가 대상으로 여기는 역사적 경관은 변화와 훼손 위험에 놓인 중요 경관 자산이며, 구체적으로는 작은 정원, 도시 공원과 광장, 묘지, 농업 단지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2019년 현재 국립공원관리청 경관아카이브에는 40가지 이상의 역사적 풍경을 대상으로 천여 개의 항목이 축적되어 있으며, 자료 유형은 대형 사진, 도면, 보고서 등이다.

아카이브는 일차적으로 대상물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구분되어 있으며, 미국의회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에 자료가 공개되어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국립공원관리청 경관아카이브는 협업 체계 속에서 구축되었다. 계획과 운영, 표준화, 기록 지침 개발, 출판 등은 국립공원관리청 경관아카이브가 담당하고 있고, 미국조경가협회는 전문적인 지침과 기술적 조언을 제공하며, 미국의회도서관은 국립공원관리청 경관아카이브 문서를 보존하고 일반에 공개하는 역할을 한다.

(2) 미국의회도서관,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 문서

미국의회도서관은 다양한 분야의 자료를 소장하고 공개하고 있는 국립 기관으로, 이곳에 소장된 대표 조경 컬렉션은 조경가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의 아카이브인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 문서(Frederick Law Olmsted Papers) 이다.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 문서 구축은 1947년과 1968년 옴스테드의 가족으로부터 자료를 기증받으면서 출발하였다. 이후 옴스테드 전기 작가인 로라 우드 로퍼(Laura Wood Roper)로부터 3,000점에 이르는 자료를 추가로 기증받고, 미국의회도서관의 Miscellaneous Manuscripts Collection으로부터 자료를 구매하거나 이관 받으면서 1996년 기본 틀을 갖추게 되었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2022년 옴스테드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시작된 것으로, 2018년 온라인에 공개되어 현재에 이른다. 1777년부터 1952년에 이르는 시기의 자료는 옴스테드의 직업과 개인 생활을 포괄하며, 그 유형은 도면, 사진, 가족 일지, 서신, 전기, 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4만 7천 장 이상의 이미지를 포함해 총 2만 4천여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계와 구조는 자료가 작성된 시대와 유형에 따라 여덟 가지로 분류되어 있으며, 체계별 해당 자료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인물, 조직, 주제, 장소에 따라 자료 찾기를 돕기 위한 검색 도구로 전자파일을 제공하고 있다.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 문서는 디지털 자료로 온라인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연도별, 유형별 자료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설계되어 있다. 또한 미국의회도서관은 옴스테드 아카이브 자료를 학술 연구자, 교육자가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교육자를 대상으로 지도, 연대기표, 학습 자료 등에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마련해 놓았다.

2) 대학기관의 조경 아카이브
(1) 버클리대학교 환경디자인아카이브(EDA)

버클리대학교 환경디자인아카이브(Environmental Design Archives; EDA)는 북부 캘리포니아일대의 건축, 조경, 디자인 유산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 교육과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버클리대학교의 아카이브이다. 그 시작은 건축사학자 헨리 러셀 히치콕(Henry Russell Hitchcock)의 조언에 따라 1953년 학과장 윌리엄 러스터(William W. Wurster)의 아카이브(Architectural Archives) 설립이었다. 이후 1973년 조경학과 컬렉션이 추가되었고, 1999년에는 공식 아카이브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환경디자인아카이브로 발전하였다. 설립 당시 건축가 버나드 메이벡(Bernard Maybeck)의 개인 문서와 프로젝트 기록의 기증으로 출발한 아카이브는 교수진에 의해 운영되어 왔으며, 보조금, 요금, 기부금 등으로부터 운영 예산을 확보하고 있다.

아카이브는 현재 200개 이상의 개인과 회사 컬렉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는 1890년부터 2014년 사이에 생산된 서신, 보고서, 도면, 사진, 오디오 테이프, 모델, 가구, 유물 등으로, 주로 캘리포니아 건축 스타일에 관한 것이지만, 조경 자료도 포함하고 있다. 조경 컬렉션은 1950년대 베아트릭스 페란드(Beatrix Jones Farrand)의 Reef Point Library 자료 기증에서 시작해 가렛 에크보(Garrett Eckbo)와 같은 현대 캘리포니아 조경가와 차세대 인물들의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이외에도 영국 조경가 거트루드 제킬(Gertrude Jekyll)과 미국조경가협회, 캘리포니아조경가협회(California Associ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와 같은 조직의 자료도 소장하고 있다.

아카이브 체계는 기본적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축가, 조경가, 계획가, 디자이너 등의 개인 혹은 회사명으로 구분되어 있다. 아카이브 자료 검색 시 개별 디자이너와 회사명 목록이나, 고객명, 프로젝트 명칭, 위치, 날짜, 유형 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프로젝트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아카이브 자료는 학교 구성원 이외 일반인에게도 공개되며, 사전 약속을 통해 이용 가능하다. 그 외에 아카이브는 세 가지 독특한 컬렉션을 공개 운영하고 있는데, 각각 Online Exhibitions.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Virtual Collections, 캘리포니아 북부 해변 디자인 프로젝트 컬렉션인 Journey to the Sea Ranch이다.

아카이브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두 명의 큐레이터와 세 명의 아키비스트로 이루어진 아카이브 팀은 학생들에게 보유 자료 내용과 정책, 서비스를 소개하고, 교수의 연구와 교육을 지원한다. 아카이브는 또한 기록 보존과 기록 연구 수행에 관한 워크샵을 제공한다.

(2)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건축아카이브(AA)

1978년에 설립된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디자인대학원의 건축아카이브(Architectural Archives; AA)는 펜실베이니아 주정부(Commonwealth of Pennsylvania)가 구입한 루이스 칸(Louis I. Kahn) 자료를 펜실베이니아 역사와 박물관 위원회(Pennsylvania Historical and Museum Commission)를 통해 영구 대출 형식으로 학교에 비치하면서 시작되었다.

17세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디자이너 400명 이상의 작품과 자료, 그리고 학과의 관련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이 중 조경가로 분류된 컬렉션은 로렌스 핼프린(Lawrence Halprin), 이안 맥하그(Ian McHarg), 로리 올린(Laurie Olin) 등 열 두 가지이다. 대표적으로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조경학과 창립자인 이안 맥하그 컬렉션의 경우 강의, 출판물, 프로젝트 관련 자료와 서신, 글, 인터뷰, 슬라이드, 시각 자료, 도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카이브는 크게 디자이너 컬렉션과 디지털 자료로 구분된다. 디자이너 컬렉션은 이름으로 구분되어 있다. 디지털 자료는 버클리대학교의 환경디자인아카이브와 함께 추진한 프로젝트 Journey to the Sea Ranch를 비롯해 필라델피아 건축 자료(Philadelphia Architects and Buildings)와 The Halprin Workshops, 1966-1971, Vermont Marble Company Sample Collection 등 네 가지이다.

사전 예약을 통해 접근 가능한 아카이브는 큐레이터, 아키비스트, 디지털 아키비스트 각 1명으로 이루어진 조직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아카이브는 기본적으로 구성원의 연구 활동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2019년 6월 21일에 개최된 이안 맥하의 초기 경력을 주제로 한 전시 ‘Ian McHarg: The House We Live In’와 학술 행사 ‘Design With Nature Now’와 같이 수많은 출판물과 전시회(Figure 1 참조), 특강의 토대가 되고 있다.

3) 연구기관의 조경 아카이브
(1) 덤바턴 오크스 아카이브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비잔틴, 정원과 조경, 콜럼비아 등 세 가지 분야의 연구기관 덤바턴 오크스(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는 설립자가 소장품과 자산을 기증한 1940년 이래 학술연구를 지원하는 다양한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다. 이 중 정원과 조경 관련 아카이브는 일곱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Table 1 참조). 기본적으로 아카이브는 창립자의 개인 소장품에서 출발하였으나, 가장 눈에 띄는 Dumbarton Oaks Garden Archives의 경우, 이 연구소 정원을 계획한 조경가 베아트릭스 페란드가 1950년 연구소 창립자에게 보낸 서신에서 연구소 정원의 자료 보관과 목록화, 전문 인력 고용을 권하며, 이 작업이 조경학 교육에 유용할 것이라고 밝힌 것에서 비롯하였다. 이후 2008년 자료의 디지털화와 원예 경력을 지닌 사서 고용이 결정되며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그 외에 개인 혹은 기관의 자료 기증, 소장 자료의 부식과 같은 원본 훼손 문제 발생, 연구소의 특정 프로젝트 등, 각 아카이브는 다양한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Table 1. Garden and landscape archives at the Dumbarton Oaks
Title Establishment Scope and materials Arrangement Access
Digitized Garden and Landscape Rare Books - Diverse drawings, plans, manuscripts - Partially online access
Dumbarton Oaks Garden Archives 2008-current Over 6,000 individual pieces of correspondence, drawings, and photographs 6 types of items Publicly available, online access
David Robbins Coffin Papers, 1918−2003 2009-2010 The American historian of Renaissance gardens and landscape architecture David R. Coffin’s personal papers and materials Inventory Partially available
British Gardens Aerial Photographs Study Collection - Aerial photographs of historic estates and gardens in the United Kingdom Inventory Appointment required
Dumbarton Oaks Gardens Film, ca. 1920s-1940s 2001-2012 Film on the Dumbarton Oaks Gardens - Available on the web page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Collection 2001-2009 13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ers(Diana Balmori, Ian H. Finlay, Richard Haag, Hiroki Hasegawa, Ron Herman, Patricia Johanson, Lorna Jordan, Bernard Lassus, Toru Mitani, Yoshio Nakamura) and their most significant projects(sketches, drawings, plans, images etc.) Thirteen series for each designer Appointment required
Seed Catalogues - Seed catalogues of European and American examples - Digitized access
Download Excel Table

자료의 유형과 범위는 각 아카이브마다 상이하다. 예컨대 Seed Catalogues가 18세기에서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에서 생산된 씨앗 카달로그를 축적하고 있다면,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Collection은 오늘날 활동 중인 전 세계 조경가들 열세 명의 개인과 프로젝트 관련 자료를 모았다. 또한 영국의 정원 자료나 근현대 미국의 정원사학자의 자료를 다룬 아카이브도 있다. Dumbarton Oaks Garden Archives의 경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데, 연구소 정원과 관련한 서신, 도면, 사진, 전기, 지도, 스케치, 현대 미술 설치품 등의 6천 여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체계와 구조 역시 아카이브 종류마다 다르다.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Collection은 인물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다시 유형에 따라 나뉜다. Dumbarton Oaks Garden Archives는 보다 구체적인 체계를 보여주는데, 서신, 도면과 사진, 전기, 지도와 조사자료, 스케치, 현대 미술 설치품 등 여섯 가지 형식으로 자료를 구분해 놓고 있다. 또한 키워드, 자료 번호, 연대, 명칭, 지역, 유형 등에 따라 자료를 찾을 수 있도록 검색 엔진을 제공한다.

덤바턴 오크스의 아카이브는 다양한 학술 프로그램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 다양하고 풍부한 아카이브와 연구장학금 프로그램은 세계 각국 관련 연구자들과 학생들이 이곳에 방문하여 연구를 진행하도록 하는 동기로 작용하며, 심포지엄, 콜로키엄, 특강, 워크샵 등 학술 프로그램의 원천이기도 하다.

(2) 문화경관재단의 아카이브

문화경관재단은 1998년에 대중의 경관 자산에 대한 교육과 참여를 목표로 설립된 비영리 재단이다. 이곳에서 추진하고 있는 세 가지 프로그램은 첫째, 북아메리카 문화경관에 대한 가장 크고 철저한 장소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그램인 What’s Out There, 둘째, 주요 조경가와 교육자의 삶을 기록하는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Pioneers of American Landscape Design, 셋째, 위험에 처한 주요 조경 공간의 자료 수집 프로그램 Landslide로, 모두 아카이브에 해당한다.

각 세부 아카이브 프로그램이 보유하고 있는 자료의 규모와 범위는 먼저 장소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2천개 이상의 장소 자료를, 조경가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은 댄 카일리(Dan Kiley), 리차드 하그(Richard Haag)와 같은 인물 15명의 삶과 디자인 철학을 구술 채록한 비디오 자료를 포함해 조경가와 조경 교육자 천여 명의 프로필을, Landslide는 200곳 이상의 경관 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각 아카이브의 체계는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공간명, 인명, 위치, 유형, 스타일로 검색 가능하다(Figure 2 참조). 유형은 다시 극장, 식물원, 묘지공원, 캠퍼스, 공원 등 27가지로 구분되며, 스타일은 픽처레스크, 모더니스트, 중국식, 일본식 등 16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조경가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는 인명으로 분류되어 있고, Landslide는 위험에 처한 경관(at-risk landscapes), 위험에서 살아남은 경관(saved landscapes), 그리고 잃어버린 경관(lost landscapes) 등 세 가지 기준으로 나뉘어 있다.

jkila-47-6-1-g2
Figure 2. Search engine of TCLF homepage Source: https://sah-archipedia.org
Download Original Figure

아카이브는 보관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What’s Out There 데이터베이스는 2016년부터 미국 내 다섯 도시에 중요한 경관과 디자이너를 규정하는 문화경관 가이드(Cultural Landscapes Guides)로 발전하였으며, 조경가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는 풍부한 문화경관 유산을 만들어온 사람들의 업적과 열정을 강조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또한 Landslide 프로그램은 위험에 처한 경관을 지역사회에 알려 이를 되살리는 데 관심과 참여를 이끈다. 이외에도 각 아카이브는 사라질 위기에 처한 장소를 주제로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전시회의 기본 자료로 기능하고 있다.

(3) 미국건축사협회의 아카이브(SAH Archipedia)

미국건축사협회 아카이브(SAH Archipedia)는 미국건축사협회(Society of Architectural Historians; SAH)와 버지니아대학출판부가 주도하고 많은 작가, 연구원, 편집자, 프로그래머와 기록 전문가가 함께 구축한 미국의 건축 환경에 대한 온라인 백과사전(online encyclopedia)9)이다. 아카이브의 일차적 목표는 미국 내 건축 환경의 풍부함과 다양성을 보여주는데 있다. 2010년 미국립인문재단(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과 그래엄재단(Graham Foundation), 앤드루멜론재단(Andrew W. Mellon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아 출발하였고, 이후 여러 재단의 후원과 미국립인문학재단의 지속적인 재정 지원, 그리고 미국건축사협회의 모금 운동 Future of the Past로 급격히 성장할 수 있었다.

아카이브는 미국건축사협회의 연속 간행물 ╔Buildings of the United States(BUS)╗의 자료에 기반하고 있다. 2010년 당시 불과 건축물 10개소의 자료를 보유하던 것에 그쳤던 아카이브는 2012년 8,500개의 건축물로 자료 규모를 확장했으며, 2013년에는 경관 자료를 추가하였다. 2017년 미국 내 50개 주의 자료를 수집한다는 일차적 목표를 이루었고, 2019년 현재 2만 개소 이상의 구조물과 장소에 대한 역사, 사진, 지도 등의 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아카이브는 건축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조경, 기념물, 예술 작품에 관한 자료도 포함하고 있다. 미국건축사협회 아카이브는 미국 내 건축 환경 자료 구축에서 멈추지 않고, 앞으로 아카이브를 세계 콘텐츠까지 포함하도록 확장할 계획을 갖고 있다.

아카이브 체계는 일차적으로 주소, 인명, 재료, 유형, 주, 스타일 등 여섯 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그 중 인명은 Getty Union List of Artist Names(ULAN) 자료와 건축가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축가 명단을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이는 1,113명의 사람과 4,240개소의 회사, 일곱 개의 그룹 등을 포함한다. 재료와 유형, 스타일은 Getty Art and Architecture Thesaurus(AAT) 기준에 따라 구분되어 있다. 아카이브는 모든 자료에 대한 무료 접근이 가능한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카이브는 활용 방안으로 연구자들의 장소 혹은 주제별 에세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페이지 Read Essays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초․중․고 교육자들이 현장에서 바로 활용 가능하도록 아카이브 자료를 수업 자료로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 미국 조경 아카이브의 특성

미국의 공공, 대학, 연구기관 조경 아카이브의 형성 배경, 목적과 기능, 범위와 방법, 체계와 구조, 활용 방법 등을 분석한 결과(Table 2 참조), 미국 조경 아카이브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Table 2. Features of landscape architectural archives in the US
Archives Public institution archives University organization archives Research institution archives
HALS Frederick law olmsted papers EDA AA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What’s out there, Pioneers of American landscape design, landslide SAH archipedia
Affiliation National park service Manuscript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College of Environmental Desig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School of Design, University of Pennsylvania - The cultural landscape foundation Society of architectural historians
Background Growing vitality of landscape history, preservation and management Digitalized to commemorate the 200th anniversary of Olmsted’s birth in 2022 Founded as a teaching collection, following the recommendation of eminent architectural historian Henry Russell Hitchcock Louis I. Kahn Collection, purchased by the Commonwealth of Pennsylvania, placed on permanent loan to the university Different backgrounds of each collection, such as being gifted, risk of material damage, a result of institutional projects A non-profit foundation established to connect people to places Organized by the SAH and th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and supported from the various foundations,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Establisment year 2000 1947(collection) 2018(online) 1953 1973(landscape collection added) 1978 Different periods 1998 2010 2013(landscape collection added)
Mission To record historic landscapes in the United States and its territories To serve as a resource for the bicentennial celebration of Olmsted’s birth in 2022 To raise awareness of the architectural, landscape, and design heritage of Northern California and beyond For independent study as well as to support teaching at the university To support research and learning internationally and make publicly available To educate and engage the public to make the shared landscape heritage more visible, identify its value, and empower its stewards To demonstrate the richness and diversity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practice across many centuries in the US
Scope and subject Endangered historic landscapes about 40 places, over 1,000 items Materials on both Olmsted’s private and professional life from 1777 to 1952 Design works of more than 200 individuals and firms in the region. materials on landscape architects, ASLA, and California Associ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additional collections of online exhibitions, virtual collections, and journey to the Sea Ranch collections Works of more than 400 designers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present 12 landscape architecture collections Diverse scope and materials from papers to films, from America to the East Asia, an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ifferent according to each collection What’s Out There: more than 2,000 places. Pioneers of American landscape design: biographical profiles, videotaped and transcribed oral histories, tours, and print publications about 1,000 people. Landslide: more than 200 endangered places Histories, photographs, and maps for over 20,000 structures and places, 1,113 architects, 4,240 firms, and 7 groups in the US
Acquisition Documenting historic landscapes through measured and interpretive drawings, written histories, and large-format photographs Gifted from Olmsted’s family and a biographer, purchased and transferred Donation, charitable contribution Donation, charitable contribution Gifted, form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institution program, reproduced from the collections Through the ongoing development of its core programs Drawn from the book series, buildings of the United States
Arrangement Arranged by each landscape 8 series(Journals, 1777-1888; Correspondence, 1838-1928; Subject File, 1857-1952; Speeches and Writings File, 1839-1903; Miscellany, 1837-1952; 1975 Addition, 1821-1924; 1996 Addition, 1880-1881; Oversize, 1886) First arrangement: individual designers and firms. second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materials Designer collections arranged by names. digital resources with each web page Different arrangements according to each collection. people, material types, or etc. What’s out there: Arranged by places. Pioneers of American Landscape Design: by individuals. Landslide: by atrisk, saved, or lost landscapes 6 categories of address, architect, material, type, state, and style, using terms from the AAT to categorize and classify metadata
Use Browse by names, subjects, and geographic Browse by date, location, contributor, or subject. Provided with a finding aid Provided with project indexes Supporting academic events and exhibitions Source for academic programs and events Browse by keyword, type, style, region, and city. developed as cultural landscapes guides. Basement for on-offline exhibitions provided with glossary of 27 types and 16 styles Open access
Etc Established as a national program in 2010. A collaborative project Mostly available online. Developed as resources for teachers and experts Access to the archive by appointment only. Operated by a team Access to the archive by appointment only. Operated by a team Partially full digital access or available to registered users - A collaborative project. Fund-raising campaign, “Future of the Past”
Download Excel Table

첫째, 조경 관련 아카이브가 구축된 배경으로는 경관의 가치와 중요성 인식이 주요하게 작용하였다. 형태가 변화하거나 사라질 위기에 처한 정원․공원․광장과 같은 경관 자산 사례의 등장, 건축뿐 아니라 경관도 지역성을 형성하는 원천이라는 생각, 역사적․지역적으로 의미 있는 경관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경관을 중요한 문화 자산 혹은 유산으로 다루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관련 재단이 등장해 문헌 자료를 수집하거나 현재의 경관을 기록하기 시작하거나 건축 아카이브 내 조경 항목이 추가되었다. 이외에도 2000년대 전후로 기술적으로 자료를 정보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옴스테드와 같이 조경(학)계의 중요 인물을 기념하거나 수집된 문헌 자료의 보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가 구축되는 경향도 확인된다.

둘째, 여러 조경 아카이브는 자료 수집과 기록, 보존과 같은 활동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추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미국건축역사협회나 문화경관재단은 아카이브 구축의 목적으로 대중의 건축과 경관 자산에 대한 인식 고취를 내세우고 있으며, 버클리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대학교는 관련 학과의 교육과 연구를 위해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각 아카이브는 교육 혹은 연구를 위한 콘텐츠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의회도서관은 이용자 도구로 교육자와 연구자를 위한 별도의 체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건축역사협회는 수업 자료를 개발 중이고, 문화경관재단과 두 대학기관은 아카이브에서 발굴한 콘텐츠로 온오프라인 전시 혹은 학술행사를 개최한다. 아카이브의 교육적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검색 도구 개발과 자료의 디지털화와 온라인 접근 서비스 제공과 같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손쉬운 이용 체계 수립에 노력하고 이다.

셋째, 아카이브의 대상과 범위는 각 기관의 목적에 따라 각기 다양하며 차별화되어 있다. 덤바턴 오크스만 하더라도 각 컬렉션별 다루고 있는 대상이 다르다. HALS가 사라질 위험에 놓인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장소를 중점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반면, 미국건축사협회의 아카이브는 미국 환경 전반을 포괄한다. 미국의회도서관의 옴스테드 문서는 옴스테드의 개인과 조경 활동을 다루고, 두 학교의 경우 출신 디자이너와 그들의 작업, 학과 기록, 해당 지역 경관을 아카이브로 구축하고 있으며, 문화경관재단은 북미 경관 디자인에 있어 중요한 사람과 장소를 대상으로 한다. 각 아카이브의 자료는 도면과 사진 이외에도 서신, 영수증, 회계기록 등 조경가의 생각과 삶, 조경 공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되는 다양한 문서를 포괄한다. 이외에도 문화경관재단의 살아 있는 조경가를 대상으로 한 구술 채록과 같이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예도 주목할 만하다.

넷째, 자료 수집 방법으로 대부분의 아카이브가 자료 기증에 두고 있다. 두 학교 아카이브의 경우, 유명 건축가가 자료를 기증하면서 아카이브가 시작되었으며, 미국의회도서관의 옴스테드 아카이브 역시 가족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서 출발해 자료를 구매하거나 이관 받으며 확장되었다. 덤바턴 오크스 내 여러 아카이브도 기본적으로는 연구소 설립자 등이 기증한 자료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에 더해 최근 소장 자료의 디지털화를 통해 아카이브를 재구축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자료를 수집하거나 현재 경관을 기록함으로써 자료를 생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예는 아카이브가 국가의 영구적 사업으로 제도화되었거나 재단이 주체가 되면서 가능한 것으로, HALS와 문화경관재단의 아카이브가 이에 해당한다.

다섯째, 아카이브의 자료 분류 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기준은 사람, 작품 혹은 장소, 자료 유형 세 가지이나, 각 아카이브는 일관된 방식을 따르기보다 대상과 범위에 적합한 각기 다른 분류 체계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버클리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대학교는 일차적으로 인명으로 아카이브 자료를 분류하고 있으며, 이후 버클리는 자료 유형별로, 펜실베이니아는 작품별로 다시 나눈다. HALS는 작품별로 분류한 뒤 자료 유형별로 다시 분류한다. 문화경관재단은 기관 산하의 각 아카이브 프로그램마다 사람 혹은 장소별로 자료를 분류한다. 미국의회도서관의 옴스테드 아카이브는 자료의 생산 시기와 유형을 동시에 고려한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고, 미국건축역사협회는 공인된 건축 기관이 마련한 인물 명단과 건축 재료, 유형 등의 체계에 따라 자료를 분류해 놓았다.

여섯째, 조경 아카이브는 단순히 자료만으로 구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전문가로 이루어진 조직이 버클리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아카이브를 운영하고 있는 사례와 사서가 고용되면서 자료의 디지털화가 이루어진 덤바턴 오크스의 사례, 그리고 미국조경가협회와 미국의회도서관, 미국립공원관리청이라는 세 기관 간의 협업 속에서 추진되고 있는 HALS 사례를 통해 볼 때, 조경 아카이브 구축은 다양한 전문가, 집단, 조직의 참여와 협업으로 가능하다. 또한, 기증 이외에 자료 구매와 기록화 작업을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미국건축사협회의 아카이브와 같이 국비를 비롯해 다양한 재단으로부터의 후원, 기금 모금 등을 통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재정이 필수적이다.

Ⅳ. 결론: 한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시사점

이 연구는 한국의 조경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 미국의 조경 아카이브 동향을 파악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미국의 주요 조경 관련 아카이브를 공공․대학․연구기관 등 운영 주체별로 분류하고, 각 아카이브의 형성 배경, 목적, 범위와 대상, 체계, 활용 방법을 검토하여 구체적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미국 조경 관련 아카이브의 주요 특성 여섯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관의 가치와 중요성 인식이 아카이브 형성 배경에 주요하게 작용하였다. 둘째, 아카이브의 목적은 경관의 다양성과 의미에 대한 대중의 인식 고취와 교육에 있다. 셋째, 아카이브의 대상과 범위는 각 운영기관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며 차별화되어 있다. 넷째, 수집 방법으로는 자료 기증이 주를 이루며, 이외에 자료 구매와 기록화 작업 등이 있다. 다섯째, 각 아카이브의 분류 체계는 아카이브 대상과 범위에 따라 각기 다르지만 분류의 공통적 기준은 사람, 작품이나 장소, 자료 유형으로 구분된다. 여섯째, 미국의 조경 아카이브는 다양한 전문가와 조직의 참여와 협업, 그리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재정이라는 밑바탕 위에서 구축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한국 조경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전과 대상 설정과 관련하여, 조경 아카이브는 과거, 현재, 미래의 가치를 고려하여 조경의 가치와 역할을 일반 대중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비전을 설정해야 하며, 공원과 정원 등의 장소 중심, 조경가과 작품 중심, 사회문화적 아카이브 등 주제를 차별화하여 구축해야 한다. 둘째, 아카이브 구축 방법과 체계와 관련하여, 조경 아카이브는 기록물을 수집하고 기록하는 방법, 자료의 적절한 분류 체계와 이에 부합하는 자료 디지털화 방법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초기 과정에서 현황 파악을 위한 기초 연구와 시범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 방법과 체계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활용과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조경 아카이브는 대학 및 대학 이전의 교육 기관에서 학술,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대중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온오프라인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아카이브 사이의 협업, 재정 확보와 관련 제도의 마련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아카이브 사례를 검토하기 위해 해당 아카이브의 웹사이트와 축적된 기록물 및 관련 문헌을 주로 살펴보았다. 따라서 오프라인에서 아카이브가 대중과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와 아카이브의 구체적인 구축 과정을 다루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현장 답사를 통한 확인과 아키비스트의 생생한 인터뷰가 후속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미국의 사례만을 검토한 것으로, 향후 연구에서 유럽과 아시아의 사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조경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첫 작업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기본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Notes

주 1. 예를 들어, 바이어렌스 드 한(Bierens de Haan, 1981)은 네덜란드 정원 관련 기록물을 분류하기 위한 범주를 설명한 바 있고, 웨이벌리 로웰과 켈시 쉐퍼드(Waverly B. Lowell and Kelcy Shepherd, 2000)는 버클리 대학교에서 구축한 토머스 처치(Thomas Church) 컬렉션의 내용과 체계를 설명했다. 사서학 분야에서는 지도학자 팀 로빈슨(Tim Robinson)이 경관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빙 방법과 절차를 연구한 바 있다(Joy et al., 2017).

주 2. 미국 아카이브 관련 내용은 본문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주 3. 영국의 대표적인 조경 아카이브는 1984년에 창립된 잉글리시 헤리티지(English Heritage)에 의해 형성되었다. 잉글리시 헤리티지는 아카이브가 정원과 공원의 역사를 사회문화 맥락 속에서 보다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무관심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고 판단하고(English Heritage, 2014), 2005년 영국의 공원과 정원 재단(Parks and Gardens UK) 등에 재정 지원을 통해 시대, 유형, 맥락, 활용 방법, 식재 유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 검색이 가능한 아카이브를 구축하였다. 현재 잉글리시 헤리티지에서 분리된 조직인 히스토릭 잉글랜드(Historic England)가 백만 개 이상의 사진과 문서 검색을 제공하는 아카이브를 운영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경우 조경 및 정원 연구센터(Fondazione Alessandro Tagliolini)나 위대한 이탈리아 정원(Grandi Giardini Italiani)에서 이탈리아 일대의 주요 정원에 관한 아카이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Fondazione Alessandro Tagliolini; Grandi Giardini Italiani).

주 4. 이 연구는 조경 아카이브에 관한 의미 있는 연구이나, 다양한 성격을 지닌 조경 프로젝트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체계라고 보기 힘들며, 이미 조성되어 이용되고 있거나 변형되었거나 이제는 사라져버린 조경 공간의 기록물의 수집에 대한 확장성 면에서 한계를 지닌다.

주 5. 국립현대미술관, 목천건축아카이브, 김중업건축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라이브러리파크 등에서 아카이브가 구축되어 있으며, 향후 광주시에서 근대 건축물 디지털 아카이브를, 세종시 국립박물관단지에 도시건축박물관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한, 최근 서울 도시건축 전시관이 개관하여 서울 아카이브의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주 6. 2015년 건축 전문지 『공간(Space)』에서 마련된 특집에서 여러 논자의 공통된 견해로 첫째, 건축 아카이브의 주제와 수집 대상이 보다 차별화되어 개별 기관이 아이덴티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Choi, 2015; Kim et al., 2015). 둘째, 건축 아카이브 간의 협력과 네트워킹이 필수적이라는 것도 공통된 견해였다(Choi, 2015; Kim et al., 2015). 각자의 아카이브가 지닌 정보를 공유하고, 여러 기관에서 비슷한 주제와 범위의 아카이브를 진행하여 서로 아카이브 내용이 겹치는 경우를 피하자는 의도이다. 이외에도,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어 건축 아카이브의 개념 자체가 전환되고 있다는 진단도 주목할 만하다(Zalduendo, 2015). 디지털로 생산되는 건축 도면에는 원본의 유일함이 없기 때문에 도면 이외의 추가 자료, 예컨대 주변 환경과 맥락, 행정적 내용 등의 데이터를 함께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디지털 도면을 파일로 만들어 수집, 기술, 관리, 보존,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도 계속되어야 한다.

주 7. 월드컵 공원은 프로그램 중심의 아카이브를 서부공원사업소 자체 예산으로 구축 중에 있으며, 용산공원은 2019년 3월에 국토교통부에서 “용산공원 아카이브 구축 기획 연구”를 발주하여 현재 국토연구원에서 용역이 진행되고 있다.

References

1.

Bierens de Haan, J. C.(1981) Collections and documentary archives relating to Dutch garden history. The Journal of Garden History 1(4): 393-396.

2.

Choi, E.(2014)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Urban Park Archives: Focused on Archival Arrangement of Seoul’s Urban Park Records. Masters’s Thesis. University of Seoul.

3.

Choi, W.(2015) A matrix of records: diversifying architectural archives. Space 567: 52-57.

4.

Disponzio, J.(2014) Landscape architecture/ure: A brief account of origins.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34(3): 192-200.

5.

English Heritage(2014) National Review of Research Priorities for Urban Parks, Designed Landscapes, and Open Spaces.

6.

Joy, C., A. Keana and P. Corrigan(2017) A landscape archive: methods for interaction design, preservation, access, and mapping – a case study. Journal of Web Librarianship 11(3-4): 209-219.

7.

Kim, I., H. Pai, K. Lee and B. Jeon(2015) A network for the future, and the potential of future archives. Space 567: 58-65.

8.

Lowell, W. B. and K. Shepherd(2000) Planting plans, photographs and pencils: The archives of Thomas Dolliver Church.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20(2): 192-195.

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8) A plan for creation of culture tank archive.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14902978)

10.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9) 2019 An Introduction to Parks. (http://parks.seoul.go.kr/story/news/detailView.do?bIdx=1598)

11.

Waldheim, C.(2014) Landscape as architecture.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34(3): 187-191.

12.

Woo, S.(2017) Nomenclature and Identity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Profess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Yu, K. H., S. H. Oh, S. K. Cho and E. Y. Seong(2009) The Policy Strategy for Building Architectural and Urban Space Archives in Korea.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14.

Zalduendo, I.(2015) Born-digital: the conceptual shift of architectural archives in the 21st century. Space 567: 66-71.

16.

https://en.oxforddictionaries.com/definition/archive (English Oxford Living Dictionaries)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