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식물군집구조
1) 고정조사구 개요
고정조사구 1은 과거 Lee et al.(2006)의 연구에서 설정한 신갈나무 군락(1,200m2)과 동일한 곳을 조사․분석하였고, 고정조사구 2∼8은 2000년에 설정한 고정조사구로 조사구별 면적은 400m2(20m×20m)이다. 식생 조사 군락은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 신갈나무-팥배나무-음나무군락, 졸참나무-갈참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아까시나무군락, 산벚나무-느티나무군락, 산벚나무-신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신갈나무군락이었다. 조사구의 향은 남동향, 북향, 남동향, 북동향, 북서향, 남서향에 해당되었고, 경사는 13°∼31˚로 분포하였다. 교목층 평균 수고는 16∼19m, 평균 흉고직경은 25∼35cm, 울폐도 30∼70%이었으며, 아교목층 평균수고는 4∼7m, 평균 흉고직경은 4∼10cm, 울폐도는 10∼40%이었다. 관목층 평균수고는 2.0∼3.0m, 울폐도는 5∼90%이었다(Table 3 참조).
Table 3.
General condition of plants community structure’s fixed plot i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of the northern slope of Namsan(Mt.)
Community |
Plot 1 |
Plot 2 |
Plot 3 |
Plot 4 |
Plot 5 |
Plot 6 |
Plot 7 |
Plot 8 |
Area(m2) |
1,200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10m×10m×12 |
20m×20m |
20m×20m |
20m×20m |
20m×20m |
20m×20m |
20m×20m |
20m×20m |
Bearing |
N45E |
N15 |
N40 |
S80E |
S85E |
N70E |
N20W |
NW58E |
Slope(°) |
13 |
13 |
13 |
31 |
24 |
24 |
18 |
12 |
Canopy layer |
Average height(m) |
16 |
16 |
19 |
19 |
17 |
17 |
18 |
19 |
Average HRB(㎝) |
30 |
25 |
25 |
35 |
30 |
30 |
30 |
30 |
Plant cover ratio(%) |
50 |
30 |
60 |
60 |
50 |
60 |
70 |
60 |
Understory layer |
Average height(m) |
5 |
4 |
5 |
6 |
7 |
3 |
4 |
4 |
Average HRB(㎝) |
7 |
6 |
6 |
7 |
10 |
4 |
9 |
6 |
Plant cover ratio(%) |
40 |
20 |
30 |
30 |
40 |
10 |
30 |
30 |
Shrub layer |
Average height(m) |
3.0 |
2.0 |
2.0 |
3.0 |
3.0 |
2.5 |
2.0 |
2.0 |
Plant cover ratio(%) |
80 |
80 |
40 |
90 |
90 |
60 |
10 |
5 |
Herbaceous layer |
Length(m) |
0.5 |
0.5 |
0.3 |
0.3 |
0.3 |
0.5 |
0.3 |
0.3 |
Plant cover ratio(%) |
10 |
25 |
5 |
5 |
1 |
20 |
1 |
5 |
Download Excel Table
2) 식물군집구조 변화
(1) 고정조사구 1(신갈나무군락)
남산 신갈나무군락 고정조사구 1의 2016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I.P.: 69.00%)의 세력이 우세하였으며, 졸참나무, 갈참나무, 아까시나무, 벚나무가 함께 출현하였다.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I.P.: 35.21%)와 당단풍(I.P.: 29.52%)이 지속적으로 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그 외 팥배나무, 아까시나무, 산벚나무 등의 세력은 미미하였다. 관목층에서는 국수나무(I.P.: 14.93%), 담쟁이덩굴(I.P.: 13.18%), 신갈나무(I.P.: 11.68%) 순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수종별 평균상대우점치 변화를 살펴보면 신갈나무(M.I.P.: 44.35% → 50.27% → 48.39% → 37.24%)는 세력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팥배나무(M.I.P.: 11.41% → 8.81% → 9.63% → 9.00%) 다소 감소, 때죽나무(M.I.P.: 9.33% → 8.26% → 9.35% → 12.75%)와 당단풍(M.I.P.: 7.51% → 6.69% → 9.28% → 11.36%)의 세력이 다소 증가하였다. 교목 개체수 변화를 살펴보면 56 → 47 → 48 → 22로 크게 감소하였고, 2016년에 전체 출현 종수(35종)와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1.2405)는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남산 북사면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참나무시들음병 발병에 따른 방제 관리가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기존의 상층을 형성하고 있는 신갈나무 교목이 제거 관리되면서 수관이 개방된 하부에 다양한 관목이 출현하였기 때문이다(Table 4 참조).
Table 4.
Change of plant cluster structure in Plot 1 of Qureus mongolica forest of the northern slope of Namsan(Mt.)(1994~2016) (Area: 1,200m2)
Layer |
Species |
1994 |
1998 |
2005 |
2016 |
C1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Relative ratio (%) |
Quercus mongolica
|
84.37
|
4.48
|
4.02
|
44.35
|
90.74
|
13.06
|
3.25
|
50.27
|
88.49
|
8.96
|
6.95
|
48.39
|
69.00
|
2.37
|
11.68
|
37.24
|
Styrax japonicus
|
-
|
25.84
|
4.31
|
9.33
|
-
|
23.12
|
3.31
|
8.26
|
-
|
26.65
|
2.82
|
9.35
|
-
|
35.21
|
6.05
|
12.75
|
Acer pseudosieboldianum
|
-
|
16.18
|
12.67
|
7.51
|
-
|
13.65
|
12.86
|
6.69
|
1.06
|
14.32
|
23.86
|
9.28
|
-
|
29.52
|
9.14
|
11.36
|
Sorbus alnifolia
|
2.48
|
24.61
|
11.82
|
11.41
|
-
|
21.58
|
9.72
|
8.81
|
1.08
|
24.02
|
6.51
|
9.63
|
6.14
|
15.85
|
3.88
|
9.00
|
Quercus serrata
|
- |
2.32 |
- |
0.77 |
4.32 |
- |
- |
2.16 |
5.99 |
1.70 |
1.36 |
3.79 |
9.37 |
- |
- |
4.69 |
Quercus aliena
|
8.86 |
- |
- |
4.43 |
2.75 |
- |
- |
1.38 |
- |
- |
0.17 |
0.03 |
9.01 |
- |
- |
4.51 |
Robinia pseudoacacia
|
1.59
|
6.21
|
2.56
|
3.29
|
2.19
|
6.47
|
15.04
|
5.76
|
3.38
|
5.39
|
6.65
|
4.60
|
2.29
|
3.76
|
8.00
|
3.73
|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
-
|
-
|
15.80
|
2.63
|
-
|
-
|
15.03
|
2.51
|
-
|
-
|
19.46
|
3.24
|
-
|
-
|
14.93
|
2.49
|
Parthenocissus teicuspidata
|
- |
- |
8.30 |
1.38 |
- |
- |
4.12 |
0.69 |
- |
- |
2.52 |
0.42 |
- |
- |
13.18 |
2.20 |
Prunus sargentii
|
2.70 |
5.59 |
1.33 |
3.44 |
- |
9.16 |
3.38 |
3.62 |
- |
8.60 |
- |
2.87 |
4.20 |
4.05 |
2.07 |
3.80 |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
- |
8.83 |
24.25 |
6.99 |
- |
9.29 |
17.19 |
5.96 |
- |
7.20 |
7.77 |
3.70 |
- |
1.09 |
6.91 |
1.52 |
Cornus controversa
|
- |
1.12 |
- |
0.37 |
- |
0.91 |
- |
0.30 |
- |
1.36 |
0.83 |
0.59 |
- |
3.50 |
- |
1.17 |
Viburnum erosum
|
- |
1.07 |
3.48 |
0.94 |
- |
0.34 |
8.89 |
1.60 |
- |
0.42 |
14.89 |
2.62 |
- |
0.57 |
3.06 |
0.70 |
Carllicarpa japonica
|
- |
- |
- |
- |
- |
- |
0.76 |
0.13 |
- |
- |
2.18 |
0.36 |
- |
- |
3.87 |
0.65 |
Aralia elata
|
- |
- |
- |
- |
- |
- |
1.35 |
0.23 |
- |
- |
- |
- |
- |
- |
3.27 |
0.55 |
Acer palmatum
|
- |
- |
- |
- |
- |
0.41 |
- |
0.14 |
- |
0.66 |
- |
0.22 |
- |
1.22 |
0.70 |
0.52 |
Zelkova serrata
|
- |
0.29 |
- |
0.10 |
- |
0.30 |
- |
0.10 |
- |
0.38 |
- |
0.13 |
- |
1.17 |
- |
0.39 |
Smilax sieboldii
|
- |
- |
1.99 |
0.32 |
- |
- |
2.78 |
0.46 |
- |
- |
1.39 |
0.23 |
- |
- |
2.14 |
0.36 |
Kalopanax septemlobus
|
- |
- |
1.91 |
0.32 |
- |
- |
- |
- |
- |
- |
0.67 |
0.11 |
- |
1.09 |
- |
0.36 |
Ligustrum obtusifolium
|
- |
- |
- |
- |
- |
- |
- |
- |
- |
- |
0.34 |
0.06 |
- |
- |
1.49 |
0.25 |
Lespedeza maximowiczii
|
- |
- |
0.69 |
0.12 |
- |
- |
- |
- |
- |
- |
- |
- |
- |
- |
1.50 |
0.25 |
Rubus crataegifoli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4 |
0.24 |
Ailanthus altissi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6 |
0.24 |
Fraxinus rhynchophylla
|
- |
0.31 |
- |
0.10 |
- |
0.30 |
- |
0.10 |
- |
0.34 |
- |
0.11 |
- |
0.63 |
- |
0.21 |
Lespedeza cyrtobotrya
|
- |
- |
2.28 |
0.38 |
- |
- |
1.52 |
0.25 |
- |
- |
- |
- |
- |
- |
1.13 |
0.19 |
Quercus acutissi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9 |
0.12 |
Morus bombyci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0 |
0.12 |
Castanea cren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50 |
0.08 |
Vitis coignetia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41 |
0.07 |
Rosa multiflor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41 |
0.07 |
Lespedeza bicolo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41 |
0.07 |
Morus alb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7 |
0.06 |
Rubus oldhami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5 |
0.06 |
Alnus sibiric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2 |
0.05 |
Rhus trichocarpa
|
- |
0.63 |
0.47 |
0.29 |
- |
- |
0.80 |
0.13 |
- |
- |
0.38 |
0.06 |
- |
- |
- |
- |
Maackia amurensis
|
- |
1.89 |
0.19 |
0.66 |
- |
1.41 |
- |
0.47 |
- |
- |
- |
- |
- |
- |
- |
-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
- |
0.63 |
0.40 |
0.28 |
- |
- |
- |
- |
- |
- |
0.48 |
0.08 |
- |
- |
- |
- |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
- |
- |
- |
- |
- |
- |
- |
- |
- |
- |
0.36 |
0.06 |
- |
- |
- |
- |
Lindera obtusiloba
|
- |
- |
- |
- |
- |
- |
- |
- |
- |
- |
0.24 |
0.04 |
- |
- |
- |
- |
Euonymus oxyphyllus
|
- |
- |
- |
- |
- |
- |
- |
- |
- |
- |
0.17 |
0.03 |
- |
- |
- |
- |
Celastrus orbiculatus
|
- |
- |
0.59 |
0.10 |
- |
- |
- |
- |
- |
- |
- |
- |
- |
- |
- |
- |
Weigela subsessilis
|
- |
- |
2.39 |
0.40 |
- |
- |
- |
- |
- |
- |
- |
- |
- |
- |
- |
- |
Smilax china
|
- |
- |
0.55 |
0.09 |
- |
- |
- |
- |
- |
- |
- |
- |
- |
- |
- |
- |
The number of populatio |
56
|
187 |
1,044 |
1,287 |
47
|
186 |
636 |
869 |
48
|
160 |
1,228 |
1,436 |
22
|
102 |
640 |
764 |
Amount of species(species) |
26
|
22
|
25
|
35
|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H’) |
1.0921
|
1.0381
|
1.0633
|
1.2405
|
Various species diversity indices(2016) |
H’(Shannon) |
J’(evenness) |
D(dominance) |
H’max |
1.2405 |
0.8034 |
0.1966 |
1.5441 |
Download Excel Table
고정조사구 1 식물군집은 교목층에 신갈나무가 우점하면서 아교목층에서는 도시환경 적응성이 높은 때죽나무, 당단풍, 팥배나무의 세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본 군집은 교목층에 신갈나무와 함께 졸참나무와 갈참나무가 출현하고 있지만 북사면 급경사의 생육환경과 함께 신갈나무 맹아가 지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으므로 당분간 신갈나무군집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 고정조사구 2(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
남산 신갈나무군락 고정조사구 2의 2016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가 100.00%로 세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I.P.: 35.13%), 팥배나무(I.P.: 34.38%), 때죽나무(I.P.: 24.75%)가 서로 경쟁하는 상태이었다. 관목층에서는 국수나무(I.P.: 21.33%), 작살나무(I.P.: 17.39%), 당단풍(I.P.: 8.42%), 신갈나무(I.P.: 7.31%) 순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수종별 평균상대우점치 변화를 살펴보면 신갈나무(M.I.P.: 53.38% → 54.34% → 53.37% → 51.22%)는 큰 세력 변화가 없었으나, 당단풍(M.I.P.: 14.87% → 15.43% → 15.88% → 13.11%), 때죽나무(M.I.P.: 14.15% → 10.62% → 14.07% → 8.81%), 팥배나무(M.I.P.: 12.831% → 12.45% → 14.18% → 11.46%)는 세력이 다소 감소하였다. 교목개체수 변화를 살펴보면 17 → 15 → 17 → 3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관목층 개체수(228 → 168 → 104 → 128)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증가 추세로 바뀌었다. 2016년에 전체 출현 종수(18종)와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1.1166)는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남산 북사면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참나무시들음병 발병에 따른 방제 관리가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기존의 상층을 형성하고 있는 신갈나무 교목이 상당수 제거 관리되면서 수관이 크게 개방된 하부에 다양한 관목이 출현한 것이다(Table 5 참조).
Table 5.
Table 5. Change of plant cluster structure in Plot 2 of Qureus mongolica forest of the northern slope of Namsan(Mt.)(2000~2016) (Area: 400m2)
Layer |
Species |
2000 |
2005 |
2007 |
2016 |
C1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Relative ratio (%) |
Quercus mongolica
|
100.00
|
-
|
20.30
|
53.38
|
100.00
|
8.22
|
9.60
|
54.34
|
100.00
|
8.16
|
3.90
|
53.37
|
100.00
|
-
|
7.31
|
51.22
|
Acer pseudosieboldianum
|
-
|
24.04
|
41.14
|
14.87
|
-
|
24.59
|
43.37
|
15.43
|
-
|
24.05
|
47.18
|
15.88
|
-
|
35.13
|
8.42
|
13.11
|
Sorbus alnifolia
|
-
|
35.48
|
6.03
|
12.83
|
-
|
34.29
|
6.10
|
12.45
|
-
|
30.41
|
24.24
|
14.18
|
-
|
34.38
|
-
|
11.46
|
Styrax japonicus
|
-
|
38.73
|
7.46
|
14.15
|
-
|
29.71
|
4.29
|
10.62
|
-
|
34.25
|
15.91
|
14.07
|
-
|
24.75
|
3.36
|
8.81
|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
-
|
-
|
10.36
|
1.73
|
-
|
-
|
8.05
|
1.34
|
-
|
-
|
2.03
|
0.34
|
-
|
-
|
21.33
|
3.56
|
Carllicarpa japonic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39 |
2.90 |
Lespedeza cyrtobotry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3 |
1.46 |
Morus alb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1 |
1.30 |
Carpinus laxiflora
|
-
|
1.75
|
-
|
0.58
|
-
|
1.76
|
-
|
0.59
|
-
|
1.79
|
-
|
0.60
|
-
|
3.45
|
-
|
1.15
|
Vitis coignetia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1 |
0.87 |
Zelkova serr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4 |
0.79 |
Magnolia obovata
|
- |
- |
- |
- |
- |
1.43 |
- |
0.48 |
- |
1.35 |
- |
0.45 |
- |
2.30 |
- |
0.77 |
Zanthoxylum piperit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6 |
0.56 |
Aralia el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6 |
0.56 |
Cornus controvers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6 |
0.56 |
Robinia pseudoacaci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4 |
0.41 |
Rubus crataegifoli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
0.27 |
A. brevipeduncul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8 |
0.26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
- |
- |
2.97 |
0.50 |
- |
- |
- |
- |
- |
- |
2.17 |
0.36 |
- |
- |
- |
- |
Celastrus orbiculatus
|
- |
- |
0.93 |
0.16 |
- |
- |
- |
- |
- |
- |
- |
- |
- |
- |
- |
- |
Viburnum erosum
|
- |
- |
8.45 |
1.41 |
- |
- |
4.02 |
0.67 |
- |
- |
2.60 |
0.43 |
- |
- |
- |
- |
Prunus sargentii
|
- |
- |
1.48 |
0.25 |
- |
- |
1.36 |
0.23 |
- |
- |
- |
- |
- |
- |
- |
- |
Euonymus oxyphyllus
|
- |
- |
0.88 |
0.15 |
- |
- |
14.89 |
2.48 |
- |
- |
1.98 |
0.33 |
- |
- |
- |
- |
Rhus trichocarpa
|
- |
- |
- |
- |
- |
- |
1.44 |
0.24 |
- |
- |
- |
- |
- |
- |
- |
- |
Acer palmatum
|
- |
- |
- |
- |
- |
- |
6.88 |
1.15 |
- |
- |
- |
- |
- |
- |
- |
- |
The number of populatio |
17
|
39 |
228 |
284 |
15
|
37 |
168 |
220 |
17
|
38 |
104 |
159 |
3
|
33 |
128 |
164 |
Amount of species(species) |
11
|
12
|
10
|
18
|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H’) |
0.8021
|
0.8603
|
0.7582
|
1.1166
|
Various species diversity indices(2016) |
H’(Shannon) |
J’(evenness) |
D(dominance) |
H’max |
1.1166
|
0.8895 |
0.1105 |
1.2553 |
Download Excel Table
고정조사구 2 식물군집은 교목층에 신갈나무, 아교목층은 때죽나무, 팥배나무, 당단풍이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본 군집의 천이 예측은 신갈나무 하부에 교목 성상으로 발달할 수 있는 수종이 미비하여 신갈나무 이후 천이여부 판단은 불가능하였다. Seol(2008)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본 군락은 신갈나무 하부에 팥배나무, 때죽나무, 당단풍나무가 아교목층 및 관목층을 이루며 서울 남산이 도시 환경오염과 인간 간섭에 지속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북사면 중앙부 고지대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3의 2016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I.P.: 60.32%)의 세력이 우세하였으며, 음나무, 팥배나무, 물푸레나무가 함께 출현하였다.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I.P.: 46.70%), 팥배나무(I.P.: 28.40%), 당단풍(I.P.: 22.5%)이 지속적으로 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관목층에서는 국수나무(I.P.: 14.50%), 때죽나무(12.11%), 담쟁이덩굴(I.P.: 9.95%), 덜꿩나무(I.P.: 9.60%) 순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수종별 평균상대우점치 변화를 살펴보면 신갈나무(M.I.P.: 42.20% → 36.89% → 36.47% → 30.89%)는 세력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팥배나무(M.I.P.: 13.88% → 14.53% → 15.82% → 17.02%)는 크게 증가하였다. 때죽나무(M.I.P.: 18.59% → 19.97% → 21.06% → 17.59%)와 당단풍(M.I.P.: 10.73% → 11.34% → 9.86% → 8.14%)은 세력이 다소 감소하였다. 교목 개체수 변화를 살펴보면 18 → 18 → 18 → 11로 감소하였고, 2016년에 전체 출현 종수(25종)와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1.2378)는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다른 조사구와 마찬가지로 참나무시들음병 발병에 따른 방제 관리가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기존의 상층을 형성하고 있는 신갈나무 교목이 일부 제거 관리되면서 수관이 개방된 하부에 다양한 관목이 출현한 것이다(Table 6 참조). 즉 얇은 수관층의 두께로 인해 숲의 하층에는 빛과 강우의 양이 증가하고, 이는 아교목층에 팥배나무와 같은 수종이 번성하는 원인이 되었다(Seol, 2008).
Table 6.
Change of plant cluster structure in Plot 3 of Qureus mongolica forest of the northern slope of Namsan(Mt.)(2000~2016) (Area: 400m2)
Layer |
Species |
2000 |
2005 |
2007 |
2016 |
C1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Relative ratio (%) |
Quercus mongolica
|
74.21
|
8.5
|
13.57
|
42.2
|
73.01
|
-
|
2.32
|
36.89
|
72.93
|
-
|
-
|
36.47
|
60.32
|
-
|
4.37
|
30.89
|
Styrax japonicus
|
-
|
52.34
|
6.86
|
18.59
|
-
|
58.5
|
2.83
|
19.97
|
-
|
56.47
|
13.42
|
21.06
|
-
|
46.7
|
12.11
|
17.59
|
Sorbus alnifolia
|
8.98
|
18.19
|
19.98
|
13.88
|
9.96
|
19.86
|
17.58
|
14.53
|
10.24
|
19.98
|
24.26
|
15.82
|
13.4
|
28.4
|
5.13
|
17.02
|
Kalopanax septemlobus
|
10.25
|
-
|
-
|
5.13
|
10.44
|
-
|
-
|
5.22
|
10.24
|
-
|
-
|
5.12
|
17.66
|
-
|
-
|
8.83
|
Acer pseudosieboldianum
|
-
|
20.97
|
22.45
|
10.73
|
-
|
21.64
|
24.78
|
11.34
|
-
|
23.55
|
12.08
|
9.86
|
-
|
22.5
|
3.85
|
8.14
|
Fraxinus rhynchophylla
|
6.56
|
-
|
2.07
|
3.63
|
6.59
|
-
|
2.4
|
3.7
|
6.59
|
-
|
1.3
|
3.51
|
8.63
|
-
|
4.31
|
5.03
|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
- |
- |
4.24 |
0.71 |
- |
- |
3.55 |
0.59 |
- |
- |
1.93 |
0.32 |
- |
- |
14.5 |
2.42 |
Parthenocissus teicuspidata
|
- |
- |
- |
- |
- |
- |
- |
- |
- |
- |
4.2 |
0.7 |
- |
- |
9.95 |
1.66 |
Viburnum erosum
|
- |
- |
19.46 |
3.24 |
- |
- |
33.59 |
5.6 |
- |
- |
29.69 |
4.95 |
- |
- |
9.6 |
1.6 |
Ailanthus altissi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
4.2 |
1.5 |
Carllicarpa japonica
|
- |
- |
3.37 |
0.56 |
- |
- |
4.76 |
0.79 |
- |
- |
5.69 |
0.95 |
- |
- |
4.23 |
0.71 |
Acer palmat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
0.7 |
R. chinensi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
0.65 |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3 |
0.52 |
Aralia el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3 |
0.52 |
Lespedeza maximowiczi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3 |
0.51 |
Ligustrum obtusifoli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7 |
0.41 |
Prunus sargentii
|
- |
- |
0.94 |
0.16 |
- |
- |
1.16 |
0.19 |
- |
- |
- |
- |
- |
- |
1.81 |
0.3 |
Robinia pseudoacaci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2 |
0.19 |
Rhododendron yedoens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 |
0.19 |
Euonymus oxyphyllus
|
- |
- |
- |
- |
- |
- |
- |
- |
- |
- |
1.54 |
0.26 |
- |
- |
1.04 |
0.17 |
Rubus crataegifoli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 |
0.12 |
Pueraria montana var. lob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 |
0.12 |
Zanthoxylum piperit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4 |
0.12 |
Tetradium danielli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2 |
0.12 |
Maackia amurensis
|
- |
- |
2.25 |
0.38 |
- |
- |
- |
- |
- |
- |
- |
- |
- |
- |
- |
- |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
- |
- |
3.43 |
0.57 |
- |
- |
7.03 |
1.17 |
- |
- |
4.6 |
0.77 |
- |
- |
- |
-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 |
- |
1.38 |
0.23 |
- |
- |
- |
- |
- |
- |
- |
- |
- |
- |
- |
- |
Lespedeza cyrtobotrya
|
- |
- |
- |
- |
- |
- |
- |
- |
- |
- |
1.3 |
0.22 |
- |
- |
- |
- |
The number of populatio |
18
|
25 |
252 |
295 |
18
|
23 |
176 |
217 |
18
|
22 |
164 |
204 |
11
|
22 |
292 |
325 |
Amount of species(species) |
13
|
11
|
13
|
25
|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H’) |
0.8911
|
0.8485
|
0.8892
|
1.2378
|
Various species diversity indices(2016) |
H’(Shannon) |
J’(evenness) |
D(dominance) |
H’max |
1.2378
|
0.8854 |
0.1146 |
1.3979 |
Download Excel Table
고정조사구 3은 16년간 교목층 수종 구성의 변화는 없었고, 아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가 팥배나무, 때죽나무, 당단풍 등의 세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2005년 도태된 이후 출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군집은 교목 성상의 차대목이 출현하지 않아 신갈나무군락 이후 천이 여부 판단은 불가능하였다.
(4) 고정조사구 4(졸참나무-갈참나무-신갈나무군락)
남산 중앙부 고지대 북사면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4의 2016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는 졸참나무(I.P.: 57.29%)가 세력이 우세하였으며, 신갈나무(I.P.: 27.62%), 산벚나무(I.P.: 15.09%)가 함께 출현하였다. 아교목층에서는 팥배나무(I.P.: 47.88%), 때죽나무(I.P.: 25.22%), 아까시나무(I.P.: 7.17%)이었다. 관목층에서는 담쟁이덩굴(I.P.: 13.43%), 졸참나무(I.P.: 11.48%), 국수나무(I.P.: 11.17%), 신갈나무(I.P.: 9.64%) 순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수종별 평균상대우점치 변화를 살펴보면 신갈나무(M.I.P.: 39.53% → 35.36% → 35.23% → 15.42%)는 세력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졸참나무(M.I.P.: 10.73% → 13.81% → 9.06% → 30.56%)는 증가하였다. 팥배나무(M.I.P.: 18.98% → 17.21% → 14.43% → 15.96%)와 산벚나무(M.I.P.: 9.55% → 10.22% → 11.71% → 8.52%)는 세력이 다소 감소하였다. 교목개체수 변화를 살펴보면 11 → 11 → 13 → 5로 크게 감소하였고, 2016년에 전체 출현 종수(30종)와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1.1999)는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참나무시들음병 발병에 따른 방제 관리에 의해 기존의 상층을 형성하고 있는 신갈나무 교목이 제거 관리되면서 수관이 개방된 하부에 다양한 관목이 출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7 참조).
Table 7.
Change of plant cluster structure in Plot 4 of Qureus mongolica forest of the northern slope of Namsan(Mt.)(2000~2016)(Area: 400m2)
Layer |
Species |
2000 |
2005 |
2007 |
2016 |
C1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Relative ratio (%) |
Quercus serrata
|
21.46
|
-
|
-
|
10.73
|
27.62
|
-
|
-
|
13.81
|
18.11
|
-
|
-
|
9.06
|
57.29
|
-
|
11.48
|
30.56
|
Sorbus alnifolia
|
-
|
53.66
|
6.55
|
18.98
|
-
|
51.63
|
-
|
17.21
|
6.27
|
33.87
|
-
|
14.43
|
-
|
47.88
|
-
|
15.96
|
Quercus mongolica
|
70.76
|
4.43
|
16.04
|
39.53
|
65.61
|
4.05
|
7.24
|
35.36
|
64.87
|
-
|
16.79
|
35.23
|
27.62
|
-
|
9.64
|
15.42
|
Styrax japonicus
|
-
|
18.34
|
3.09
|
6.63
|
-
|
18.06
|
4.31
|
6.74
|
-
|
40.42
|
-
|
13.47
|
-
|
25.22
|
0.7
|
8.52
|
Prunus sargentii
|
7.78
|
16.99
|
-
|
9.55
|
6.77
|
20.5
|
-
|
10.22
|
10.74
|
19.01
|
-
|
11.71
|
15.09
|
2.16
|
0.48
|
8.35
|
Robinia pseudoacacia
|
- |
- |
0.65 |
0.11 |
- |
- |
2.22 |
0.37 |
- |
- |
2.78 |
0.46 |
- |
7.17 |
- |
2.39 |
Aralia elata
|
- |
- |
2.8 |
0.47 |
- |
- |
0.81 |
0.14 |
- |
- |
- |
- |
- |
3.65 |
6.71 |
2.34 |
Parthenocissus teicuspidata
|
- |
- |
4.01 |
0.67 |
- |
- |
1.63 |
0.27 |
- |
- |
4.25 |
0.71 |
- |
- |
13.43 |
2.24 |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
-
|
-
|
19.64
|
3.27
|
-
|
-
|
11.79
|
1.97
|
-
|
-
|
33.13
|
5.52
|
-
|
-
|
11.17
|
1.86
|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1 |
3.05 |
1.81 |
Acer pseudosieboldianum
|
- |
2.08 |
- |
0.69 |
- |
1.91 |
- |
0.64 |
- |
2.17 |
3.38 |
1.29 |
- |
2.16 |
4.61 |
1.49 |
Callicarpa japonica
|
- |
- |
6.34 |
1.06 |
- |
- |
15.76 |
2.63 |
- |
- |
9.05 |
1.51 |
- |
- |
7.73 |
1.29 |
Smilax china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3 |
- |
1.18 |
Viburnum erosum
|
- |
- |
13.35 |
2.23 |
- |
- |
33.48 |
5.58 |
- |
- |
8.88 |
1.48 |
- |
- |
6.63 |
1.11 |
Fraxinus rhynchophylla
|
- |
2.16 |
- |
0.72 |
- |
1.91 |
- |
0.64 |
- |
2.17 |
- |
0.72 |
- |
2.27 |
- |
0.76 |
Euonymus oxyphyllus
|
- |
2.34 |
1.66 |
1.06 |
- |
1.94 |
6.39 |
1.71 |
- |
2.36 |
5.99 |
1.78 |
- |
- |
4.38 |
0.73 |
Paulownia coreana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5 |
- |
0.68 |
Kalopanax septemlobus
|
- |
- |
4.43 |
0.74 |
- |
- |
3.88 |
0.65 |
- |
- |
1.06 |
0.18 |
- |
- |
4.03 |
0.67 |
Rubus crataegifoli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5 |
0.63 |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
- |
- |
9.98 |
1.66 |
- |
- |
5.85 |
0.98 |
- |
- |
7.73 |
1.29 |
- |
- |
2.79 |
0.47 |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5 |
0.28 |
Ligustrum obtusifolium
|
- |
- |
- |
- |
- |
- |
0.86 |
0.14 |
- |
- |
- |
- |
- |
- |
1.48 |
0.25 |
Ailanthus altissi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2 |
0.25 |
Morus bombyci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
0.22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
- |
- |
3.71 |
0.62 |
- |
- |
1.09 |
0.18 |
- |
- |
2.71 |
0.45 |
- |
- |
0.7 |
0.12 |
L. cyrtobotry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 |
0.12 |
Pueraria montana var. lob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 |
0.1 |
Celastrus orbiculatus
|
- |
- |
0.82 |
0.14 |
- |
- |
- |
- |
- |
- |
- |
- |
- |
- |
0.48 |
0.08 |
Zanthoxylum piperitum
|
- |
- |
1.16 |
0.19 |
- |
- |
- |
- |
- |
- |
- |
- |
- |
- |
0.48 |
0.08 |
Morus alb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48 |
0.08 |
Rhus trichocarpa
|
- |
- |
1.83 |
0.31 |
- |
- |
1.85 |
0.31 |
- |
- |
2.13 |
0.36 |
- |
- |
- |
- |
Juniperus rigida
|
- |
- |
0.92 |
0.15 |
- |
- |
- |
- |
- |
- |
- |
- |
- |
- |
- |
- |
Lespedeza maximowiczii
|
- |
- |
0.95 |
0.16 |
- |
- |
1.31 |
0.22 |
- |
- |
- |
- |
- |
- |
- |
- |
Smilax sieboldii
|
- |
- |
2.07 |
0.35 |
- |
- |
1.53 |
0.26 |
- |
- |
2.13 |
0.36 |
- |
- |
- |
- |
The number of populatio |
11 |
25 |
328 |
364 |
11 |
27 |
280 |
318 |
13 |
24 |
240 |
277 |
5 |
30 |
452 |
487 |
Amount of species(species) |
23
|
21
|
18
|
30
|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H’) |
1.0937
|
1.1183
|
1.0802
|
1.1999
|
Various species diversity indices(2016) |
H’(Shannon) |
J’(evenness) |
D(dominance) |
H’max |
1.1999
|
0.8123 |
0.1877 |
1.4771 |
Download Excel Table
고정조사구 4는 교목층에 졸참나무가 우점하면서 신갈나무, 산벚나무가 함께 출현하고 있었다. 아교목층에서는 팥배나무, 때죽나무, 산벚나무의 세력이 유지되고 있었다. 본 군집은 현 상태의 졸참나무군집을 당분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졸참나무와 신갈나무가 경쟁하는 숲으로 천이가 예측되었다.
(5) 고정조사구 5(신갈나무-아까시나무군락)
남산 중앙부 고지대 북사면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5의 2016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교목층 아까시나무(I.P.: 44.51%)가 세력이 우세하였으며, 신갈나무(I.P.: 30.19%), 팥배나무(I.P.: 10.33%)가 출현하였다. 아교목층에서는 팥배나무(I.P.: 84.59%), 당단풍, 때죽나무, 신갈나무가 함께 출현하였다. 관목층에서는 국수나무(I.P.: 28.91%), 덜꿩나무(I.P.: 16.31%), 신갈나무(I.P.: 10.71%), 때죽나무(I.P.: 7.83%) 순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수종별 평균상대우점치 변화를 살펴보면 아까시나무(M.I.P.: 29.73% → 28.20% → 24.27% → 22.72%)와 신갈나무(M.I.P.: 22.11% → 21.82% → 23.91% → 17.45%)는 다소 감소하였다. 아교목층의 팥배나무(M.I.P.: 23.42% → 25.39% → 34.97% → 33.60%)는 크게 증가하였다. 교목개체수 변화를 살펴보면 23 → 20 → 22 → 16로 감소하였고, 2016년에 전체 출현 종수(25종)와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1.1295)는 증가하였다(Table 8 참조).
Table 8.
Change of plant cluster structure in Plot 5 of Qureus mongolica forest of the northern slope of Namsan(Mt.)(2000~2016) (Area: 400m2)
Layer |
Species |
2000 |
2005 |
2007 |
2016 |
C1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Relative ratio (%) |
Sorbus alnifolia
|
-
|
69.38
|
1.77
|
23.42
|
4.05
|
68.6
|
2.97
|
25.39
|
7.05
|
89.97
|
8.72
|
34.97
|
10.33
|
84.59
|
1.4
|
33.6
|
Robinia pseudoacacia
|
51.32
|
11.74
|
0.95
|
29.73
|
50.74
|
8.48
|
-
|
28.2
|
48.01
|
-
|
1.6
|
24.27
|
44.51
|
1.38
|
-
|
22.72
|
Quercus mongolica
|
39.06
|
3.51
|
8.46
|
22.11
|
34.11
|
5.7
|
17.19
|
21.82
|
41.9
|
1.42
|
14.94
|
23.91
|
30.19
|
1.71
|
10.71
|
17.45
|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
-
|
-
|
14.75
|
2.46
|
-
|
-
|
20.04
|
3.34
|
-
|
-
|
20.01
|
3.34
|
-
|
-
|
28.91
|
4.82
|
Styrax japonicus
|
- |
1.5 |
0.82 |
0.64 |
- |
2.75 |
2.01 |
1.25 |
- |
1.53 |
1.45 |
0.75 |
3.16 |
2.68 |
7.83 |
3.78 |
E. nigrum
|
- |
- |
- |
- |
- |
- |
- |
- |
- |
- |
- |
- |
6.88 |
- |
- |
3.44 |
Viburnum erosum
|
-
|
-
|
36.09
|
6.02
|
-
|
-
|
38.48
|
6.41
|
-
|
1.4
|
24.14
|
4.49
|
-
|
1.51
|
16.31
|
3.22
|
Quercus serrata
|
- |
2.48 |
3.97 |
1.49 |
- |
3.46 |
3.5 |
1.74 |
- |
- |
4.59 |
0.77 |
4.93 |
1.71 |
0.69 |
3.15 |
Carllicarpa japonica
|
- |
- |
2.96 |
0.49 |
- |
- |
4.39 |
0.73 |
- |
- |
- |
- |
- |
- |
7.39 |
1.23 |
Acer pseudosieboldianum
|
- |
1.25 |
0.82 |
0.55 |
- |
2.4 |
- |
0.8 |
- |
2.86 |
- |
0.95 |
- |
3.51 |
- |
1.17 |
Parthenocissus teicuspidata
|
- |
- |
3.35 |
0.56 |
- |
- |
0.97 |
0.16 |
- |
- |
2.55 |
0.43 |
- |
- |
6.91 |
1.15 |
Smilax sieboldii
|
- |
- |
5.66 |
0.94 |
- |
- |
1.99 |
0.33 |
- |
- |
0.7 |
0.12 |
- |
- |
5.11 |
0.85 |
Kalopanax septemlobus
|
-
|
5.16
|
4.38
|
2.45
|
-
|
4.97
|
1.19
|
1.86
|
-
|
1.42
|
0.85
|
0.62
|
-
|
1.46
|
1.85
|
0.80
|
Castanea crenata
|
- |
- |
- |
- |
- |
- |
0.55 |
0.09 |
- |
- |
2.62 |
0.44 |
- |
1.46 |
- |
0.49 |
Rhus trichocarpa
|
- |
- |
3.75 |
0.63 |
- |
- |
0.39 |
0.07 |
- |
- |
2.55 |
0.43 |
- |
- |
1.98 |
0.33 |
Ligustrum obtusifolium
|
- |
- |
- |
- |
- |
- |
0.69 |
0.12 |
- |
- |
2.34 |
0.39 |
- |
- |
1.56 |
0.26 |
Lindera obtusiloba
|
- |
- |
2.94 |
0.49 |
- |
- |
0.46 |
0.08 |
- |
- |
0.99 |
0.17 |
- |
- |
1.38 |
0.23 |
Acer palmat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8 |
0.23 |
Euonymus oxyphyllus
|
- |
2.51 |
- |
0.84 |
- |
1.3 |
0.48 |
0.51 |
- |
- |
- |
- |
- |
- |
1.11 |
0.19 |
Rhododendron yedoense
|
- |
- |
- |
- |
- |
- |
0.54 |
0.09 |
- |
- |
- |
- |
- |
- |
1.07 |
0.18 |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95 |
0.16 |
Rubus crataegifoli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4 |
0.12 |
Lespedeza cyrtobotry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4 |
0.12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4 |
0.12 |
Corylus heterophyll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9 |
0.12 |
Prunus sargentii
|
6.82 |
- |
- |
3.41 |
7.84 |
- |
0.4 |
3.99 |
- |
- |
- |
- |
- |
- |
0.56 |
0.09 |
Quercus aliena
|
2.8 |
- |
- |
1.4 |
3.26 |
- |
- |
1.63 |
3.05 |
1.4 |
- |
1.99 |
- |
- |
- |
- |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
- |
1.3 |
6.89 |
1.58 |
- |
- |
3.39 |
0.57 |
- |
- |
1.16 |
0.19 |
- |
- |
- |
- |
Prunus padus
|
- |
- |
- |
- |
- |
- |
- |
- |
- |
- |
8.5 |
1.42 |
- |
- |
- |
-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
- |
1.17 |
- |
0.39 |
- |
1.12 |
- |
0.37 |
- |
- |
0.76 |
0.13 |
- |
- |
- |
- |
Corylus heterophylla
|
- |
- |
1.12 |
0.19 |
- |
- |
0.37 |
0.06 |
- |
- |
- |
- |
- |
- |
- |
- |
Smilax china
|
- |
- |
1.32 |
0.22 |
- |
- |
- |
- |
- |
- |
- |
- |
- |
- |
- |
- |
E. hamiltonianus
|
- |
- |
- |
- |
- |
1.22 |
- |
0.41 |
- |
- |
- |
- |
- |
- |
- |
- |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
- |
- |
- |
- |
- |
- |
- |
- |
- |
- |
0.7 |
0.12 |
- |
- |
- |
- |
Lespedeza maximowiczii
|
- |
- |
- |
- |
- |
- |
- |
- |
- |
- |
0.85 |
0.14 |
- |
- |
- |
- |
The number of populatio |
23 |
45 |
244 |
312 |
20 |
48 |
644 |
712 |
22 |
36 |
296 |
354 |
16 |
38 |
384 |
438 |
Amount of species(species) |
21
|
24
|
21
|
25
|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H’) |
1.1174
|
0.9306
|
1.0805
|
1.1295
|
Various species diversity indices(2016) |
H’(Shannon) |
J’(evenness) |
D(dominance) |
H’max |
1.1295
|
0.7983 |
0.2017 |
1.4150 |
Download Excel Table
고정조사구 5의 식물군집구조 변화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는 아까시나무와 신갈나무가 함께 출현하였고, 팥배나무는 교목층에 일부 출현하였으며, 아교목층에서 우점하였다. 향후 아까시나무 쇠퇴 이후 팥배나무의 세력 확장이 예상되어 신갈나무-팥배나무군집으로 천이가 예측되었다.
(6) 고정조사구 6(산벚나무-느티나무군락)
남산 중앙부 고지대 북사면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6의 2016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교목층 신갈나무(I.P.: 46.65%), 산벚나무(I.P.: 33.29%), 느티나무(I.P.: 20.08%)가 생육하고 있었다. 아교목층에서는 팥배나무(I.P.: 51.11%), 느티나무(I.P.: 27.58%), 음나무(I.P.: 5.96%)가 출현하였다. 기존 교목층 산벚나무는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일부 수목이 쇠퇴하고, 아교목층에서 세력을 형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목층에서는 국수나무(I.P.: 23.63%), 쥐똥나무(I.P.: 14.26%), 담쟁이덩굴(I.P.: 9.37%), 느티나무(I.P.: 7.42%) 순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수종별 평균상대우점치 변화를 살펴보면 신갈나무(M.I.P.: 28.92% → 27.11% → 25.02% → 24.19%)와 산벚나무(M.I.P.: 25.37% → 17.95% → 26.61% → 16.65%)는 다소 감소하였고, 팥배나무(M.I.P.: 12.33% → 19.07% → 17.06% → 17.31%)는 크게 증가하였다. 교목개체수 변화를 살펴보면 16 → 16 → 16 → 10으로 감소하였고, 2016년에 전체 출현 종수(22종)와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1.1903)는 증가하였다(Table 9 참조).
Table 9.
Change of plant cluster structure in Plot 6 of Qureus mongolica forest of the northern slope of Namsan(Mt.)(2000~2016) (Area: 400m2)
Layer |
Species |
2000 |
2005 |
2007 |
2016 |
C1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Relative ratio (%) |
Quercus mongolica
|
45.39
|
18.66
|
-
|
28.92
|
50.61
|
4.83
|
1.18
|
27.11
|
50.04
|
-
|
-
|
25.02
|
46.65
|
-
|
5.20
|
24.19
|
Zelkova serrata
|
12.85
|
6.12
|
-
|
8.47
|
13.49
|
10.04
|
1.6
|
10.36
|
14.25
|
8.71
|
1.84
|
10.34
|
20.08
|
27.58
|
7.42
|
20.47
|
Sorbus alnifolia
|
-
|
35.9
|
2.17
|
12.33
|
-
|
56.47
|
1.5
|
19.07
|
-
|
48.18
|
6
|
17.06
|
-
|
51.11
|
1.64
|
17.31
|
Prunus sargentii
|
41.76
|
13.47
|
-
|
25.37
|
35.9
|
-
|
-
|
17.95
|
35.72
|
26.25
|
-
|
26.61
|
33.29
|
-
|
-
|
16.65
|
Styrax japonicus
|
- |
4.58 |
- |
1.53 |
- |
2.63 |
1.24 |
1.08 |
- |
3.14 |
- |
1.05 |
- |
15.35 |
1.47 |
5.36 |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
- |
- |
11.62 |
1.94 |
- |
- |
6.22 |
1.04 |
- |
- |
11.4 |
1.9 |
- |
- |
23.63 |
3.94 |
Kalopanax septemlobus
|
- |
2.17 |
- |
0.72 |
- |
3.08 |
- |
1.03 |
- |
3.43 |
1.08 |
1.32 |
- |
5.96 |
5.26 |
2.86 |
Ligustrum obtusifolium
|
-
|
-
|
33.02
|
5.5
|
-
|
-
|
30.86
|
5.14
|
-
|
-
|
20.2
|
3.37
|
-
|
-
|
14.26
|
2.38
|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 |
- |
6.23 |
1.04 |
- |
- |
1.18 |
0.2 |
- |
- |
16.78 |
2.8 |
- |
- |
9.37 |
1.56 |
Viburnum erosum
|
-
|
-
|
25.84
|
4.31
|
-
|
-
|
20.14
|
3.36
|
-
|
3.02
|
13.9
|
3.32
|
-
|
-
|
6.9
|
1.15
|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9 |
0.67 |
A. brevipeduncul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1 |
0.64 |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
- |
- |
2.86 |
0.48 |
- |
- |
6.35 |
1.06 |
- |
- |
5.14 |
0.86 |
- |
- |
3.65 |
0.61 |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5 |
0.61 |
Carllicarpa japonica
|
- |
- |
2.36 |
0.39 |
- |
- |
10.9 |
1.82 |
- |
- |
11.05 |
1.84 |
- |
- |
3 |
0.5 |
Smilax sieboldii
|
- |
- |
1.26 |
0.21 |
- |
- |
12.59 |
2.1 |
- |
- |
2.37 |
0.4 |
- |
- |
2.25 |
0.38 |
Elaeagnus umbell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9 |
0.27 |
Clematis apiifoli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
0.19 |
Styphnolobium japonic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
0.19 |
Ailanthus altissi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
0.19 |
Smilax chin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
0.19 |
Morus bombycis
|
- |
- |
1.63 |
0.27 |
- |
- |
0.89 |
0.15 |
- |
- |
2.17 |
0.36 |
- |
- |
1.05 |
0.18 |
Lespedeza cyrtobotry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9 |
0.15 |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
- |
13.76 |
8.85 |
6.06 |
- |
12.64 |
5.35 |
5.11 |
- |
- |
5.17 |
0.86 |
- |
- |
- |
- |
Quercus serrata
|
- |
5.34 |
- |
1.78 |
- |
10.31 |
- |
3.44 |
- |
7.27 |
- |
2.42 |
- |
- |
- |
- |
Rhus trichocarpa
|
- |
- |
1.63 |
0.27 |
- |
- |
- |
- |
- |
- |
- |
- |
- |
- |
- |
- |
Celastrus orbiculatus
|
- |
- |
2.53 |
0.42 |
- |
- |
- |
- |
- |
- |
- |
- |
- |
- |
- |
-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
- |
- |
- |
- |
- |
- |
- |
- |
- |
- |
1.81 |
0.3 |
- |
- |
- |
- |
Forsythia koreana
|
- |
- |
- |
- |
- |
- |
- |
- |
- |
- |
1.08 |
0.18 |
- |
- |
- |
- |
The number of populatio |
16 |
29 |
164 |
209 |
16 |
23 |
364 |
403 |
16 |
18 |
280 |
314 |
10 |
15 |
236 |
261 |
Amount of species(species) |
18
|
16
|
18
|
22
|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H’) |
1.0511
|
1.0020
|
1.0591
|
1.1903
|
Various species diversity indices(2016) |
H’(Shannon) |
J’(evenness) |
D(dominance) |
H’max |
1.1903
|
0.8867 |
0.1133 |
1.3424 |
Download Excel Table
고정조사구 6의 식물군집구조 변화 분석 결과 신갈나무, 느티나무, 산벚나무가 생육하는 군락으로서 전반적으로 식생구조는 양호하였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와 산벚나무가 경쟁하였으며, 느티나무는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에서 전반적으로 출현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판단했을 때 느티나무군락으로 천이가 예측되었다.
(7) 고정조사구 7(산벚나무-신갈나무군락)
남산 중앙부 고지대 북사면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7의 2016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교목층 산벚나무(I.P.: 25.95%), 느티나무(I.P.: 20.10%), 신갈나무(I.P.: 15.30%), 팥배나무(I.P.: 15.22%)가 생육하고 있었다. 아교목층에서는 팥배나무(I.P.: 59.22%), 때죽나무, 음나무, 단풍나무가 출현하였다. 관목층에서는 신갈나무(I.P.: 33.30%), 국수나무(I.P.: 19.50%), 당단풍(I.P.: 12.38%), 담쟁이덩굴(I.P.: 5.85%) 순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수종별 평균상대우점치 변화를 살펴보면 신갈나무(M.I.P.: 23.14% → 24.94% → 22.88% → 13.20%)와 산벚나무(M.I.P.: 19.63% → 13.40% → 13.52% → 13.16%)는 크게 감소하였고, 팥배나무(M.I.P.: 15.12% → 16.98% → 16.72% → 27.67%)는 크게 증가하였다. 교목개체수 변화를 살펴보면 15 → 13 → 13 → 23으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아교목 성상으로 생육하고 있던 팥배나무와 당단풍이 교목층으로 성장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2016년에 전체 출현 종수(26종)는 증가하였고,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0.8177)는 감소하였다(Table 10 참조).
Table 10.
Change of plant cluster structure in Plot 7 of Qureus mongolica forest of the northern slope of Namsan(Mt.)(2000~2016) (Area: 400m2)
Layer |
Species |
2000 |
2005 |
2007 |
2016 |
C1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Relative ratio (%) |
Sorbus alnifolia
|
-
|
39.56
|
11.57
|
15.12
|
-
|
47.55
|
6.76
|
16.98
|
4.24
|
40.66
|
6.29
|
16.72
|
15.22
|
59.22
|
1.94
|
27.67
|
Quercus mongolica
|
44.6
|
-
|
5.02
|
23.14
|
45.71
|
-
|
12.52
|
24.94
|
41.63
|
5.14
|
2.11
|
22.88
|
15.30
|
-
|
33.30
|
13.20
|
Prunus sargentii
|
26.14
|
19.69
|
-
|
19.63
|
26.8
|
-
|
-
|
13.4
|
26.52
|
-
|
1.58
|
13.52
|
25.95
|
-
|
1.11
|
13.16
|
Styrax japonicus
|
-
|
15.03
|
3.57
|
5.61
|
-
|
16.47
|
-
|
5.49
|
-
|
31
|
1.45
|
10.58
|
-
|
31.64
|
4.46
|
11.29
|
Zelkova serrata
|
23.24
|
3.24
|
2.44
|
13.11
|
21.2
|
12.97
|
-
|
14.92
|
21.30
|
4.82
|
5.55
|
13.18
|
20.1
|
-
|
0.46
|
10.13
|
Acer pseudosieboldianum
|
-
|
12.93
|
9.16
|
5.84
|
-
|
14.47
|
24.6
|
8.92
|
-
|
15.77
|
8.14
|
6.61
|
14.25
|
-
|
12.38
|
9.19
|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
- |
- |
7.55 |
1.26 |
- |
- |
12.94 |
2.16 |
- |
- |
18.66 |
3.11 |
- |
- |
19.5 |
3.25 |
Fraxinus rhynchophylla
|
6.02 |
- |
6.6 |
4.11 |
6.29 |
- |
6.69 |
4.26 |
6.31 |
- |
12.48 |
5.24 |
5 |
- |
2.52 |
2.92 |
Castanea crenata
|
- |
- |
- |
- |
- |
- |
- |
- |
- |
- |
- |
- |
4.18 |
- |
0.37 |
2.15 |
Kalopanax septemlobus
|
- |
2.09 |
0.77 |
0.83 |
- |
2.76 |
- |
0.92 |
- |
2.63 |
- |
0.88 |
- |
5.64 |
- |
1.88 |
Acer palmat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9 |
- |
1.16 |
Parthenocissus teicuspidata
|
- |
- |
17.37 |
2.9 |
- |
- |
- |
- |
- |
- |
10.41 |
1.74 |
- |
- |
5.85 |
0.98 |
A. brevipedunculata
|
- |
- |
3.33 |
0.56 |
- |
- |
- |
- |
- |
- |
- |
- |
- |
- |
5.61 |
0.94 |
Viburnum erosum
|
- |
- |
15.8 |
2.63 |
- |
- |
12.03 |
2.01 |
- |
- |
2.78 |
0.46 |
- |
- |
2.58 |
0.43 |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
- |
7.46 |
0.6 |
2.59 |
- |
5.78 |
4.06 |
2.6 |
- |
- |
10.97 |
1.83 |
- |
- |
2.36 |
0.39 |
Ailanthus altissi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5 |
0.39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
- |
- |
1.38 |
0.23 |
- |
- |
2.53 |
0.42 |
- |
- |
0.59 |
0.1 |
- |
- |
1.18 |
0.2 |
Ligustrum obtusifolium
|
- |
- |
4.22 |
0.7 |
- |
- |
6.29 |
1.05 |
- |
- |
2.61 |
0.44 |
- |
- |
0.85 |
0.14 |
Rubus crataegifoli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8 |
0.13 |
Zanthoxylum piperit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 |
0.1 |
L. maximowiczii
|
- |
- |
- |
- |
- |
- |
- |
- |
- |
- |
3.07 |
0.51 |
- |
- |
0.46 |
0.08 |
Carllicarpa japonica
|
- |
- |
7.87 |
1.31 |
- |
- |
8.6 |
1.43 |
- |
- |
4.81 |
0.8 |
- |
- |
0.37 |
0.06 |
Smilax sieboldii
|
- |
- |
0.77 |
0.13 |
- |
- |
0.73 |
0.12 |
- |
- |
1.16 |
0.19 |
- |
- |
0.26 |
0.04 |
Euonymus oxyphyllus
|
- |
- |
- |
- |
- |
- |
- |
- |
- |
- |
1.29 |
0.22 |
- |
- |
0.21 |
0.04 |
Morus bombyci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26 |
0.04 |
Celastrus orbiculat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21 |
0.04 |
Juniperus rigida
|
- |
- |
0.69 |
0.12 |
- |
- |
- |
- |
- |
- |
0.7 |
0.12 |
- |
- |
- |
- |
Quercus serrata
|
- |
- |
1.29 |
0.22 |
- |
- |
0.73 |
0.12 |
- |
- |
- |
- |
- |
- |
- |
- |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
- |
- |
- |
- |
- |
- |
1.52 |
0.25 |
- |
- |
0.53 |
0.09 |
- |
- |
- |
- |
Prunus padus
|
- |
- |
- |
- |
- |
- |
- |
- |
- |
- |
3.7 |
0.62 |
- |
- |
- |
- |
Pueraria montana var. lobata |
- |
- |
- |
- |
- |
- |
- |
- |
- |
- |
0.59 |
0.1 |
- |
- |
- |
- |
Robinia pseudoacacia
|
- |
- |
- |
- |
- |
- |
- |
- |
- |
- |
0.59 |
0.1 |
- |
- |
- |
- |
The number of populatio |
15 |
40 |
332 |
387 |
13 |
39 |
288 |
340 |
13 |
32 |
396 |
441 |
23 |
18 |
980 |
1,021 |
Amount of species(species) |
19
|
17
|
23
|
26
|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H’) |
1.1287
|
1.0375
|
1.1667
|
0.8177
|
Various species diversity indices(2016) |
H’(Shannon) |
J’(evenness) |
D(dominance) |
H’max |
0.8177
|
0.5779 |
0.4221 |
1.4150 |
Download Excel Table
고정조사구 7의 식물군집구조 변화 분석 결과 교목층에 신갈나무, 산벚나무, 느티나무, 팥배나무가 경쟁하고 있었고, 신갈나무의 세력은 감소하였다. 특이사항으로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팥배나무가 증가하였으며, 관목층에서 맹아와 함께 신갈나무 치수가 발생해 우점하고 있었다. 본 군집은 장기적으로 볼 때 팥배나무군락으로 천이가 예측되었다.
(8) 고정조사구 8(물푸레나무-신갈나무군락)
미통신대 북쪽 계곡부 사면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8의 2016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는 물푸레나무(I.P.: 52.48%), 신갈나무(I.P.: 47.52%)가 생육하고 있었다. 아교목층에서는 팥배나무(I.P.: 78.33%), 때죽나무(I.P.: 21.67%)가 출현하였다. 관목층에서는 국수나무(I.P.: 39.62%), 신갈나무(17.94%), 회잎나무(8.57%), 담쟁이덩굴(I.P.: 7.16%) 순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수종별 평균상대우점치 변화를 살펴보면 물푸레나무(M.I.P.: 34.87% → 31.24% → 25.71% → 26.32%)와 신갈나무(M.I.P.: 30.10% → 25.62% → 32.89% → 26.75%)는 다소 감소하였다. 팥배나무(M.I.P.: 20.59% → 22.93% → 22.60% → 26.28%)는 크게 증가하였다. 교목개체수 변화를 살펴보면 16 → 17 → 16 → 13으로 감소하였고, 2016년에 전체 출현 종수(22종)와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0.9877)는 증가하였다. 이는 참나무시들음병 발병에 따른 방제 관리에 의해 기존의 상층을 형성하고 있는 신갈나무 일부가 제거 관리되면서 하부에 다양한 관목이 출현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11 참조).
Table 11.
Change of plant cluster structure in Plot 8 of Qureus mongolica forest of the northern slope of Namsan(Mt.)(2000~2016) (Area: 400m2)
Layer |
Species |
2000 |
2005 |
2007 |
2016 |
C1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C |
U |
S |
M |
Relative ratio (%) |
Quercus mongolica
|
52.76
|
-
|
22.32
|
30.10
|
50.49
|
-
|
2.27
|
25.62
|
52.40
|
15.04
|
10.05
|
32.89
|
47.52
|
-
|
17.94
|
26.75
|
Fraxinus rhynchophylla
|
47.24
|
30.80
|
5.90
|
34.87
|
49.51
|
18.41
|
2.06
|
31.24
|
47.60
|
5.74
|
-
|
25.71
|
52.48
|
-
|
0.50
|
26.32
|
Sorbus alnifolia
|
-
|
56.62
|
10.31
|
20.59
|
-
|
65.31
|
6.97
|
22.93
|
-
|
62.19
|
11.20
|
22.60
|
-
|
78.33
|
1.00
|
26.28
|
Styrax japonicus
|
-
|
11.09
|
1.45
|
3.94
|
-
|
14.60
|
-
|
4.87
|
-
|
15.57
|
-
|
5.19
|
-
|
21.67
|
2.20
|
7.59
|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
-
|
-
|
41.23
|
6.87
|
-
|
-
|
47.07
|
7.85
|
-
|
-
|
47.79
|
7.97
|
-
|
-
|
39.62
|
6.60
|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
- |
- |
7.98 |
1.33 |
- |
- |
16.39 |
2.73 |
- |
- |
4.98 |
0.83 |
- |
- |
8.57 |
1.43 |
Parthenocissus teicuspidata
|
- |
- |
- |
- |
- |
- |
- |
- |
- |
- |
13.96 |
2.33 |
- |
- |
7.16 |
1.19 |
Zanthoxylum piperit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1 |
0.60 |
A. brevipedunculat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8 |
0.60 |
Liriodendron tulipifer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8 |
0.51 |
Ailanthus altissi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0 |
0.47 |
Cornus kousa
|
- |
1.49 |
- |
0.50 |
- |
1.68 |
- |
0.56 |
- |
1.47 |
- |
0.49 |
- |
- |
2.32 |
0.39 |
Smilax sieboldii
|
- |
- |
0.82 |
0.14 |
- |
- |
1.48 |
0.25 |
- |
- |
- |
- |
- |
- |
1.13 |
0.19 |
Viburnum erosum
|
-
|
-
|
8.40
|
1.40
|
-
|
-
|
22.28
|
3.71
|
-
|
-
|
10.00
|
1.67
|
-
|
-
|
1.06
|
0.18
|
Carllicarpa japonic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96 |
0.16 |
Rubus crataegifoli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88 |
0.15 |
Euonymus oxyphyllu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73 |
0.12 |
Prunus sargentii
|
- |
- |
0.94 |
0.16 |
- |
- |
- |
- |
- |
- |
- |
- |
- |
- |
0.61 |
0.10 |
Lespedeza maximowiczii
|
- |
- |
- |
- |
- |
- |
- |
- |
- |
- |
2.03 |
0.34 |
- |
- |
0.60 |
0.10 |
Rubus oldhami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1 |
0.10 |
Lespedeza bicolo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1 |
0.10 |
Morus bombyci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44 |
0.07 |
Celastrus orbiculatus
|
- |
- |
0.65 |
0.11 |
- |
- |
1.48 |
0.25 |
- |
- |
- |
- |
- |
- |
- |
- |
The number of populatio |
16 |
36 |
336 |
388 |
17 |
33 |
196 |
246 |
16 |
39 |
192 |
247 |
13 |
24 |
584 |
621 |
Amount of species(species) |
11
|
10
|
10
|
22
|
Shannon’s species diversity index(H’) |
0.7564
|
0.7972
|
0.8703
|
0.9877
|
Various species diversity indices(2016) |
H’(Shannon) |
J’(evenness) |
D(dominance) |
H’max |
0.9877
|
0.7358 |
0.2642 |
1.3424 |
Download Excel Table
고정조사구 8의 식물군집구조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교목층에서는 물푸레나무와 신갈나무가 경쟁하였고, 아교목층에서 팥배나무가 우점하였지만 교목 성상 수종이 출현하지 않아 당분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식물군집구조 변화 종합
모든 고정조사구에서 교목층은 참나무시들음병 발병에 따른 방제 관리로 신갈나무의 개체수는 크게 감소하였고, 그 영향으로 수종별 상대우점치 변화가 있었다. 그 외 산벚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느티나무 등은 그 세력을 유지 또는 확대하고 있었다. 고정조사구 7의 경우 군락 내 교목층의 신갈나무 세력 감소와 함께 팥배나무, 당단풍의 생육 성장에 따라 층위 구분에 있어 교목 성상으로 구분되어 교목층 개체수가 13주에서 23주로 증가하였다. 아교목층에서는 도시환경 적응 수종인 팥배나무, 때죽나무, 당단풍 등이 세력을 유지하거나 증가하였다. 관목층에서는 교목층의 수관이 열려 찔레꽃, 산딸기, 산초나무, 청가시덩굴 등이 출현하였고, 가죽나무, 일본목련, 양버즘나무, 참오동나무 등 외래종 치수가 발생하였다. Noh(2015)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들 외래식물의 세력 확산은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 기후변화 및 도시 열섬현상 등 도시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구별 사라진 종은 진달래, 노간주나무, 노린재나무 등 1∼6종이었고, 새롭게 출현한 종은 작살나무, 단풍나무, 산딸기, 가죽나무 등 8∼15종이 조사되었다. 8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전체 종수를 분석한 결과 총 4∼12종이 증가하였다.
남산 신갈나무군락의 층위별 출현종 개체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고정조사구 1의 경우 교목층의 신갈나무 개체수가 41주 → 15주로 크게 감소하였고, 아교목층에서도 때죽나무, 팥배나무의 개체수 함께 감소하였다. 고정조사구 2의 경우 교목층의 신갈나무 개체수가 5주 → 3주로 감소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와 팥배나무는 감소하고, 당단풍은 증가하였다. 고정조사구 3의 경우 교목층의 신갈나무 개체수가 15주 → 8주로 감소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 당단풍, 팥배나무가 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고정조사구 4의 경우 교목층의 신갈나무 개체수가 8주 → 2주로 크게 감소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의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고정조사구 5의 경우 교목층의 신갈나무 개체수가 10주 → 6주로 감소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 당단풍, 팥배나무의 개체수 변화가 없었다. 고정조사구 6의 경우 교목층의 신갈나무 개체수가 10주 → 5주로 크게 감소하였고, 아교목층에서도 때죽나무와 느티나무는 증가하였고, 팥배나무는 감소하였다. 고정조사구 7의 경우 교목층의 신갈나무 개체수가 6주 → 3주로 크게 감소하였고, 팥배나무가 1주 → 6주로 크게 증가하였다.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와 팥배나무의 개체수 함께 감소하였다. 고정조사구 8의 경우 신갈나무 개체수가 8주로 과거와 동일하였으며, 물푸레나무가 증가하였다. 아교목층의 팥배나무, 물푸레나무, 때죽나무 모두 감소하였다(Table 12 참조).
Table 12.
Changes in the number of species of 8 fixed plots in Qureus mongolica forest of Namsan(Mt.)(2005~2016)
Plot |
Layer |
Species |
3rd 2005 |
4th 2016 |
Pot 1 |
Canopy layer |
Quercus mongolica
|
41
|
15
|
Quercus serrata
|
3 |
2 |
Robinia pseudoacacia
|
2 |
1 |
Understory layer |
Styrax japonicus
|
50 |
36 |
Sorbus alnifolia
|
30 |
13 |
Acer pseudosieboldianum
|
29 |
31 |
Plot
|
Layer
|
Species
|
3rd 2007
|
4th 2016
|
Pot 2 |
Canopy layer |
Quercus mongolica
|
5 |
3 |
Understory layer |
Styrax japonicus
|
17 |
11 |
Acer pseudosieboldianum
|
9 |
12 |
Sorbus alnifolia
|
9 |
8 |
Pot 3 |
Canopy layer |
Quercus mongolica
|
15 |
8 |
Sorbus alnifolia
|
1 |
1 |
Kalopanax septemlobus
|
1 |
1 |
Understory layer |
Styrax japonicus
|
12 |
11 |
Acer pseudosieboldianum
|
6 |
5 |
Sorbus alnifolia
|
4 |
5 |
Pot 4 |
Canopy layer |
Quercus mongolica
|
8 |
2 |
Prunus sargentii
|
2 |
1 |
Understory layer |
Styrax japonicus
|
13 |
8 |
Acer pseudosieboldianum
|
1 |
1 |
Sorbus alnifolia
|
6 |
8 |
Robinia pseudoacacia
|
0 |
4 |
Pot 5 |
Canopy layer |
Quercus mongolica
|
10 |
6 |
Robinia pseudoacacia
|
9 |
5 |
Sorbus alnifolia
|
2 |
2 |
Understory layer |
Styrax japonicus
|
1 |
1 |
Acer pseudosieboldianum
|
2 |
2 |
Sorbus alnifolia
|
29 |
29 |
Quercus mongolica
|
0 |
1 |
Pot 6 |
Canopy layer |
Quercus mongolica
|
10 |
5 |
Prunus sargentii
|
5 |
4 |
Zelkova serrata
|
1 |
1 |
Understory layer |
Styrax japonicus
|
1 |
3 |
Zelkova serrata
|
2 |
5 |
Sorbus alnifolia
|
11 |
6 |
Pot 7 |
Canopy layer |
Quercus mongolica
|
6 |
3 |
Zelkova serrata
|
1 |
2 |
Sorbus alnifolia
|
1 |
6 |
Understory layer |
Styrax japonicus
|
14 |
7 |
Kalopanax septemlobus
|
1 |
1 |
Sorbus alnifolia
|
11 |
9 |
Pot 8 |
Canopy layer |
Quercus mongolica
|
8 |
8 |
Fraxinus rhynchophylla
|
5 |
7 |
Understory layer |
Sorbus alnifolia
|
27 |
18 |
Styrax japonicus
|
8 |
7 |
Fraxinus rhynchophylla
|
2 |
1 |
Download Excel Table
남산 북사면 신갈나무군락은 참나무시들음병 방제관리로 인한 신갈나무 세력 약화, 졸참나무,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등 경쟁수목 증가로 신갈나무 세력 약화, 아까시나무의 맹아가 재발생하였다. 남산 신갈나무군락은 지속적인 참나무시들음병에 대한 영향을 받을 경우 물푸레나무, 느티나무, 졸참나무, 산벚나무군집으로의 천이 잠재성이 있었다. 남산 신갈나무군집은 현 상태를 유지하지만 천이 경향을 예측하였을 때 차대를 형성하는 교목 성상의 수종이 거의 없어 생태적 천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남산 신갈나무군락의 2016년도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0.8177∼1.2405이었다. 종다양도가 낮은 조사구는 교목층 신갈나무, 아교목층 팥배나무, 때죽나무가 우점하고 관목층에 국수나무가 우점하여 단일종에 의한 우점도가 높아 종다양도가 낮았다. 종다양도가 가장 높은 조사구는 교목층에 신갈나무 아교목층에 산벚나무와 당단풍나무가 우점하였고, 관목층에 산딸기, 산초나무, 청미래덩굴 등이 고르게 분포하여 균재도가 높아 종다양도가 높았다. 남산의 종다양도는 온대중부림에 위치한 치악산국립공원 신갈나무군집(500m2)의 종다양도 1.2546(Park et al., 1988),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 계곡의 신갈나무군집(500m2)의 종다양도 1.2732(Han et al., 2001), 서울시 외곽산림 신갈나무군집(400m2)의 종다양도 1.2602(Kwak, 2011)와 비교하였을 때 다소 낮은 상태이었다. 남산의 신갈나무군락은 자연상태의 신갈나무군락과 비교하였을 때, 참나무시들음병에 따른 교목층의 세력 감소, 아교목층에서 팥배나무, 때죽나무, 단풍나무 등 도시화 수종의 확대, 관목층에서 상부 수관 개방에 따른 다양한 수종의 유입 및 발생, 도시산림의 토양환경 등 많은 교란 및 위협요인으로 현재 불안정한 신갈나무군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Table 13 참조, Figure 3 참조).
Table 13.
Summarized changes about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8 fixed plots in Qureus mongolica forest of Namsan(Mt.)(1994~2016)
Plot |
Major species of dominance value change |
Number of individual |
The missing and being new species |
Canopy layer |
Understory layer |
Shrub layer |
Canopy layer |
Understory layer |
Shrub layer |
The missing species
|
The being new species
|
C* |
1 |
Q. serrata(+) Q. aliena(+) Q. mongolica(-) |
S. japonicus(+) A. pseudosieboldianum(+) S. alnifolia(-) |
P. tricuspidata(+)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R.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
1st 1994 |
2nd 1998 |
3rd 2005 |
4th 2016 |
1st 1994 |
2nd 1998 |
3rd 2005 |
4th 2016 |
1st 1994 |
2nd 1998 |
3rd 2005 |
4th 2016 |
6 species R. trichocarpa, M. amurensis,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ect. |
15 species C. japonica, A. elata, A. palmatum, Q. acutissima ect. |
▲ 9 |
56 |
47 |
48 |
22 |
187 |
186 |
160 |
102 |
1,044 |
636 |
1,228 |
640 |
Plot
|
Major species of dominance value change
|
Number of individual
|
The missing and being new species
|
Canopy layer
|
Understory layer
|
Shrub layer
|
Canopy layer
|
Understory layer
|
Shrub layer
|
The missing species
|
The being new species
|
C*
|
2 |
Q. mongolica(․) |
A. pseudosieboldianum(+) S. alnifolia(-) S. japonicus(-) |
Stephanandra incisa var. incisa(+) Z. serrata(+) Magnolia obovata(+) |
1st 2000 |
2nd 2005 |
3rd 2007 |
4th 2016 |
1st 2000 |
2nd 2005 |
3rd 2007 |
4th 2016 |
1st 2000 |
2nd 2005 |
3rd 2007 |
4th 2016 |
5 species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C. orbiculatus, V. erosum, P. sargentii etc. |
12 species C. japonica, L. cyrtobotrya, M. alba, V. coignetiae, Z. serrata, Magnolia obovata ect. |
▲ 7 |
17 |
15 |
17 |
3 |
39 |
37 |
38 |
33 |
228 |
168 |
104 |
128 |
3 |
S. alnifolia(+) K. septemlobus(+) P. sargentii(+) Q. mongolica(-) |
S. alnifolia(+) A. pseudosieboldianum(+) Q. mongolica(-) S. japonicus(-) |
S. japonicus(+) A. pseudosieboldianum(+) Q. mongolica(-) S. alnifolia(-) |
18 |
18 |
18 |
11 |
25 |
23 |
22 |
22 |
252 |
176 |
164 |
292 |
3 species M. amurensis, R.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15 species P. tricuspidata, A. altissima, A. palmatum, R. chinensis, E. alatus for. ciliatodentatus ect. |
▲ 12 |
4 |
Q. serrata(+) P. sargentii(+) Q. mongolica(-) |
S. japonicus(+) S. alnifolia(-) Q. mongolica(-) P. sargentii(-) |
A. elata(+) P. tricuspidata(+) R. pseudoacacia(-) S. incisa var. incisa(-) |
11 |
11 |
13 |
5 |
25 |
27 |
24 |
30 |
328 |
280 |
240 |
452 |
4 species R. trichocarpa, J. rigida, L. maximowiczii, S. sieboldii |
11 species E. alatus for. ciliatodentatus, S. china, P. coreana, R. crataegifolius, S. williamsii var. coreana ect. |
▲ 7 |
5 |
R. pseudoacacia(-) Q. mongolica(-) P. sargentii(-) Q. aliena(-) |
S. alnifolia(+) R. pseudoacacia(-) Q. mongolica(-) K. septemlobus(-) |
S. incisa var. incisa(+) S. japonicus(+) V. erosum(-) S. sieboldii(-)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