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장백산 신성한 활동의 시대별 변천에 관한 연구

허종화*, 김석주**, 성종상***
Zhong-Hua Xu*, Shi-Zhu Jin**, Jong-Sang Sung***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연변대학 미술학원 환경설계학과 조교수
**연변대학 지리해양과학학원 지리과학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 교수
*Assistant Professor, Dept. of Environmental Design, Academy of Fine Arts, Yanbian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Geographical Science, College of Geography and Ocean Sciences, Yanbian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본 성과는 연변대학교 신임교원 박사기동기금의 지원을 받고 수행된 연구임.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중국 장백산 신성성의 시대별 변천에 관한 연구"를 발전시킨 논문임.

Corresponding author: Shi-Zhu, Jin, Professor, Dept. of Geographical Science, College of Geography and Ocean Sciences, Yanbian University, Yanji 133000, China, Tel.:+86-433-2732465, E-mail: jinsz@sina.com

© Copyright 2021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y 12, 2021; Revised: Jun 02, 2021; Accepted: Jun 10, 2021

Published Online: Jun 30, 2021

국문초록

장백산은 시대마다 다양한 민족이 생활하였고, 시대별 민족들은 자신들만의 신앙문화로 장백산을 신성시 하였다. 기존의 장백산 문화에 대한 연구들은 특정 시대 사건에 관한 연구만 이루어지고 있는데, 정작 장백산의 신성성이 시대별로 어떻게 변천하고, 시대별 민족들의 신앙문화와 어떠한 관계가 있고, 어떻게 변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장백산 신성성을 역사적 사료에 입각하여 시대적으로 변천해 온 의미를 고찰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장백산 신성성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시대별 민족들의 신앙문화와 장백산 공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성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성현으로 드러난 신성한 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고찰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가지고 장백산 신성성의 변천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장백산 신성한 활동은 시대별로 다음과 같이 변천하였다. 청나라 이전 시대 민간들은 생계와 생존을 위한 화신제사, 성신제사, 산신제사, 버드나무신제사를 하였고, 금나라 왕은 악진(嶽鎮)과 같은 제사의례로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청나라 시대 황제는 망제전을 조성하고 직접 가거나 관원을 파견하여 국가를 상징하는 최고의 제사의례로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근대는 장백산 정상에 팔괘묘를 조성하고,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리거나 팔괘의 술수를 통하여 장백산 자연과 장백산에서 생활하는 인간들의 길흉을 판단하였다. 또한 이 시기 민간들은 생활과 생산을 위하여 인격화 된 신 산신노파두를 중심으로 제사활동을 하였다. 정리하면, 장백산의 신성한 활동은 청나라 이전 시기는 애니미즘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 샤머니즘 제사활동, 청나라 시기는 황실의 성산으로서 신성성을 받들기 위한 최고의 황실 제사의례, 근대시기는 이주민들의 도교사상을 기본으로 한 제사활동으로 변천하였다. 그리고 신성한 활동으로 바라 본 장백산의 의미는 청나라 이전 시대 생계의 산에서 청나라 시대 국가의 산으로 위상이 승격하였다가 근대 생산의 산으로 변화하였다.

ABSTRACT

Various peoples lived in Changbai Mountain in each era, and the peoples of each period regarded Changbai Mountain as part of their own religious culture. Existing studies on the culture of Changbai Mountain are conducted only based on the events of a specific period, but how the sacredness of Changbai Mountain has changed from time to time, how it is related to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people of each period, and how sacred the areas and spaces have changed. There has been no research to that ex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meaning of Changbai Mountain's sacredness that has changed from time to time.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sanctity of Changbai Mountain through synchronicity, the study focused on the hierophany occurring between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peoples of each period and the space of Changbai Mountain. Specifically, the activities to protect the sacred objects and sacred spaces revealed by the hierophany were considered, and the change of the sanctity of Changbai Mountain was interpreted with the derived resul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acred activities of Changbai Mountain have changed from time to time. During the pre-Qing dynasty, civilians performed incarnation rites, holy god rites, mountain god ceremonies, and willow god rites for livelihood and survival, and the king of the Jin dynasty offered rituals to the Changbai Mountain gods as rituals such as Four Mountains(Yuezhen). During the Qing Dynasty, the emperor built Wangji Temple and sent a government official to make a ritual to the Changbai Mountain god as the best ritual to symbolize the country. In modern times, Bagua Temple was built on the top of Changbai Mountain and sacrifices were made to the Changbai Mountain gods, and the nature of Changbai Mountain. Humans living in Changbai Mountain area were judged through the tricks of the Bagua Mountain. In addition, during this period, civilians performed ritual activities centering on the god Shanshenlaobatou, who personified life and production.

In summary, the sacred activities of Changbai Mountain were shamanistic rituals based on animistic ideology in the pre-Qing dynasty, the best imperial rites for honoring the sacred as an imperial sanctuary in the Qing dynasty, and the Taoist ideology of migrants in the modern period. It had been transformed into a ceremonial activity. And the meaning of Changbai Mountain, viewed as a sacred activity, was elevated from the mountain of livelihood in the pre-Qing dynasty to the mountain of the nation in the Qing dynasty, and then changed to the mountain of modern production.

Keywords: 샤머니즘; 제사의례; 팔괘; 산신노파두; 백두산
Keywords: Shamanism; Religious Ceremony; Bagua; Sanshenlaobatou; Baekdu Mountain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중국에서 산은 예로부터 최고의 윤리도덕이 존재하는 대상이었다. 어진 자는 의리에 밝고 산과 같이 중후하여 변하지 않으므로 산을 좋아한다는 공자의『인자요산(仁者樂山)』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산은 유가사상 최고이념을 상징하는 매개체로 인식되어 왔다. 오악(五嶽)은 봉건시대 황제들이 천명을 받는 대상으로 신성시하기도 하였다. 산을 단순한 물리적 대상이 아닌 다양한 의미가 함유된 신성한 대상으로 인식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산에 대한 신성한 문화는 현재 중국에서 소실되거나 동질화되는 안타까운 현상을 겪고 있다.

장백산은 과거부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생활했던 장소로서 그들이 산에 대한 고유한 신성한 문화가 존재한다. 장백산은 지리적으로 특수한 국경에 위치하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 내지 권력의 부침에 따라 특색 있는 신성한 문화를 다양하게 축적시켜 온 곳이다. 장백산관리위원회에서 2020년까지 완공을 계획 중인『장백산관광발전총체계획(Changbai Mountain Tourism Development Master Plan)』안을 보면 생태관광 다음으로 문화관광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동안 생태관광가치 위주로 강조되어 왔던 장백산 관광에서 향후에는 문화적 가치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장백산 문화가치 발굴에 앞서 현재 장백산은 민족문화의 쇠퇴와 변질된 새로운 문화도입이라는 두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우선, 장백산 민족문화가 위기를 겪고 있다. 현재 장백산 주변 지역 이도백하(二道白河)1), 백산시(白山市)2)에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최근 몇 년 간 중국 남쪽 지방에서 넘어 온 사람들이다. 그들은 장백산이 관광지로 활성화 되자 장사 혹은 사업을 목적으로 가족과 함께 이곳에 정착한 사람들이다. 반대로 이곳에서 생활했던 원주민들은 일자리가 없는 탓에 오래전부터 타지로 이주하였다. 그들이 남기고 떠난 촌락3)은 길림성에서 도시화 건설을 추진하면서 모두 사라져 버려서 과거의 흔적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관광목적으로 남겨둔 홍기촌(紅旗村)과 내두산촌(奶頭山村)4)을 보더라도 모두 주민으로 위장한 사람들이 월급 받고 살면서 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조선족으로 위장하고 전통노래, 춤, 결혼 체험 등 오락 활동을 통하여 관광객한테 이질적인 문화를 전파하고 있었다.5)

장백산 문화관련 선행연구들은 인물답사(Gong, 2002), 정계비(Diao, 2003), 유조변(Zhu, 2004), 만주족 민족의식(Zhang, 2009), 봉선(Li, 2000), 제사제도(Du, 2010), 산악숭배(Chen, 2011), 만주족신화(Li, 2003) 등 특정한 시대의 사건을 한정하고 연구하는데 머무르고 있었다. 정작 장백산 신성성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없었다. 구체적으로 장백산의 신성성이 시대별로 어떻게 변천하고, 시대별 민족들의 신앙문화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신성한 활동은 어떻게 변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장백산의 신성성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시대별 이 지역에서 생활한 민족들의 특정된 신앙문화와 산의 관계에서 발생한 신성한 현상에 집중해야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장백산의 신성성을 특정 시대의 사건이 아닌 총체적인 역사과정으로 접근하려고 하며, 세속과 반대되는 현상을 중점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여 시대별 특징을 밝히는 연구로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백산 신성성을 역사적 사료에 입각하여 시대적으로 변천해 온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장백산의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이다.

2. 연구범위
1) 공간적 범위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화산분출구를 중심으로 한 장백산 문화권 구역이다. 청나라 이전 시대는 광의적 문화권 구역에서 장백산을 대상으로 신성성이 드러난 길림성(吉林省), 흑룡강성(黑龍江省), 요녕성(遼寧省) 지역을 한정하였다. 청나라 이후 시대는 협의적 문화권 구역에서 장백산 성현이 도출되었던 돈화시(敦化市), 길림시(吉林市), 무송현(撫松縣)을 선별하였고 장백산 신성성이 변용된 지역으로서 북경 자금성을 한정하였다.

2) 시간적 범위

본 연구는 시간의 누적에 따른 중국 장백산 신성성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시적인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구분해 보면 신성성 변화의 흐름은 세 가지 단계를 가지고 있다(Figure 1 참조).

jkila-49-3-40-g1
Figure 1. Research time frame
Download Original Figure
3) 내용적 범위

본 연구는 중국인의 시각에서 장백산 신성성을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장백산은 중국과 북한 양국의 경계가 되는 산이다. 하나의 산이기는 하지만 중국과 한국은 이 산에 대해 전혀 다른 문화와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 산에서 생활하였던 민족도 다르고 민족들의 신앙도 다양하기에 산을 신성시 하는 신적 대상도 다른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에 입각하여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국 장백산 기록이 있는 중국 고문헌과 현대문헌을 사용하였다.

Ⅱ. 이론적 고찰

세속적인 공간이 신성한 공간으로 변화되는 과정에는 그 공간의 신성한 사물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신성한 활동이 존재한다. 이러한 신성한 활동은 그 공간이 신성하다고 입증하는 우선적인 증거가 되며 신성한 사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Durkheim, 2013). 인간은 사회의 공통된 행위에서 신성성을 체험하게 되는데, 이때 사회의 지배적인 힘은 인간을 통제하게 된다. 이러한 체험에서 인간은 주변 환경을 일상과는 다르게 인식하게 되며, 자신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사물이 특수한 힘을 가졌다고 믿게 된다(Durkheim, 2013). 즉, 세속적인 생활환경과는 다른 초월한 다른 세계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신성한 행위를 겪고 나서 사람들은 신성과 세속의 개념으로 모든 사물과 현상을 판단하며, 완전히 다른 두 개의 세계가 존재한다고 믿는다(Durkheim, 2013). 이러한 신성한 공간에서 신성한 사물에 대한 활동은 주로 제사와 금기가 존재한다.

제사의 사전적 의미는 신령에게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돌아간 이를 추모하는 의식이다.6) 제사형식으로는 천지 만물의 생성화육(生成化育)에 대한 외경심, 신비감을 갖는 동시에 생명에 감사를 표하는 행사; 하늘(天)․땅(地)․해(日)․달(月)․별(星辰)․산(山)․강(川)과 그 밖의 자연물에 초인적인 힘이나 신통력이 깃들어 있다고 믿고, 삶의 안녕과 복을 비는 의식; 조령(祖靈)에 대한 외경심과 조상 숭배 사상이 합치되어 조상을 추모하고 자손의 번영, 친족 간의 화목을 도모하는 행사 등이 존재한다.7)

봉건시대 황제는 무궁한 권력이 조상으로부터 내려온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사의례를 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사의례 가운데 봉선(封禪)은 중국고대제왕이 태평성세 혹은 하늘에서 상서가 강림할 시대에 하늘과 땅에 제사를 드리는 대형의식이다. 산 정상에 제단을 설치하여 산 높이를 증가하고 제사를 드리는 것을 봉(封)이라고 하며, 하늘에 제사를 드린다고 해서 “제천(祭天)”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큰 산 부근에 위치한 작은 산 위에 제단을 설치하고, 산 높이를 증가하여 제사를 드리는 것을 선(禪)이라고 하며, 땅에 제사를 드린다고 하여 “제지(祭地)”라고 불리기도 한다.8) 과거에 황제들은 태산에서 주로 봉선의식을 가졌고, 왕위에 오른 것은 천명이라고 여겼다. 이러한 인식으로 시작된 봉선제사의식에서 산은 하늘과 인간 사이를 연결해주는 성스러운 매개체로서 중요한 제사대상으로 작용하였다. 봉선하는 지역은 태산에서 시작되었지만, 나중에는 정권을 지배하는 민족마다 자신한테 특별한 의미가 있는 산을 선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산은 성산으로서 하늘의 천명을 땅에 전달해 주는 매개체로 작용을 하였다.

제사행위는 자연에 대한 두려움에서 시작되었으나, 나중에는 조상숭배를 하거나, 정치적인 목적으로 왕권을 과시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변화과정을 겪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특정한 장소의 매개체와 자연환경이 신성한 존재의 역할을 담당한 것이다.

다음으로, 신성한 공간은 금기를 가지고 있다. 에밀 뒤르켐(Durkheim, 2013)에 따르면 금기의 대상은 세속적인 사물이며, 그들은 반드시 신성한 사물을 공경해야 한다. 따라서 신성한 사물은 금기로 부터 보호 받게 되는 것이다(Durkheim, 2013). 이러한 금기는 지역민들이 신성한 공간에 대한 공통된 약속과 같은 존재로써 반드시 지켜야 되는 것이다. 또한 그 지역의 민족 혹은 씨족의 집단적 표상에 따라 결정되기에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Levy-Bruhl, 2015). 그리고 금기는 특수한 예의를 통하여 신성한 공간 안에서 사람들의 행동거지를 규범하기도 한다.

이러한 신성한 공간에서 행해지는 활동들은 모두 신성한 시간을 가지고 있다. 종교인이 간주하는 신성한 시간은 특정 기념일 행사기간을 말하며, 본질적으로 거꾸로 회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Eilade, 1987). 특정된 종교 기념일 행사는 현재의 시간에 과거의 신성한 사건을 다시 나타나게 하는 행위를 말한다. 신도는 행사를 참여하여 신성한 시간대에 진입하고 신성성을 느끼게 된다(Eilade, 1987). 이러한 신성한 시간은 거꾸로 회전을 하며 무한 반복과 순환을 한다. 신성한 공간이 동질성을 깨뜨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신성한 시간도 세속적인 시간과 달리 새로운 형식을 가지며, 중복과 갱신을 하며 종교인들한테 특별한 의미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매년 갱신하는 신정(新正) 날에 사람들은 원래의 신성한 의례와 활동으로 회귀하게 된다. 종교인들은 매번 신정 날 재계, 정신(淨身), 죄악과 귀신을 없애는 의례를 통하여 새로운 출발을 하려는 다짐을 한다(Eilade, 1987). 이러한 신성한 시간은 성현을 경험하는 최고의 기간이기에 종교인들은 정기적으로 이러한 시간에 회귀하여 신성함을 느끼기 원한다.

Ⅲ.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하여 진행하되, 인터뷰조사도 함께 병행하였다. 시대별 민족들의 거주지가 소실되고 유구도 많이 남아 있지 않기에 문헌고찰이 주가 될 수밖에 없다. 문헌조사는 장백산 신성성과 연관되는 중국고문헌과 현대문헌으로 이루어졌다. 이외에 학술논문, 매체자료, 지방지, 문물지, 지리서를 참고하였다. 학술논문으로는 학위논문, 학술지를 참고하였다. 매체자료로서는 신문기사, 고지도, 장백산 관광계획도 등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백산 신성한 사물과 활동에 관련되는 내용을 추출하기 위하여 장백산 신성성 문화와 관련되는 중국고문헌과 현대문헌 1차적인 자료를 선별하여 참고하였다. 중국 고문헌은『요사(遼史)』,『금사(金史)』,『청사고(清史稿)』,『강희조실록(康熙朝實錄)』,『안도현지(安圖縣志)』를 참고하였다. 현대문헌은 장백산 민간 샤머니즘을 구두 전승한 신화, 신탁(神諭), 제사를 정리한 1차자적인 문서『샤머니즘과 신화(薩滿教與神話)』,『만주족 샤머니즘 연구(滿族薩滿教研究)』,『동해침원록(東海沉冤錄)』, 장백산 자연과 지리, 사회, 역사를 정리한 1차적인 문서『장백산지(長白山志)』,『중국장백산문화(中國長白山文化)』,『길림통지(吉林通志)』, 문물지와 지방지『무송현지(撫松縣志)』,『화전현지(樺甸縣志)』,『해성현지(海城縣志)』,『쌍성현지(雙城縣志)』등을 참고하였다.

둘째, 장백산 신성성의 변화 실태를 고찰하기 위하여 현지 장백산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장백산 역사의 전반적인 내용과 신성성의 변화과정에 대해 질문을 하고 답변을 들었다. 또한 현재 장백산 신성성이 남아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하고 답변을 들었다.

Ⅳ. 시대별 신성한 활동

1. 청나라 이전 시대 민간 의례

청나라 이전 장백산에 거주한 민족들은 자연과 호혜적인 관계에서 의례활동을 하였다. 장백산은 민족들에게 생계를 유지하는 사물을 제공하였고, 민족들은 장백산에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사물을 선택하며 신성시 한 것이다. 이러한 호혜적인 관계에서 민족들이 장백산 자연에서 선택한 신성한 사물은 신격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신격을 가지게 되는 사물을 중심으로 신성한 활동이 생기게 되었다.

우선, Malinowski에 따르면 원시시대의 모호한 세계에서는 부락한테 유용한 사물만이 중요한 지위를 가지게 되며, 이것이 부락 공동체의 민속신앙과 의례로 표현된다고 한다(Malinowski, 1992). 초기의 인간들은 음식물을 필요하여 자연에서 활동을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점차 자연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긴장된 감정은 그들이 제어할 수 없는 자연의 특정된 대상일 것이다. 자연에서 이러한 감정을 가진 그들은 점차적으로 제어할 수 없거나, 자신들의 생활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용한 사물을 하나씩 선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선택한 사물을 모호한 세계와 분리되는 신성한 사물로 인식한다. 이렇게 선택한 신성한 사물은 부락 민족의 취향과 감정을 말해주며, 그들은 이러한 사물을 신성시하기 위해 신성한 활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장백산에서 생활한 민족들도 마찬가지로 초기에 음식물을 필요하여 장백산에서 활동하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이 제어할 수 없거나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을 신성한 사물로 인식하고 신성한 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신성한 활동으로는 화신제사, 성신제사, 산신제사, 버드나무신제사가 존재하였다.

장백산 화신(火神)제사는 전체 부족의 길함과 번창을 목적으로 드리는 제사이다. 불이 추위를 쫒고, 불결함을 제거하는 힘이 있다고 믿었으며, 이를 신성시하기 위하여 부복하는 행위를 통하여 제사를 드렸다. 구두 전승된 초기의 만주족 선현의 화신제사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만주족 선현은 매년 그믐날에 집마당에서 모닥불을 피우고, 불은 하늘을 비치고, 내년의 평안을 기원한다. 민족들은 불 속에 소금, 음식물, 술과 반찬을 넣고, 무릎 꿇고 절을 한다(Fu, 1990).9)

또한 금나라 초기 여진족이 화신제사에 대한 기록은『요사(遼史)』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그믐날, 동북지역의 민족은 낭군이 큰 집에 와서, 소금 및 작은 어린 양을 화로에 넣고 태운다. 무당은 이를 화신에게 전달한다 (遼史, 禮志, 歲除儀).10)

기록에서 나타난 화신제사의 공동적인 특징은 그믐날에 진행되었으며, 불을 피우고 불 속에 소금과 음식물을 넣고 제사를 드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바람신 제사는 부락의 민족과 가축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이며, 제물로는 사슴 세 마리를 사용하였다(Liu, 2014).

장백산 성신(星神)제사는 조상제사와 동등한 위치의 중요한 제사이며, 마을의 풍요와 건강을 기원하는 목적으로 드리는 제사이다. 이러한 성신제사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만주족의 와집여진족(窩集女真人)11)의 신탁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동해의 성신 제사는 한 해에 두 번 거행한다. 성신 제사만 하거나, 조상 제사와 같이 한다. 첫눈에 드리는 제사는 재앙을 물리치고 겨울의 풍수를 기원하는 것이고, 정월에 드리는 제사는 빌미를 물리치고 전염병을 제거하고 건강을 기원하는 것이다. 기일은 맑은 날 저녁이다. 첫눈에 드리는 성신제사는 나단오사합(那丹烏斯哈)12)이 동천으로 솟을 때 해야 되며, 도목(倒木)13) 9개를 벌목하고 나팔과 북소리가 하늘을 진동해야 한다. 9개의 불더미에서 활활 타는 연기는 하늘로 통하는 9개의 흰 기둥과 같다고 하여 별의 다리(星橋)라고 속칭한다(Fu, 1988).14)

기록에서 제사를 드리는 시간이 두 번 나타나는데 이는 한 해 동안 장백산에서 채집하고 사냥활동을 하는 시기와 관계되었다. 정월은 채집활동의 시작을 의미하며, 첫눈이 오는 날은 채집활동의 마감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성신제사를 통하여 한 해 동안의 음식물의 풍족을 기원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제사의례에서 여진족은 땅에서 드리는 화신제사와 하늘의 성신을 연기(煙氣)로 연결하려고 하였으며, 별의 다리(星橋)라고 표현을 하였다. 즉, 별의 다리(星橋)가 성현의 중심이 되는 것이고, 이를 통하여 신성한 공간이 생기게 되며, 그들은 이러한 대상에 신성한 활동을 하는 것을 통하여 한 해의 풍작을 기원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장백산 산신(山神)제사는 장백산이 야수와 날짐승을 키워서 먹거리를 하사함에 감사를 표하여 드리는 제사이다. 장백산 민족들은 이러한 장백산을 산신(山神)이라고 부르며 신성시 하였다. 산신 제사는 두 번 행하게 되는데 우선, 사냥을 하기 전에 장백산을 향하여 제사를 드리고 다음으로, 사냥을 마치고 산속에서 사냥의 신(獵神) 반달마법(班達瑪法)에게 제사를 드린다. 장백산에서 사냥을 마치고 드리는 제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집단적으로 포획한 사냥감은 아포달(阿布達)15)이 사냥꾼들에게 균등하게 분배한다. 산속에서 사냥을 마치고 사냥의 신(獵神) 반달마법(班達瑪法)에게 제사를 드린다. 샤먼의 역할을 맡은 아포달은 모닥불을 피우고 한초(漢楚)16)로 익힌 각종 육류를 제물로 바치며 제신(祭神)한다. 제사 드릴 때는 노래와 춤이 있어야 하고 불길을 제거하기 위해 3마리 까마귀 머리를 자른다... 제사를 마치고 사냥꾼들은 사냥감을 가득 싣고 아포달의 인솔 하에 썰매를 타고 마을로 돌아온다(Mu, 1984).17)

다음으로, 장백산 버드나무신 제사는 만주족 마을의 풍족과 평온을 기원하거나, 자손의 번성을 기원할 때 주로 드리는 제사이다. 만주족은 버들을 비의 상징으로 여기었다. 가뭄이 나면 버드나무가지로 제사 드리는 것을 통하여 비가 오기를 기대하였다. 이러한 버드나무의 제사 기록은 만주족의 장편소설『동해침원록(東海沉冤錄)』의 동해 알홀탄하부락(嘎忽坦河部落)의 버들제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바다에 썰물이 와서 매번 강물이 마를 때 부족은 버들제전을 거행한다. 여한사호림(女罕斯呼林)은 버들에게 제사를 드릴 때 미모가 출중한 9명 혹은 17명, 심지어 33명의 여자를 선발하여 벌거벗기고 허리춤에만 버드나무 가지를 두르게 한다. 이것은 버드나무 신, 해신, 수신을 대표한다. 동일 종족들은 여자를 둘러싸고 몸에 사슴 피, 미주(米酒), 깨끗한 강물을 뿌린다. 부락의 거주지에서 여신들은 산야, 산꼭대기, 강변, 개천 변, 해변 등 부락 사람들이 자주 활동하는 장소를 두루 걸어 다닌다. 걸어 다니면서 춤을 추고, 노래도 하고, 고함도 지른다. 분위기는 엄청 장렬하다. 거쳐 지나간 곳마다 술, 사슴 피, 강물을 부으면서 버들 신, 해신 등 여러 신들한테 제사를 드린다. 부락사람들의 평안함과 풍족을 신령한테 빈다. 버들 신을 대표하는 여자들은 제사 기간에 집을 가지 못하며 물 위에서 머물러야 한다(Fu, Meng, 1991).18)

버들 제전에서 알 수 있듯이 버드나무는 씨족 혹은 마을 단위에서 생계에 꼭 필요한 비와 물을 가져다주는 역할을 하여 마을에 풍족과 평안을 지켜주는 신성한 사물이었다. 특히 주로 사냥하거나 채집하는 장소인 산야, 산 정상, 강변, 개천 변, 해변 등 거점마다 버드나무를 두른 여신이 지나가며 비와 물을 가져다주기 바란 것을 알 수 있다. 장백산에서 유기적으로 안정된 생계활동을 할 수 있게 해달라는 염원이 담겨 있는 것이다.

또한, 버드나무는 생명의 번영을 상징하여 자식 점지를 비는 의식(求子儀式)에 널리 사용되었다. 만주족 민간의 자식 점지를 비는 의식(求子儀式)은 보편적으로 불탁마마신위(佛托媽媽神位) 앞에 버들가지를 세워놓는데, 버들가지를 자식의 영혼을 기탁하는 대상으로 여긴 것이다. 특히 버드나무 중에서도 무성한 가지와 잎을 가지고 있는 버드나무는 씨족의 자손이 많아지고 성년이 창성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수(神樹)로 여긴다(Wang, 1986). 만주족 선현들은 버드나무의 잎과 가지가 무성하고, 부러져도 다시 잘 자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생명의 번영을 의미한다고 인식한 것이다.

2. 금나라 왕실 제사의례

금나라 시대 장백산에 대한 제사의례는『금사(金史)』제35권 예지(禮志) 8에 기록되어 있다.

대정15년 (1175년) 3월에 면류관, 구장복, 옥규, 옥책, 함, 향, 화폐, 책, 축문과 같은 예물을 봉책한다. 사자와 보조 각 한 명을 회녕부(會寧府)19)에 보내어 하루 재계하게 한다. 사자는 묘우에 도착하여 예의의식에 따라 예물을 설치한다. 사찰 문밖에 옥책, 곤룡포와 면류관, 악차(幄次),20) 이 지팡이, 기와 북을 설치한다. 일품의 예의를 지키고, 삼헌 의식을 진행한다. 악진(嶽鎮)에 제사 드리는 것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사자에게 명한다. 매년 분향하고 참배하며, 춘추에 날을 택해서 제사를 드려라(金史, 제35권, 禮志8).21)

기록에서 나타난 악진(嶽鎮)은 중국의 사악(四嶽)을 가리킨다.22) 사악 (四嶽)은 중국 도교의 성산이며, 동악 태산(東嶽泰山), 서악 화산(西嶽華山), 남악 형산(南嶽衡山), 북악 항산(北嶽恒山)을 가리키는 것이며, 오악(五嶽)과는 달리 중악 숭산(中嶽嵩山)이 빠져 있다. 장백산의 제사의례를 이러한 한족의 성산 사악의례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 것은 당시 여진족 왕조의 인식에서 장백산이 최고의 지위를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면류관23)과 구장복24)을 예물로 사용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장백산은 금나라의 왕과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총적으로 장백산에 대한 제사의례는 금나라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행사였고, 장백산의 지위는 가장 높았다.

3. 청나라 황실 제사의례

청나라 시대 장백산은 중국에서 최고의 신성성을 가진 산으로서 장백산에 대한 제사의례는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였다. 청나라 시대 장백산 황실 제사의례는 강희제가 1678년에 장백산 제사의례를 오악과 같은 방식으로 규정하며 시작되었고, 이 기록은『청사고(清史稿)』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조서에 장백산지신으로 봉하오니, 오악과 같은 제사를 드려라.

십칠년25)에 무묵눌(武默訥)26)이 조서에 따라 가서 봉하여라. 세시와 망제(望祭)를 황실전례처럼 드려라(清史稿, 제283권).27)

청대 황실의 초기 장백산 제사의례는 망제(望祭)의 방식으로 진행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먼 곳의 장백산을 바라보고 제사를 드리는 것이다. 그 뒤로 황실은 장백산에 제사공간을 조성하려고 계획하였으며, 제사행위가 예부 등 상급관아에서 추진하며 조금씩 구체화되었다. 이에 관련된『강희조실록(康熙朝實錄)』의 기록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예부 등 상급의 관아는 조서에 따르라. 장백산은 우리 왕조의 발상지이다. 따라서 제사를 드리는 예전이 있어야 되며, 높이 존중해야 된다. 다만 민간이 살고 있는 집이 멀리 있어서, 묘우를 조성하기가 편하지 않다. 처음으로, 장백산을 장백산신으로 봉한다. 대신을 파견하여 장백산에 가서 좋은 땅을 고르게 하라. 그리고 장막을 설치하고 패를 설치하여 제사를 드려라. 매년 춘추에 두 번 제사를 드려라. 길이 멀고 질퍽하고 빗물에 막혀있을 수 있다. 그러면 녕고탑(甯古塔)28)관원이 오라(烏喇)에서 장백산에 망제(望祭)하라(康熙朝實錄, 제69권).29)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장백산신을 모시기 위한 제사공간을 조성하기 전에 장막을 설치하고, 패를 설치하여 제사를 드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춘추에 두 번 제사를 드렸고, 비가 내려서 장백산으로 가까이 가지 못할 경우 오라(烏喇)30)에서 장백산을 바라보며 제사 드린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청나라 강희제가 직접 송화강반에 와서 장백산을 향해 세 번 두 무릎을 꿇고, 아홉 번 머리를 땅에 대고 절하며 제사를 드렸다.

황제가 난여31)를 타고 황태자, 여러 왕, 대신을 거느리고 강변32)에 이르러 장백산에 세 번 두 무릎을 꿇고, 아홉 번 머리를 땅에 대고 절하였다. 예의를 끝마치고 북을 치며 성으로 돌아와서 머물러 있었다(扈從東巡日錄).33)

망제전이 조성되고 나서부터 장백산 황실 제사의례가 조금씩 정착하게 된다. 초기에는, 청우(青牛),34) 돼지, 사슴을 제물로 사용하였고, 제삿날은 매월 초하루, 그리고 15일 되는 날에는 이틀 동안 제사를 드렸다. 과거의 제사의례보다 조금 더 구체화 된 것이다. 이러한 자세한 기록은『장백산지(長白山志)』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매년 춘분, 추분에 청우(青牛) 20마리, 살찐 돼지 20마리, 사슴 1마리를 제물로 사용한다. 황제를 대신하여 장군, 부장군이 관원과 같이 장백산신에 제사를 드린다. 매월 초하루, 그리고 열다섯 되는 날에는 이틀 동안 제사를 드린다. 장군과 부장장군이 교대하며 망제전으로 가서 제사를 드린다(Jilin Local Chronicles committee, 2002).35)

그러다가, 망제전에서 장백산에 드리는 황실 제사의례는 완성되어 나타난다. 성경예부에서 직접 제물을 가져와서 제사를 드렸고 제물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자세한 기록은『길림통지(吉林通志)』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장백산 춘추 제사의례, 우선, 제사에 쓸 희생(犧牲)을 검사하고, 제삿날 문무관은 구슬을 건 평상복을 입고, 집사관은 조복(朝服)을 입는다. 지방관은 등(登) 하나, 형(鉶) 두 개, 보(簠) 두 개, 궤(簋) 두 개, 변(籩) 열 개, 두(豆) 열 개, 소(牛) 한 마리, 양(羊) 한 마리, 돼지(豕) 한 마리, 작(爵) 세 개, 촉(燭) 두 개, 등잔(鐙) 열 개를 설치한다. 제물은 성경예부(盛京禮部)에서 가져온다(吉林通志, 제26권).36)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춘추의 제사의례는 제물을 사용하기 전에 미리 검사를 하였으며, 문무관, 집사관의 제복에는 규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전의 의례보다 제물을 더 구체적으로 사용하였다. 제물로 등(登)37) 하나, 형(鉶)38) 두 개, 보(簠)39) 두 개, 궤(簋)40) 두 개, 변(籩)41) 열 개, 두(豆)42) 열 개, 소(牛) 한 마리, 양(羊) 한 마리, 돼지(豕) 한 마리, 작(爵)43) 세 개, 촉(燭)44) 두 개, 등(鐙)45) 열 개를 사용하였다.

춘추제 제사의례뿐만 아니라, 청나라 황실에서는 나라에 중대한 사건이 있을 때마다 망제전에 가서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황제가 직접 망제전에 가서 장백산에 제사를 드린 것은 건륭제이다.

건륭십구년46), 홍력(弘曆)47)은 동쪽에 있는 길림을 순사할 때, 직접 망제전에 가서 장백산을 멀리 바라보며 제사를 드렸다(長白山望祭殿冊).48) 그 뒤 가경(嘉慶),도광(道光),함풍(鹹豐),동치(同治),광서(光緒) 황제는 황실의 대리(大吏)를 파견하여 제사를 드렸다. 마지막으로 만주국시대 1934년에 청나라 말대 황제 부의(溥儀)가 망제전에 가서 장백산에 제사를 드렸다(Wang, 1989).

장백산 청나라 시대 황실 제사의례를 살펴보면 우선, 장백산 제사의례는 중국에서 오악과 같은 최고의 제사의례로 진행되었다. 망제전을 조성하기 전에는 송화강반에서 멀리 장백산을 바라보며 제사를 드리다가 망제전이 조성되고 나서부터 제사의례가 점차 구체화 되었으며, 춘추에 정기적으로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또한 국가에 대사가 있을 때마다 망제전에 가서 장백산신에게 제사 드렸다. 즉, 청나라 황실에 있어서 장백산신에게 드리는 제사의례는 청나라 국가의 안정 그리고 번영과 직결되는 최고의 신성한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4. 근대 민간 의례 및 금기

근대 장백산의 신성한 활동은 주로 민간에서 나타났으며, 제사의례와 금기가 존재하였다. 장백산으로 이주한 다수의 한족과 장백산에 남아있던 소수의 팔기병(八旗兵) 가족들이 생산활동을 다시 하면서 민간 제사의례가 생긴 것이다. 주로는 장백산에서 생산활동하는 과정에 제사를 드렸으며, 제사대상은 인격화된 신산신노파두(山神老把頭), 장백산 자체인 산신(山神), 장백산 호랑이를 인격화 한 산신 할아버지(山神爺)로 나타났다. 또한 근대에는 인삼을 캐는 과정에 금기가 구체화 되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장백산에서 인삼을 캐러 가는 사람한테는 산신이 사람의 형상으로 나타났다. 노파두(老把頭)로 속칭되는 산신의 제삿날은 음력 3월 16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기록은『무송현지(撫松縣志)』,『화전현지(樺甸縣志)』,『안도현지(安圖縣志)』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무송현지(撫松縣志)』

음력 3월16일은 노파두(老把頭)의 생일이다. 이날 집집마다 고기와 술을 사서 노파두묘 앞에 바친다(撫松縣志, 제4권).49)

『화전현지(樺甸縣志)』

16일은 '산신탄신일'이다. 중요한 명절로 여겨야 한다. 마을에서는 반드시 향으로 산신을 받들고, 술과 고기를 준비하고, 하루 동안 작업을 멈춰야 한다(樺甸縣志).50)

『안도현지(安圖縣志)』

마을 사람들은 앞 다투어 술과 고기를 구매하고 중요한 명절 3월16일을 맞이한다(安圖縣志).51)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음력 3월 16일 산신노파두절(山神老把頭節)은 장백산을 둘러싸고 있는 무송현, 화전현, 안도현 등 도시의 중요한 제사행사이다. 장백산에서 인삼 캐는 활동으로 생활을 유지해야 했던 그들한테는 산신노파두절이 청명과 추석보다 더 중요한 제삿날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장백산에서 인삼을 채집하는 활동에는 이 지역만의 특유한 방산언어(放山語言)52)와 금기가 존재한다. 이러한 장백산 채삼습속(采參習俗)은 2008년 6월에 국가 무형문화재에 등재되었다.53) 프레이저(Frazer)는 샤머니즘 금기는 그들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규제한다고 지적하였다(Frazer, 1998). 이러한 샤머니즘 금기규칙은 지역에서 종사하는 경제생산 방식과 거주지의 지리적 생태환경에 따라 독특한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다. 장백산 채삼습속도 이 지역 민족들만의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방산언어와 금기에서 나타났다. 우선, 채삼습속의 방산언어를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함산(喊山)』은 인삼을 발견했다고 전하는 것이며,『응산(應山)』은 인삼의 년품(年品)을 묻는 것이다.『함공산(喊空山)』은 인삼을 발견하지 못했을 때 방산인들을 격려하고 분발시키는 말이다(Jilin Local Chronicles committee, 2002).

다음으로, 장백산 채집활동에서 방산집단이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금기를 보면 다음과 같다.

방산인은 집단을 형성할 때 숫자 2와 4를 피한다. 2명이 동시에 인삼을 찾았을 때 다툼이 일어나면 분쟁을 조정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4(四)는 죽음을 뜻하는 사(死)자와 글자의 음이 같기에 피한다. 또한 산에 오르는 날짜도 매월 3, 13, 23일을 금일(禁日)로 하고, 산 속에 들어가면 매월 1, 15일은 인삼을 캐지 않는다. 채삼과정에 큰 것을 캐고, 작은 것은 남겨둔다. 사람들이 나무 그루터기에 앉지 못하는 것은 산신의 자리이기 때문이다. 소나무 관솔에 앉지 못하는 것은 산신의 초불이기 때문이다. 검게 태운 나무 위에 앉지 못하는 것은 산신의 붓이기 때문이다. 또한 노동을 통해 수확한 산물(產物) 외의 물건은 가져가지 못한다(Sun, 1996).

장백산 채삼습속의 금기행위를 보면 장백산 산신에 대한 보호의식이 담겨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크게는 채집대상 인삼에 대한 보호의식과 채집하는 과정에 방산인들의 활동을 규제하는 것을 통하여 환경을 보호한 것이다. 우선, 인삼은 큰 것만 캐고, 작은 것을 남겨두는 행위, 수확한 산물 외의 물건을 가져가지 못하는 행위, 금일(禁日)을 정하고 채집하지 않는 행위는 신성한 대상 인삼에 대한 보호의식을 말해준다. 다음으로, 방산인들은 나무 그루터기, 소나무 관솔, 검게 태운 나무 위 등을 산신의 신성한 사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하여 그들은 산속에서 휴식을 하거나 식사를 할 때 장백산 자연자원을 함부로 대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러한 속신과 금기행위는 산신에 대한 공경과 보호를 표하는 것이며, 만주족 민간의 구두전승과 행위시범으로 광범위하게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장백산에서 재물을 구하는 벌목하는 사람, 사냥하는 사람, 인삼을 캐러 가는 사람들은 장백산을 산신으로 여기고, 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이러한 기록은『안도현지(安圖縣志)』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안도현지(安圖縣志)』

산에서 재물을 구하는 벌목하는 사람, 사냥하는 사람, 전문으로 인삼을 캐러 가는 사람, 혼자 인삼을 캐러 가는 사람, 산에 있는 유민들, 산에서 많이 돌아다니는 사람들은 매일 향촉과 제물을 산신에게 바치고 보우를 빈다(安圖縣志).54)

기록에서 나타나듯이 장백산에서 재물을 구하는 사람들은 산에 들어가서 채집하러 갈 때마다 매일 향촉과 제물로 제사를 드렸다. 이 외에 일부 민족들은 장백산에서 재물을 구하는 과정에 제어하기 힘든 호랑이를 산신 할아버지로 인격화 시키고 제사 드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록은『해성현지(海城縣志)』,『쌍성현지(雙城縣志)』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해성현지(海城縣志)』

본 구역 동부는 산이 많다. 산신에게 공봉하여 호랑이, 이리같은 맹수들을 제압해야 한다. 주민들은 세시에 향불로 공봉해야 한다.... 산에 있는 주민들은 호랑이를 산신 할아버지(山神爺)라고 부르며 묘를 조성하고 제사를 드린다(海城縣志).55)

『쌍성현지(雙城縣志)』

산중에 있는 주민들은 호랑이를 제일 무서워한다. 그래서 호랑이를 '산신 할아버지'라고 부르고, 묘를 짓고 제사를 드린다(雙城縣志, 제3권).56)

기록에서 나타나듯이 사람들은 호랑이에게 제사를 드릴 때 산속에 묘를 조성하고 향불을 사용하였다. 요약하면, 근대의 장백산 신성한 활동은 장백산에서 민족들이 생산활동을 하는 과정에 생긴 결과물이며, 그들의 제사의례와 금기에는 장백산 자연을 보호하는 의식이 담겨 있었다.

Ⅴ. 시대별 신성한 활동의 변천

청나라 이전 시대부터 근대까지의 신성한 활동은 다양한 민족들의 신앙문화와 시대적인 수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또한 의미도 다양하게 변천하였다. 청나라 이전 시기에는 애니미즘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 샤머니즘 습속, 청나라 시기에는 황실의 성산으로서 신성성을 받들기 위한 황실 제사의례, 근대시기에는 이주민 한족들의 도교사상을 기본으로 한 제사활동으로 변천하였다.

청나라 이전 시대의 신성한 활동은 애니미즘과 샤머니즘 사상을 기반으로 형성된 제사형식으로서 주로 굿으로 나타났으며, 그들의 생계과정에 제어할 수 없는 자연현상과 동식물에 제사하는 것을 통하여 더 좋은 생활을 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소망이 담겨진 것과 생계를 유지하게 해주는 먹거리에 감사를 드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의 제사는 크게 화신제사, 성신제사, 산신제사, 버드나무신제사가 존재하였다(Table 1 참조).

Table 1. Ritual activities in the pre-Qing Dynasty
Period (시대) Sacrifice (제사대상) Sacrificial day (제삿날) Sacrificial form (제사형식) Purpose (목적)
Previous Qing Dynasty (청나라 이전 시대) Nature deity (자연신) God of fire (화신) The end of the month. (그믐날) Make a bonfire, put salt and food in the fire. Pursue the cold, remove impurities, pray for auspiciousness and prosperity for the entire tribe.
God of wind (바람신) Permanent (상시적) Offering three deer as a sacrifice. Peace of people and livestock.
God of star (성신) The first snow (첫눈) Daomu(倒木) cut down nine, vibrate trumpets and drums, and sacrifice. Beat the disaster and pray for winter feng shui.
The first month of the year(정월) Daomu(倒木) cut down nine, vibrate trumpets and drums, and sacrifice. Defeat the bills, eliminate infectious diseases, and pray for health.
God of mountain (산신) Before hunting (사냥을 하기 전) Sacrifice to the mountain god. Thank you for Sanshin’s food sergeant.
After hunting (사냥을 마치고) Hanchu(漢楚)refers to a small cauldron. Various meats cooked in the oven are sacrificed and sacrificed.
Willows (버드나무신) When the river is dry (강물이 마를 때) Walking around mountains, mountain peaks, riversides, streams, and beaches where the goddess wearing willows hunts or gathers. Bringing a lot of rain and water to pray for the peace and abundance of the villagers.
Permanent (상시적) Willow branches are erected in front of the Fuotuomama(佛托媽媽). It is widely used in rituals for taking possession of children and praying for the prosperity of the village and family life.
Download Excel Table

금나라 여진족이 장백산에 대한 왕실 제사의례는 사악(四嶽)과 동일하게 진행되었고,57) 매년 춘추에 두 번 진행하였으며, 일품의 예의와 삼헌 의식을 가지고 제사를 드렸다. 이 시대의 예물에 면류관과 구장복이 있는 것을 보아도 장백산이 왕과 같은 지위에 있는 금나라에서 가장 신성한 산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나라 만주족이 장백산에 대한 황실 제사의례는 오악과 같은 형식으로 진행되었다.58) 청나라 장백산 제사는 강희제 시기부터 시작되었으며, 초기의 망제(望祭) 제사방식에서 점차 예부, 상급관아에서 추진하며 조금씩 구체화 되다가 망제전이 조성되고 나서 의례방식이 완성되어 나타났다. 망제전을 조성하기 전에는 강희제가 송화강반에 가서 장백산에 망제하였고, 망제전이 조성되고 나서는 황제가 직접 혹은 관원이 황제를 대신하여 정기적으로 매월 초 또는 춘추에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이 외에도 국가에서 대사가 있을 때마다 망제전에 가서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그리고 망제전에서 장백산신에게 제사 드리는 황실 제사의례는 제도화된 제물과 제기가 존재하였다. 또한 황제가 직접 장백산에 망제(望祭)하러 가면서 장백산의 신성성을 국가적 차원으로 승격시켰다(Table 2 참조).

Table 2. The royal rituals of the Jin Dynasty, the royal rituals of the Qing Dynasty
Period (시대) Sacrifice (제사대상) Sacrificial day (제삿날) Sacrificial form (제사형식) Purpose (목적)
Jin Dynasty (금나라) King of Xingguolingying (흥국령응왕) Twice in spring and autumn (춘추에 두 번) We installed a jade book, a dragon ball, a crown, an akcha, a stick, and a tile drum to keep the courtesy of the finest, and offer a ritual for the three consort. proceed in the same way as offering sacrifices to Akjin(嶽鎮). A royal ritual given to honor the sacredness as a symbol of the Jin Dynasty and the Jurchen tribe.
Qing Dynasty (청나라) Changbai Mountain God (장백산신) Twice in spring and autumn (춘추에 두 번) In the early days, rites were made in a way of viewing and installing tents and plaques. An imperial rite offered to honor the sacred as a symbol of the Qing Dynasty and the Manchus.
20 years of Kangxi (강희제 이십년 1681.03.25) Emperor Kangxi took the crown prince and many kings and ministers to the Songhua River and used the method of Wangji(望祭) to worship.
Month ritual, spring summer ritual, the day when the country has important things (월제, 춘추제, 국가에 대사가 있는 날) The initial ritual method after creating Wangji Temple(望祭殿). use of twenty blue cows, twenty fat pigs, and one deer as sacrifices.
After creating the temple of Wang Ji, complete the sacrificial way. Inspect the sacrifices used for the ceremonies. On the day of the sacrifice, the civil and military officers wore ordinary uniforms with beads. The magistrates set up one sacrificial vessels(登), two small cauldrons for holding soup(铏), two vessels used to hold rice sorghum in ancient sacrifice(簠), two vessels of holding grain used at sacrifices(簋), ten vessels used to hold fruits during ancient sacrifices(籩) ten vessels used to hold meat during ancient sacrifices(豆), one cows, one sheep, one ping, three ancient drinking vessels(爵), two candles(燭), ten kind of cooking vessels(鐙). The sacrifice was brought from the Shengjing Rites(盛京禮部). The method of worship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ve Mountains(五嶽).
Download Excel Table

금나라 시대부터 청나라 시대까지의 신성한 활동의 변천을 보면 왕조의 신성한 산에서 황제의 신성한 산으로 신성성이 승격하였다. 제사의례도 격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청나라 시대에 장백산은 중국 최고의 신성한 산으로서 장백산신에게 드리는 황실 제사의례는 중국 전 지역에서 위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청나라 시대 장백산이 만주족에게 가장 위상이 높은 신성한 산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근대 장백산의 신성한 활동을 보면 황권의 해체로 인해 한족이 다시 장백산으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민간제사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 시대의 제사활동은 한족 이주민들에 의한 도교 제사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장백산 정상에 위치한 팔괘묘에서 장백산신에게 드리는 제사의례와 인격화 된 신 산신노파두를 중심으로 제사활동을 가지게 되었다. 팔괘묘에서 장백산신에게 제사 드리는 것은 도교문화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청나라 이전 시기 민족들이 샤머니즘 신앙과는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샤머니즘에서는 신령이 자연에 깃들어 있다고 여기지만, 도교에서는 자연 자체를 신격하여 숭배하는 것이다. 따라서 팔괘묘에서 장백산신에게 제사 드리는 것은 장백산 산 자체를 신격하여 숭배하고 신성시 하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팔괘의 술수를 통하여 장백산 자연과 장백산에서 생활하는 인간의 길흉을 판단하였다.61)

그리고 산신노파두에게 제사 드리는 행위도 인격화된 신 손량에게 제사 드리는 것으로서 도교문화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만 산신(자연)과 노파두(인격화된 신)을 분리해서 바라봐야 되는 것이다. 인격화된 신 노파두는 실존 인물 손량이며, 장백산에서 인삼을 채집하였던 선구자이다. 방산인들이 손량한테 제사 드리는 것은 장백산에서 인삼을 발견하고 보우를 바라기 때문이다. 즉, 인격화 된 신 손량과 근대 방산인들을 연결해주는 신성한 사물은 장백산 인삼인 것이다. 따라서 산신노파두의 산신은 장백산 자연 전체가 아니라 인삼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민간 제사의례 중의 제사금기와 방산언어는 장백산 생태에 대한 장기간의 관찰을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독특한 지역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민간 제사의례는 공통적으로 장백산 생태자원에 대한 채집과 사냥에서 형성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동식물 자원에 대해 존중하는 의식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장백산 생태자원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정리하면 근대 시기 한족의 도교문화가 도입되면서 장백산의 신성성은 자연 자체를 신격하여 신성하게 여기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근대의 민족들이 신성한 사물을 둘러싸고 행하는 신성한 활동은 채집하는 과정에 공통적으로 산신의 보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참조).

Table 3. Modern time folk sacrifice behavior
Period (시대) Sacrifice (제사대상) Sacrificial day (제삿날) Sacrificial form (제사형식) Purpose (목적)
Modern time (근대) Shanshenlaobatou (산신노파두) March 16 of the lunar calendar (음력 3월16일) Build a Shanshenlaobatou tomb, burn incense, and sacrifice alcohol and meat. Wishing bow.
Mountain god (산신) Everyday (매일) Loggers, hunters, and ginseng harvesters who seek for wealth in Changbai Mountain offer sacrifices with incense and offerings. Wishing bow.
Mountain animal god (산의 동물신) When gathering and hunting (채집과 사냥 시) Build a tomb and offer sacrifices with incense, or if you encounter an animal god while hunting, you will be prone to sacrifice. A ritual to thank for food and ensure their safety.
Download Excel Table

장백산에서 역사적 시대마다 신성한 사물을 중심으로 변천된 신성한 활동을 정리해 보면, 청나라 이전 시대는 생계를 위한 제사활동 행위, 청나라 시대는 국가적 상징을 지키기 위한 황실 제사의례, 근대는 민간의 생활과 생산을 위한 제사활동 행위로 변천하였다. 그리고 신성한 활동으로 바라 본 장백산의 의미는 청나라 이전 시대 생계의 산에서 청나라 시대 국가의 산으로 위상이 승격하였다가 근대 생산의 산으로 변화하였다.

Ⅵ. 결론

본 연구는 장백산 신성성을 역사적 사료에 입각하여 시대적으로 변천해 온 의미를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장백산 신성성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시대별 민족들의 신앙문화와 장백산 공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성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성현으로 드러나는 신성한 사물과 신성한 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신성한 활동을 고찰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가지고 장백산 신성성의 변천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장백산 신성한 활동은 시대별로 다음과 같이 변천하였다. 청나라 이전 시대 민간들은 생계와 생존을 위한 화신제사, 성신제사, 산신제사, 버드나무신제사를 하였고, 금나라 왕은 악진(嶽鎮)과 같은 제사의례로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청나라 시대 황제는 망제전(望祭殿)을 조성하고, 직접 가거나 관원을 파견하여 국가를 상징하는 최고의 제사의례로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근대에는 장백산 정상에 팔괘묘(八卦庙)를 조성하고,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리거나, 팔괘의 술수를 통하여 장백산 자연과 장백산에서 생활하는 인간들의 길흉을 판단하였다. 또한 이 시기의 민간들은 생활과 생산을 위하여 인격화 된 신 산신노파두를 중심으로 제사활동을 하였다. 정리하면 장백산의 신성한 활동은 청나라 이전 시기 애니미즘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 샤머니즘 제사활동, 청나라 시기 황실의 성산으로서 신성성을 받들기 위한 최고의 황실 제사의례, 근대시기에는 이주민들의 도교사상을 기본으로 한 제사활동으로 변천하였다.

본 연구는 장백산 신성한 활동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해석하는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장백산에서 시대별로 나타난 신성한 활동을 통하여 장백산의 역사적 층위와 가치를 재정의할 수 있다. 둘째, 급속한 관광개발에 의해 사라지는 장백산의 신성성 문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다. 셋째, 장백산에 대한 문화관광을 개발하거나 추진할 때 무형문화 유산으로 사용 가능하다. 넷째, 향후 문화유산 등재 시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러 사료와 다양한 실증적 자료를 기반으로 장백산의 신성성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연구하고자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한계가 불가피했다. 금나라 이전 시기의 사료는 구두 전승과 신화가 되는 자료가 많아서 구체적인 시대를 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음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추후에 장백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한민족의 백두산과 중국의 장백산은 같은 산으로서 분명히 연결고리가 존재한다. 따라서 중국과 한민족의 장백산(백두산) 신성한 활동에 대한 비교연구 등이 후속과제로 남는다.

Notes

주 1. 중국 연변조선족 자치주 안도현 남부 장백산 자락에 위치한 도시이다.

주 2. 중국 연변조선족 자치주와 인접한 장백산 서편에 위치한 도시이다.

주 3. 이도백하(二道白河)와 백산시에 위치한 과거의 촌락을 가리킨다.

주 4. 홍기촌(紅旗村)과 내두산촌(奶頭山村)은 중국 연변조선족 자치주 안도현에 위치한 조선족 전통마을이다.

주 5. 장백산 현지인들에게 인터뷰를 하고 답변을 들은 내용이다.

주 6. 제사의 사전적 정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19년 06월 16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8089&cid=46649&categoryId=46649

주 7. 제사형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19년 06월 16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8089&cid=46649&categoryId=46649.

주 8. 봉선(封禪)의 정의, 百度百科. 2019년 06월 16일 접속, https://baikebaidu.com/item/%E5%B0%81%E7%A6%85/2415311?fr=aladdin.

주 9. 滿族及其先民,每年除夕還要在院子裏架柴點火, 火光映空, 預蔔來歲平安. 族人們還要往火裏投鹽, 食品, 酒菜, 並且叩拜火堆.

주 10. 初夕,教使及夷離畢率執事郎君至殿前,以鹽及羊羔置爐中燎之. 巫及大 巫以次贊祝火神.

주 11. 장백산 무성한 숲에서 생활한 여진족을 가리킨다.

주 12. 만주어로서 북두칠성을 가리킨다.

주 13. 바람에 의해 무너진 나무이다.

주 14. 東海星祭一歲兩舉,可單祭星,亦可與祭祖合祭,初雪祭星爲禳祭冬圍豐盈;正月祭星爲除祟祛瘟,祈祝康寧。屆時均擇晴夜,初雪祭星要在那丹烏斯哈升上東天時,燒伐木大棵倒木九座,螺號鼓梆齊鳴震天. 所燃九個火堆,熊熊煙氣像九條通天白柱,俗稱星橋.

주 15. 사냥꾼의 우두머리를 가리킨다.

주 16. 작은 가마솥을 가리킨다.

주 17. 集體所捕獲的獵物由阿布達負責平均分配。對沒有捕到獵物的人,由阿布達在在捕到的獵物中撥給一份。在每年冬季大型捕獵結束時,都要在山上祭祀班達瑪發(獵神), 由阿布達充當薩滿,點起堆貨,用漢楚(小鍋)煮熟各種肉類來祭神,有歌有舞,還要割掉三支烏鴉的頭以去不吉。然後用爬犁拉若豐富的獵物回到村裏.

주 18. 每當遇到海退潮, 江河幹涸時,該部族就舉行闔族的祭柳大典. 祭柳時,由女罕斯呼林選貌美女子9人或17人, 甚至多達33人, 全身赤裸, 僅在腰間圍上用柳枝葉編成的柳圍,代表柳神或海神, 水神. 族人圍住這些神女, 往她們身上灑鹿血, 米酒和潔淨的江水. 神女們隨之從部落住地到山野, 峰巔, 再到河岸, 溪畔, 海邊, 把部落族人經常活動的四方都走遍. 一路上邊走邊舞, 邊唱邊叫, 氣氛十分壯烈. 走過的地方都要用灑鹿血, 河水, 祭柳神, 海神等諸神靈, 以使神靈庇佑部落人安魚豐, 風調雨順. 在祭祀期間,代表柳神的神女們不能回家,得住在水上.

주 19. 금나라의 중심 행정기관을 가리킨다.

주 20. 막을 둘러치고 임금이 쉬거나 제사를 드리는 곳이다.

주 21. 大定十五年三月, 奏定封冊儀物, 冠九旒, 服九章, 玉圭, 玉冊, 函, 香, 幣, 冊, 祝. 遣使副各一員, 詣會寧府. 行禮散齋二口, 致齋一日. 所司於廟中陳設如儀. 廟門外設玉冊, 袞冕, 幄次, 牙杖, 旗鼓從物等. 視一品儀. 禮用三獻, 如祭嶽鎮. 每歲降香, 命有司春秋二仲擇日致祭.

주 22. 악진(嶽鎮)의 정의, 百度百科, 2019년 07월 03일 접속, https://baike.baidu.com/item/%E5%B2%B3%E9%95%87/2274937

주 23. 왕의 정복인 구장복(九章服)에 갖추어 쓴 예모(禮帽)를 가리킨다.

주 24. 왕위에 오를 때, 종묘제례, 정초의 하례식, 비(妃)를 맞을 때 등의 의식에 입은 왕의 대례복을 가리킨다.

주 25. 강희17년이며, 서기로는 1678년이다.

주 26. 청나라 조정의 종친이다.

주 27. 疏聞,詔封長白山之神,秩祀如五嶽。十七年,命武默訥齎敕往封,歲時望祭如典禮.

주 28. 청나라 초기 길림에 주둔해 있던 팔기병 중 최고의 직위를 가진 장관이다.

주 29. 禮部等衙門遵㫖議覆, 長白山, 系本朝發祥之地, 祀典宜崇. 但民舍遼遠, 不便建廟. 請封爲長白山之神. 初次往封, 遣大臣詣山擇地, 設帳幄立牌致祭. 其每年春秋二祭, 道遠路濘, 或雨水阻隔, 應交甯古塔官員, 在烏喇地方望祭.

주 30. 현 길림시를 가리킨다.

주 31. 임금이 거둥할 때 타고 다니던 가마이다.

주 32. 송화강반을 가리킨다.

주 33. 皇上乘鑾輿率皇太子及諸王大臣從官至江幹望長白山行三跪九叩禮畢鼓吹入城駐.

주 34. 고대에 살았던 푸르고 검은 털을 가진 들소의 일종이다.

주 35. 每至春分、秋分備青牛二十條、肥豬二十口、羊二十只、鹿一頭, 作爲祭祀牲品, 由將軍、副都統率領官員, 在這裏代皇帝望祭長白山神; 每月朔(初一)、望(十五)兩日, 由將軍和副都統輪流到望祭殿拈香致祀.

주 36. 春秋致祭:長白山之禮, 前期省牲, 視牲, 文武各官俱穿常服掛珠. 祭日, 承祭, 執事各官均穿朝服. 地方官陳設登一, 鉶二, 簠二, 簋二, 籩十, 豆十, 牛一, 羊一, 豕一, 爵三, 燭二, 鐙十盞 (祭品由盛京禮部頒到)畢.

주 37. 질로 만들며, 굽이 높고 모양이 두(豆)와 같은 그릇이다.

주 38. 고대에 제사 지낼 때 국을 담는 그릇이다.

주 39. 고대에 제사 지낼 때 곡물을 담는 그릇이다.

주 40. 고대에 제사 지낼 때 서직(黍稷)을 담던 귀가 달린 나무 그릇이다.

주 41. 고대에 제사 지낼 때 과실을 담는 제기이다.

주 42. 고대에 제사 지낼 때 고기를 담는 그릇이다.

주 43. 술잔이다.

주 44. 촛불이다.

주 45. 고대에 제사 지낼 때 익힌 음식을 담는 그릇이다.

주 46. 서기 1754이다.

주 47. 건륭제를 가리킨다.

주 48. 乾隆十九年, 弘曆東巡吉林, 親往望祭殿遙拜長白山.

주 49. 農曆三月十六日, 系老把頭之生日. 是日, 家家沽酒市肉, 獻於老把頭之廟前.

주 50. 十六日爲‘山神誕辰’,境中視爲重節。鄉間必以香供奉山神,且備酒肉,輟工一日.

주 51. 木幫獵戶棒槌營以及散挖人參者流山間流民並一切求財於山常作山中旅行者鹹於是日各香燭供品向山神叩頭求其護佑且有宰牲以祀者鄉人亦皆重視此日爭購酒肉以度三月十六日.

주 52. 장백산에 인삼 캐러 가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주 53. 장백산 채삼습속(采參習俗) 설명, 百度百科 2019년 07월 04일 접속, https://baike.baidu.com/item/%E9%95%BF%E7%99%BD%E5%B1%B1%E9%87%87%E5%8F%82%E4%B9%A0%E4%BF%97/3418218

주 54. 木幫獵戶棒槌營以及散挖人參者流山間流民並一切求財於山常作山中旅行者鹹於是日各香燭供品向山神叩頭求其護佑且有宰牲以祀者鄉人亦皆重視此日爭購酒肉以度三月十六日.

주 55. 本境東部多山供奉山神以鎮虎狼及諸猛獸居民歲時供奉香火山中居民稱虎爲山神爺而立廟祀之.

주 56. 山中居民最畏虎遂稱虎爲山神爺而立廟祀之廟亦若土地廟然平原崇奉者寡.

주 57. 『금사(金史)』제35권 예지(禮志) 8의 기록 중 악진(嶽鎮)에 제사를 드리는 것과 동일하게 진행하라고 기록되어 있다.

주 58. 『청사고(清史稿)』 기록 중 조서에 장백산지신으로 봉하오니, 오악과 같은 제사를 드리라고 기록되어 있다.

주 59. 바람에 의해 무너진 나무를 가리킨다.

주 60. 작은 가마솥을 가리킨다.

주 61. 팔괘의 시작은 역경에서 출발하므로 유교라고 할 수 있지만, 한나라(漢朝)시대에 도교에서 역경의 음양, 팔괘, 오행으로부터 많은 술수(術數)를 만들면서 도교에서 사용하게 된다.

References

1.

A record of the retinue's tour to the East(扈從東巡日錄).

2.

Antu county annals(安圖縣志).

3.

BES Consulting Group(2011) Changbai Mountain Tourism Development Master Plan. Shanghai: BES Consulting Group.

4.

Chen, H.(2011) Research on the worship of Changbai Mountain. Social Science Front 3: 104-110.

5.

Diao, S. R.(2003) An exam ination and differentiation over Mukedeng's Dem arcation and borderland investigation in the reign of Kangxi. China's Borderland History and Geography Studies 13(3): 45-56.

6.

Documents of History of Qing Dynasty(清史稿, 283).

7.

Du, J. J.(2010) The manchu emperor of Qing Dynasty's high deification of Changbai Mountain and its sacrificial ceremony. Manzu Minority Research 3: 8-12.

8.

Durkheim, E.(2013) Les Formes ëlémentaires De La Vie Religieuse. Paris: PUF edition.

9.

Eliade, M.(1987)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e Nature of Religion.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0.

Frazer, J. G.(2017) Golden Bough. Chicage: Independently published.

11.

Fu, Y. G.(1988) A study on the sacrifice customs of stars of Manchu shamanism. Journal of North Minzu 1: 58-99.

12.

Fu, Y. G.(1990) Shamanism and Mythology. Liao Ning: Liaoning University Press.

13.

Fu, Y. G. andMeng, H. Y.(1991) Manchu Shamanism Research. Beijing:Peking University Press.

14.

Fusong County Annals(撫松縣志).

15.

Gong, J. Z.(2002) Liu Jianfeng and Changbai Mountain. Journal of Beihua University 3(2): 76-78.

16.

Haicheng County Annals(海城縣志).

17.

History of Jin(金史, 35, 禮志, 8).

18.

History of Liao(遼史, 禮志, 歲除儀).

19.

Huadian County Annals(樺甸縣志).

20.

Jilin chorography(吉林通志, 26).

21.

Jilin Local Chronicles committee(2002) Annals of Changbai Mountain. Changchun: Jilin People's Publishing House.

22.

Levy-Bruhl, L.(2015) How natives think. Winnetka: Martino Fine Books.

23.

Li, C. S.(2003) A 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 myths and legends about the Changbai Mountains. DongJiang Journal 20(3): 16-18.

24.

Li, Z. R.(2000) The appointment of Changbai Mountain in Qing Dynasty and its influence on manchu social culture. Inner Mongolia Social Sciences 122(4): 44-50.

25.

Liu, H. S.(2014) Chinese Changbai Mountain Culture. Ji Lin: Jilin Publishing Group Co. Ltd.

26.

Malinowski, B.(1992) Magic, Science and Religion and Other Essays. Long Grove: Waveland Pr Inc.

27.

Mu, Y. J.(1984) The Manchu "Bala people" living in Zhangguangcailing. Northern Cultural Relics 2: 64-68.

28.

Records of Kangxi Dynasty(康熙朝實錄, 69).

29.

Shuangcheng County Annals(雙城縣志, 3).

30.

Sun, S. F.(1996) Shanshen Laobatou and its worship practices. Folklore Research 4: 73-79.

31.

Wang, J. P.(1989) Changbai Mountain Annals. Jilin: Jilin Literature and History Publishing House.

32.

Wang, S. Y.(1986) Heilongjiang folk literature, four episodes, manchu nationality research. Hei Longjiang: Heilongjiang Branch of China Folk Literature Research Association.

33.

Zhang, Q.(2009) Manchu national consciousness and Changbai Mountain in the Early Qing Dynasty. Shenyang Palace Museum Journal 2: 20-27.

34.

Zhu, L.(2004) Research on the Types and Development Models of Towns Outside Wicker in the Qing Dynasty. MA. Dissertation. Northeast Norm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