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제2차 세계대전 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 - 미국, 소련, 독일의 전쟁메모리얼을 대상으로 -

이상석
Sang-Seok Lee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이 논문은 2021년도 서울시립대학교교내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Corresponding author : Sang-Seok Lee, Professor,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054, Korea, Tel.: +82-2-6490-2846, E-mail: sanglee@uos.ac.kr

© Copyright 2023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14, 2023; Revised: May 03, 2023; Accepted: May 04, 2023

Published Online: Jun 30, 2023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던 미국, 소련, 그리고 독일이 만든 전쟁메모리얼에 나타난 국가적 기념성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소련, 독일의 제2차 세계대전 전쟁메모리얼은 전사자 및 희생자 추모를 기본적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국가별로 미국은 자유를 위한 대의명분을 나타내며 단결과 승리를 고양하였고, 공산주의 국가 소련은 파시스트 나치 독일을 물리친 대조국전쟁을 강조하였다. 반면 국가적 기념이 어려웠던 독일은 전쟁 희생자를 추모하고 평화를 지향하였다. 둘째,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은 국가의 대표적 장소나 전적지 등 장소적 의미가 있는 곳에 입지하였고 독일에서는 교회묘지나 공공묘지에 조성되기도 하였다. 아울러, 메모리얼의 공간 중심축을 대칭을 이루고 정형적인 형태로서 간결하고 절제된 미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미국과 소련은 공통적으로 기념벽에 전쟁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면서, 미국은 자유를 위한 희생과 헌신, 소련 및 동독은 공산주의 이념을 선전하는 메시지를 각각 다르게 기념적 텍스트로 나타냈다. 국가별로 미국은 국가를 상징하는 독수리, 각 주 및 영토를 나타내는 열주 등을 통하여 국가적 일체감을 강조하였고, 소련은 공산주의 양식의 군인 조각을 세웠다. 미국 및 소련에서는 공통적으로 승리를 상징하는 기념조각과 월계수를 사용하였지만, 독일에서는 전사한 군인조각을 세워서 전몰자를 추모하였다. 정치적으로 미국은 단결과 승리의 고양, 소련은 대조국전쟁의 승리와 공산주의의 선전, 그리고 독일은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였으며, 종교적 측면에서는 미국, 소련, 독일 모두 기독교가 보편적 종교이기 때문에 십자가, 교회, 에비타 조각상 등 기독교적 상징을 다수 도입하는 기념문화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향후, 우리나라의 전쟁메모리얼에서 국가적 기념성과 기념문화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war memorials made by the United States,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the Soviet Union), and Germany that participated in World War II(WW I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reation of the WW II memorials of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and Germany aimed to commemorate the dead and victims. By country, the United States promoted unity and victory with representing the just and great cause for freedom, and the communist Soviet Union emphasized the Great Patriotic War that defeated fascist Nazi Germany. On the other hand, Germany, which had difficulty in national commemoration, cherish the victims of the war and aimed for peace. Second, WW II memorials were located in places of national significance such as national representative places and battlefields, and in Germany they were built in church cemeteries and public cemeteries. In addition, it showed concise and moderate aesthetic characteristics with a symmetrical and formal form centered on the axis of space in memorials. Third,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commonly visualized the appearance of war on the memorial wall. By country, the United States engraved sacrifice and dedication for freedom, and differently the Soviet Union and East Germany engraved messages promoting communist ideology as memorial texts. As for landscape details and sculpture, the United States emphasized national unity through eagles symbolizing the country and a colonnade representing each state and territory, and the Soviet Union set up a communist-style soldier sculpture.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both countries used sculptures and laurels that symbolize victory, but in Germany, the statues of a fallen soldiers were installed in the memorial. Politically, the United States commemorated the victory of the war and also promoted unity, and the Soviet Union emphasized the Great Patriotic War and promoted communism. As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and the Germans believed in Christianity universally, Christian symbols such as the crucifixion, the church, and the statue of Evita were often used.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at memorials and advanced commemorative culture in Korea.

Keywords: 정체성; 기념벽; 기독교; 모뉴먼트; 전쟁 묘지
Keywords: Identity; Memorial Wall; Christianism; Monument; War Cemetery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일어난 제2차 세계대전은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전쟁이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고 도시와 마을이 파괴되는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였다. 종전 후 참전한 각 나라는 국가의 의무로서 전쟁 모뉴먼트와 메모리얼을 세웠다. 여기에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쟁 승리를 이룬 영웅적 노력과 자유를 위한 그들의 헌신과 명예를 고양하였다(The Commission of Fine Arts, 1946).

메모리얼은 추모, 회고와 치유, 의식, 집단적인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서 지적인 동시에 감정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어야 하며, 공동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이다(Wasserman, 1998). 전쟁메모리얼은 전사자를 추모하고 전쟁의 승리를 기념하며, 평화를 추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물리적 실체로서 공공성이 높은 곳에 조각, 기념탑, 모뉴먼트, 기념표지, 건물, 교회, 전쟁 유적지, 정원 및 공원, 묘지 등 다양한 형식으로 만들어진다(Mayo, 1988). 추모의 장소인 동시에 전쟁의 역사를 후대에 전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전쟁메모리얼은 전쟁에 대한 공식적 기억의 장소이며, 굳건한 공동체적 연대감을 형성하게 되므로 그것을 만드는 일 자체로서 집단적인 정치적 행위이며(Mayo, 1988; Lemay, 2018), 국가적 정체성을 잘 나타낸다(Yoshimura, 1997: 3; Lee, 2001).

본 연구의 목적은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분석하고 국가별 비교 고찰을 통하여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던 연합국으로서 자유민주국가인 미합중국(미국)과 공산주의국가인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 그리고 패전국으로서 독일이 만든 전쟁메모리얼의 조성과정 및 목적, 입지 및 공간적 특성, 조각 및 조경디테일 등의 기념적 요소, 그리고 기념적인 표현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정치사회적 측면과 종교적 측면에서 전쟁메모리얼에 나타나는 국가별 기념문화적 특성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1.2 이론적 고찰

전쟁메모리얼에 관련된 연구로서, Yoshimura(1997)는 프랑스, 일본, 미국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과 국가적 정체성 연구에서 기념화를 위한 전시, 재회, 언어, 모뉴먼트, 의식이라는 5가지 측면의 분석을 통해 국가별 메모리얼 문화에서 나타나는 논쟁적 이슈를 분석하였다. Macleod(2013)는 ‘영국성과 기념: 영국과 아일랜드에 있는 제1차 세계대전 국가 메모리얼’ 연구에서 제1차 세계대전과 관련하여 스코틀랜드, 웨일즈, 아일랜드에 있는 국가적 전쟁메모리얼의 입지 및 설계, 관련조직을 조사하였고 마을이나 도시, 지역적, 국가적, 제국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영국의 정체성을 해석하기도 하였다. 또한 Lambert(2014)는 ‘살아있는 모뉴먼트: 제1차 및 제2차 세계대전의 기념공원’을 주제로 영국의 각 지역에 있는 메모리얼 파크의 형태적 특성, 주요한 도입요소 및 기능에 대하여 연구한 바 있으며, 전사자를 추모하기 위해 십자가 및 조각뿐만 아니라 마을회관, 병원 독서실, 운동장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실용적 요소를 활용하여 기념성을 구현하고 있다고 하였다.

Callahan(2017)은 ‘외교, 전쟁, 그리고 평화의 국제정치에 있어서 정원’ 연구에서 정치적이지 않은 평화로운 공간으로 인식되는 정원을 기념공간으로 만드는 것은 국제 정치의 새로운 장소를 만들고 감정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아울러, Borghi(2021)는 ‘전쟁과 기억에 관하여: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 제1차 세계대전 메모리얼과 집합적 기억’ 연구에서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가족이나 마을 등 작은 그룹에서 기억을 재현하고 공공 의식을 통해 기념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만들어졌기 때문에 집합적인 국가적 기억이 살아나고 유지되었지만, 패전한 독일에서는 제1․2차 세계대전의 후유증으로 국민의 기억이나 독일의 정체성을 찾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선행 연구를 고찰해 본 결과, 기념공원의 형태 및 기능과 도입요소의 기념성에 대한 서술적 연구, 국가적 메모리얼이 기억의 형성과 국가적 정체성에 대한 서술적 연구, 전쟁과 평화의 정치적 관점에서 정원의 의미 해석 연구, 국제정치사회학이나 역사적 관점에서 전쟁메모리얼에 관한 논설적 연구 등이 있었다. 본 연구는 조경의 영역으로서 정원 및 공원 등과 같이 외부에 조성된 기념공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 전쟁의 승패 및 정치적 이념에 따라 서로 입장을 달리했던 국가의 메모리얼을 분석하고 비교 고찰했다는 점에서 독자성을 찾을 수 있다.

2. 연구방법

2.1 연구범위

제1차 세계대전과 마찬가지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전쟁과 관련된 많은 기념물과 메모리얼이 조성되었다. 모뉴먼트와 메모리얼의 조성 주체는 작게는 개인으로부터 집단, 마을, 도시, 국가 등으로 다양하며, 대부분 기념비, 십자가, 조각상 등 모뉴먼트로 만들어졌고, 조경에서 다루고 있는 정원 및 공원과 같은 메모리얼로서 만들어진 것은 제한적이었다.

시대가 변하면서 돌이나 청동으로 만든 기념탑이나 조각 일색의 기념 방법을 탈피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영국에서 국민 대부분은 일상생활에서 전몰자를 추모하고 전쟁을 극복한 사람들에게 함께 즐거움과 유용함을 줄 수 있는 메모리얼을 원했으며, 이에 따라 영국의 전쟁메모리얼 자문위원회는 기억의 정원, 휴식과 명상의 장소, 공원과 오픈스페이스, 상징적 가로수 열식 등을 통하여 전몰자를 추모하면서 자손들이 충만한 삶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Lambert, 2014).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에는 전쟁 기념물이 낡은 사고방식에 근거하고 있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었으며, 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의 워싱턴 D.C.에 있는 베트남 전쟁메모리얼(Vietnam War memorial) 등을 비롯한 메모리얼에서 볼 수 있듯이, 기념조각 일색에서 벗어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기념공간으로 조성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정원이나 공원과 같이 외부공간에 조성된 전쟁메모리얼로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전쟁에 대한 인식과 메모리얼의 조성에 있어서 입장의 차이가 컸을 것으로 판단되는 연합국으로서 자유민주주의를 대표하는 미국과 공산주의 체제의 소련, 그리고 패전국인 독일 등 3개 국가의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에서 메모리얼의 의미, 규모 및 장소, 기념의 내용 등을 고려하여 국가적 기념성을 잘 나타내는 것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미국의 워싱턴 D.C.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WWⅡ memorial in Washington D.C.), 프랑스 깡(Caen)에 있는 미군기념정원(United States Armed Forces memorial garden), 하와이 진주만에 있는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U.S.S Arizona memorial), 소련의 모스크바 승리공원(Victory park) 및 베를린 트렙타워 공원(Treptower park)에 있는 소비에트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Soviet WWⅡ memorial), 독일의 베를린에 있는 노이에 바헤(Neue Wache), 드레스덴 공공묘지(Dresden Heidefriedhof)의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WWⅡ memorial),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공묘지(Frankfurt am Main Hauptfriedhof)의 전쟁희생자메모리얼(war victim memorial), 뷔르츠부르크 전쟁메모리얼(war memorial in Wurzburg) 등 3개국 9개소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2 조사 및 분석방법

본 연구는 대상지를 선정하고 오랜 시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각 전쟁메모리얼의 기념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쟁메모리얼에 나타난 국가별 기념성을 비교 고찰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Figure 1 참조).

jkila-51-3-37-g1
Figure 1. Research process
Download Original Figure

현지조사는 2010년 11월 27-29일 미국의 워싱턴 D.C.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 하와이 진주만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 2015년 10월 20일에 프랑스 깡에 있는 미군기념정원, 2016년 4월 17일 러시아 모스크바에 있는 승리공원, 2019년 1월 31일-2월 6일 독일 베를린 트렙타워 공원에 있는 소련의 소비에트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 및 노이에 바헤, 드레스덴 공공묘지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전쟁희생자메모리얼, 뷔르츠부르크 전쟁메모리얼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아울러, 현지 조사에서 사진촬영 및 전쟁메모리얼과 관련된 문헌자료와 안내서를 수집하였고 연구대상이 되는 전쟁메모리얼과 관련된 연구자료, 기사 및 비평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3 분석의 기준

전쟁메모리얼은 전쟁의 역사, 사회적 목적 및 물리적 환경(Mayo, 1988: 4-17), 장소적 특성(Bleakney, 2006: 149), 시대적 양식(Bleakney, 2006: 27-31)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지므로 예술적, 문화적, 사회적, 역사적 가치가 크다(https://www.ukwarmemorials.org/). 아울러, 메모리얼을 기획하고 조성하는 과정에서 정치적 이념 및 종교 등의 차이로 사회적 갈등과 담론이 형성되므로 국가별로 서로 다른 기념공간을 만들게 된다.

조경의 관점에서 전쟁메모리얼의 기념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전쟁메모리얼의 물리적 실체와 상징적 의미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조성목적과 과정, 입지 및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조각 등 기념적 요소, 그리고 기념적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그 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연합국 내에서도 미국을 중심으로 자유민주주의와 소련의 공산주의가 이념적 대립이 심하였기 때문에, 전쟁메모리얼의 조성 목적과 여기에 담아야 할 가치가 달랐다. 메모리얼을 조성하기 위한 기획 및 공모, 작품선정, 조성과정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메모리얼은 늘 주목받았으며, 정치사회적 갈등이 불가피하였다. 더구나 패전국인 독일은 전쟁에 대한 기억과 메모리얼에 대한 생각은 더욱 어렵고 복잡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전쟁메모리얼의 조성과정과 목적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둘째, 국가를 대표하는 전쟁메모리얼은 그것 자체의 중요성 때문에 수도(首都)의 대표적인 상징적 장소에 입지하게 되며, 치열한 전투로 많은 전몰자가 발생한 곳도 높은 장소성을 갖기 때문에 전쟁메모리얼의 입지만으로도 기념의 장소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셋째, 위와 같은 조성목적, 입지 및 규모, 환경 특성을 반영하여 설계개념을 구체화하여 기본구상안을 만드는 데 핵심이 되는 공간적 형태 및 구성은 메모리얼의 골격을 형성하는 중요한 사항이다. 전쟁메모리얼에서 기념성을 높이기 위해 중심축을 도입하거나 정형적인 공간 형태를 보여주므로(Lee, 2015) 이러한 공간적 구성과 형태를 분석하였다. 넷째, 기념탑, 기념벽, 건축물, 십자가, 기념수목, 폰드, 폭포, 역사적인 물건은 메모리얼에서 기념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 요소이며(Jorgensen, 1998), 집단이나 국가의 상징물인 국기 및 문장, 조각, 건축물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상징적 의미를 전달하기도 한다(Whittick, 1961). 한편, 조각이나 기념물은 고전적 형태로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지나치게 단순하다는 비평적 시각이 있지만 현대의 전쟁메모리얼에서도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적용되고 있다(Mayo, 1988: 4). 이러한 조경디테일과 조각 및 건축물 등 기념물을 대상으로 재료 및 색과 형태, 그리고 배치 및 구성 등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쟁메모리얼에는 기념벽에 전몰자의 이름을 새기거나 국가적 일체감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언어 및 시각적 표현을 하게 된다(Hagopian, 2001). 성경, 시, 산문, 주요한 연설 등에서 인용한 간결하고 상징적인 단어, 구, 문장 등 레터링과 그림을 통하여 희생자를 추모하고 참전용사의 명예를 고양하며 국가적 기념성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기념적 메시지를 분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승전국과 패전국의 입장이 크게 달랐고 이어지는 자유민주주의 및 공산주의의 이념 대립으로 메모리얼은 영향을 받았다. 전쟁에 대한 기억과 기념은 국가를 포함한 다양한 집단의 갈등과 협상, 투쟁의 과정에서 구성되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것으로(Gillis, 1994), 전쟁메모리얼은 시대의 이념이 반영된 정치적인 공간이다. 아울러, 전몰자를 추모하고 사회를 치유하는 것은 전쟁메모리얼의 필요조건이며, 죽음이라는 어려운 문제를 마주한 인간에게 종교는 가장 근본적인 기념 문화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각각의 제2차 세계대전 전쟁메모리얼의 기념성에 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각 나라별 국가적 기념성에 대하여 정치사회적 측면과 종교적 측면에서 비교고찰하였다.

3. 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적 특성

3.1 미국 전쟁메모리얼의 특성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승전국으로서 종전 후 많은 묘지와 메모리얼을 조성하였다. 대부분 도시 및 마을 차원에서 만든 기념비나 조각 등으로 단순하게 만들어졌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미국 전쟁 모뉴먼트 위원회(ABMC: American Battle Monuments Commission)가 세계적으로 26개소의 전쟁묘지와 32개의 연방정부 메모리얼을 조성 및 관리하고 있으며(https://www.abmc.gov/cemeteries-memorials), 대부분 전쟁묘지이거나 모뉴먼트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 조건에 적합한 것으로 미국 워싱턴 D.C.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 진주만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 그리고 프랑스 캉에 있는 미군기념정원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3.1.1 워싱턴 D.C.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의 특성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은 전쟁에 기여한 모든 미국인을 위하여 2004년 처음으로 건립된 국가 메모리얼이다. 동쪽으로 워싱턴 모뉴먼트(Washington monument), 서쪽으로 링컨 메모리얼(Lincoln memorial)을 두고 내셔널 몰(the National Mall)의 중심축에 세움으로서(Figure 2(a) 참조) 국가를 수호하고 평화와 자유를 지키기 위한 미국의 대의명분을 강조하며 미국인들의 희생 및 헌신과 국가적 단결 및 승리를 나타내기 위해 조성되었다(https://www.wwiimemorial.com/Facts). 1996년 공모전에서 당선된 건축가 프리드리히 플로리안(Friedrich St. Florian)의 설계안은 입지가 부적정하고 국가의 소중한 비스타 경관을 훼손하는 문제가 제기되었으며(Architecture, 1997), 지나치게 규모가 커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일부 도상과 화강석 열주는 나치시대를 연상시킨다는 반대에 부딪혔다(THE TIMES, 2001). 설계자와 ABMC는 비평가 및 반대자와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형의 변화와 조형물의 규모를 줄이고 작은 알형태의 레인보우 풀을 도입하였으며, 가로수 길에 자라는 느릅나무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였다.

jkila-51-3-37-g2
Figure 2. World War Ⅱ memorials in Washington D.C. National Mall
Download Original Figure

메모리얼은 내셔널 몰의 중심축에 대칭적 정형구조를 갖고 있으며, 폰드를 중심으로 동측 워싱턴 모뉴먼트 방향으로 열려 있고 서측 링컨메모리얼 방면으로 기념벽을 배경으로 기념표석 위에는 “여기에 우리는 자유의 가치를 나타낸다(HERE WE MARK THE PRICE OF FREEDOM)”고 새기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자유를 위한 대의명분과 헌신을 강조하고 있다. 레인보우 풀 주변에 56개의 화강석 열주는 48개 주, 7개 연방영토, 그리고 컬럼비아특별구(district of Clumbia)를 나타내어 국민의 단결과 국가적 일체감을 형성하고 있다(Figure 2(b) 참조). 풀의 남북에 위치한 13m를 넘는 2개의 아치형 ‘승리의 파빌리언(the Victory Pavilions)’에는 ‘ATLANTIC’과 ‘PACIFIC’을 새기어 대서양과 태평양 전선에서 미국의 승리를 고양하고 있으며, 미국을 상징하는 4마리 독수리 조각이 그리스 전통에서 빌린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관을 붙잡고 있다(Figure 2(d) 참조). 메모리얼 입구의 기념표석에 조각된 독수리 문양은 미국의 전쟁메모리얼의 기념물에 도입되는 대표적 상징이다(Figure 2(c) 참조)이며, 입구의 옆 난간에는 전쟁 당시 참전 군인들의 모습과 전쟁의 이야기를 표현한 24개의 청동 부조를 설치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하여 내셔널 몰에 처음 만들어진 국가적 메모리얼로서, 전몰자를 추모하고 자유와 평화를 위한 미국의 헌신이라는 대의를 강조하고 승리를 고양하였다. 한편, 국가의 중심으로서 상징성을 갖는 내셔널 몰의 비스타 경관을 훼손하는 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3.1.2 진주만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의 특성

제2차 세계대전 중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하와이 진주만 기습 공격으로 인하여 미국 본토가 처음으로 심각하게 피해를 입은 곳에 침몰한 U.S.S 애리조나 전투함 위에 진주만 공습으로 전사한 군인들을 추모하는 메모리얼이 만들어졌다. 메모리얼을 만들기 위한 제안이 현실화되기 시작한 것은 1949년 전쟁 기념관 건립위원회(the Pacific War Memorial Commission)가 하와이지역에 설치되면서부터이다. 1950년 태평양지역 총사령관(CINCPAC) 아서 래드포드(Arthur Radford) 대장은 침몰한 전함에 깃대를 세울 것을 명령하였으며, 진주만 공격 9주년 기념식에서 깃대의 기초 위에 기념 명판을 설치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유럽에서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한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대통령은 1958년 메모리얼을 만드는 것을 승인하였으며, 1961년 완공되었다(National Park Service of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10). 메모리얼을 설계한 알프레드 프레이스(Alfred Preis)가 설명한 것처럼 침몰한 전함의 중앙부를 가로지른 56m(184ft) 크기의 기다란 기념관은 가운데가 쳐져 내려갔으나 양쪽 끝이 튼튼하고 힘차게 솟아있어 최초의 공습으로 인한 피해를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승리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3(a) 참조). 기념관 내부는 진입 및 집회 공간, 기념 의식과 전체적인 조망을 위한 중앙부, 그리고 애리조나 호에서 전사한 사람들의 이름을 대리석 벽에 새겨 넣은 추모의 방 등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Figure 3(b) 참조). 방문객들이 침몰한 전함 위에 세워진 메모리얼로 가기 위해서는 배를 타고 가야 하므로, 메모리얼은 물리적 실체에 그치지 않고 과정으로서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Figure 3(c), Figure 3(d) 참조).

jkila-51-3-37-g3
Figure 3. U.S.S Arizona memorial
Download Original Figure

미국 본토에서 유일하게 공습 피해를 입은 역사적 장소와 침몰한 전함을 그대로 보존하여 희생자를 추모하고 일본의 공습에 의한 파괴로부터 미국이 궁극적으로 승리하였음을 나타내고 있어 미국의 강한 힘과 애국심을 강조하였다. 또한 비지터센터 및 박물관과 해상에 있는 기념관 및 메모리얼 구역으로 나뉘어 조성되었기 때문에, 방문객은 이동과정에서 현장의 사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3.1.3 노르망디 깡에 있는 미군기념정원의 특성

서유럽 전선이었던 프랑스 캉에 1988년 칸 메모리얼 박물관(the Caen Memorial Museum)과 옥외 기념공간이 만들어졌으며, 이곳에 D-Day 50주년을 기념하고자 1994년 6월 미국에 있는 노르망디전투 재단(the United States-Based Battle of Normandy Foundation)에 의해 미군을 위한 기념정원이 조성되었다. 설계를 맡았던 모건 휠록(Morgan Wheelock)은 대지의 지형으로부터 감흥을 얻어서 자유를 위한 헌신을 기리고 희생자의 안식 및 고귀함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는 치유와 평화의 정원을 생각하였으며, 대지와 물, 숲 등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통한 정신적 안정을 추구하였다(Gillette, 1996).

미국의 숲을 생각나게 하는 자생하는 숲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곳으로부터 대서양 해안의 돌이 깔린 초원을 암시하는 잔디밭으로 미군 병사의 전진을 상징하고 있다(Figure 4(a) 참조). 진입공간의 분홍색 화강석 포장 위에는 “우리 땅의 심장부에서 자유라는 이름으로 당신에게 주어진 우리 젊은이들의 피를 흘려보내라(FROM THE HEART OF OUR LAND FLOW THE BLOOD OF OUR YOUTH GIVEN TO YOU IN THE NAME OF FREEDOM)”는 기념적 텍스트를 새기어 자유를 위한 미국 젊은 군인들의 희생을 기리고(Figure 4(b) 참조), 밝은 분홍색 화강석으로 만들어진 열린 양손의 모습을 추상적으로 형상화한 수반(水盤)과 이곳을 가득 채워 가장자리로 흘러 넘쳐서 아래 못으로 떨어지도록 하였다(Figure 4(c) 참조). 수반의 구조물을 받치는 캔틸레버 벽에는 미국의 50개 주와 4개 영토에서 가져온 돌이 붙여져 있으며, 방문객은 수반 아래 벽으로 지나가는 보행로에서 수반을 흘러넘치는 물과 풀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하였다(Figure 4(d) 참조). 추상적인 열린 양손의 형태로 만들어진 수조와 떨어지는 물을 통하여 희생된 젊은이의 생명과 자유를 추구하는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기념정원으로서 가장 기본이 되는 희생자 추모에 중점을 두었으며, 미국 영토에서 가져온 돌을 사용하여 국가적 일체감을 강조하였다.

jkila-51-3-37-g4
Figure 4. U.S. Armed Forces memorial garden in Caen
Download Original Figure
3.1.4 소결

미국의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에서는 전쟁 중 희생된 전사자를 추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자유를 위한 미국의 대의명분과 희생을 강조하였으며, 미국의 단결과 승리를 고양하기 위해 국가적 상징을 적용하였다. 국가의 중심적 위치와 노르망디 전선 및 진주만 등 장소성이 높은 곳에 입지하여 기념성을 높이고 있으며, 공간적으로 축적 구성을 하고 기념적 요소를 정형적으로 배치하였으며, 깡에 있는 미군기념정원에서는 연속적인 공간의 전개를 통하여 희생자를 추모하고 자유를 향한 의지를 나타내었다. 미국을 상징하는 흰머리 독수리와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 각주 및 영토를 나타내는 열주와 벽에 붙인 기념석으로 국가적 단결과 승리를 강조하였다. 물을 매체로 하는 폰드 및 폭포를 희생자 추모를 위한 기본적 요소로 적용하였으며, 열린 손의 형태를 통한 희생자 추모와 추상적 형태의 기념관 구조물을 통하여 전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궁극적 승리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기념적 텍스트를 통하여 자유를 위한 미국의 희생과 헌신을 표현하였다.

3.2 소련 전쟁메모리얼의 특성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과 소련이 싸웠던 동부전선에서는 치열한 전투로 인하여 가장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볼고그라드(Volgograd) 및 샹트페데르부르크(Saint Petersburg) 등에 승리광장을 만들고 주요 도시마다 전몰자를 추모하고 전쟁 승리를 기념하는 많은 기념물을 세웠다. 이러한 모뉴먼트는 대부분 소련을 구성하는 개별 국가 또는 도시를 대표하는 기념물의 성격을 갖고 있다. 모스크바는 소련 및 러시아의 수도였기 때문에 여기에 만들어진 제2차 세계대전 기념공간인 승리공원은 가장 대표적이며 조성과정에서 많은 정치사회적 갈등이 벌어졌다. 이곳에는 소련이 ‘대조국전쟁(the Great Patriotic War)’1)으로 호칭하는 제2차 세계대전을 기념하기 위해 여러 개의 메모리얼, 박물관, 조각 등이 세워져 있다(https://www.tracesofwar.com/themes/5530/Moscows-Victory-Park.htm). 아울러, 베를린 트렙타워 공원에 있는 소비에트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은 1967년까지 소련에서 가장 큰 규모의 메모리얼이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냉전시기에 공산주의 이념과 소련의 정치적 힘을 상징하는 기념공간이었으므로(Stangle, 2003: 213) 동독에 주둔한 소련 군대의 전쟁 기념행사를 위한 장소인 동시에 동독 정부와 지도자들이 소련과 그들의 단단한 연대를 나타내기 위한 메모리얼이었다.

3.2.1 모스크바 승리공원의 특성

모스크바의 포크로나이아 언덕(Poklonnoy Gore)에 전쟁 승리를 기념하기 위한 메모리얼을 만들기 위한 계획은 종전 후 스탈린(Joseph Stalin)으로부터 후루시초프(Nikita Khrushchev), 브레즈네프(Leonid Brezhnev), 안드로포브(Yury Andropov), 체르넨코(Nikolai Chernenko)로 정권이 바뀌면서 계속해서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고 취소되는 과정을 되풀이하였다. 게다가 고르바쵸프(Mikhail Gorbachev)와 뒤이어 등장한 엘친(Boris Yeltsin)으로 이어지면서 소련의 개혁 및 개방과 소련이 해체되던 시기의 정치사회적 혼란 속에서 승리공원의 조성에 관한 갈등이 더욱 커진 가운데, 반세기가 지난 1995년 제2차 세계대전 승전 50주년에 맞추어서 비로소 개장되었다. 소련 전역에 많은 제2차 세계전쟁 기념물이 만들어졌고, 권력을 독점한 공산주의 정권에서 전쟁을 기념하기 위한 메모리얼을 만드는 것에 깊은 관심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를 대표하는 메모리얼을 만들 수 없었던 이유는, 소련이 해체되기 전까지 공산당 정권의 정치적 추의 이동에 따라 전쟁에 대한 내러티브가 달라졌으며, 승리공원의 계획안을 수립하기 위한 여러 차례의 공모전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소련 내 다양한 그룹들의 정치사회적 갈등이 있었기 때문이다. 종전 후 소련이 마주한 정치사회적 변화와 소련의 붕괴로 이어진 격변과 공산주의 체제 행정의 비효율성에 기인한 것이다(Schleifman, 2001).

승리공원의 공간적 구조는 포크로나이아 언덕 위에 세워진 승리의 오벨리스크(Victory Obelisk)와 전쟁박물관(Central Museum of the Great Patriotic War)을 중심으로 하여 축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 전쟁박물관 앞에는 장방형 못에 영원한 불꽃이 있으며, 승리를 기념하는 오벨리스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보행로가 퍼져나가고 있다(Figure 5(a) 참조). 북동측으로부터 오르막으로 오벨리스크로 향하는 ‘승리의 길(‘Years of War’ Alley)’을 따라서 제2차 세계대전의 5년을 나타내는 5개의 테라스 풀이 있으며, 측면에 러시아 정교회(St. George Church)(Figure 5(f) 참조)가 있다. 전쟁박물관 남서측에는 ‘파시즘에 대항하는 전쟁에서 우리는 함께 하였다(In the Struggle against Fascism, We were Together)’(Figure 5(c) 참조) 주제의 모뉴먼트가 있으며, 남측에 있는 보행로를 따라 전쟁무기가 전시되어 있다.

jkila-51-3-37-g5
Figure 5. Victory park in Moskva
Download Original Figure

1993년 준공된 전쟁박물관 내부에는 ‘영예의 전당(the Hall of Glory)’이 있으며, 그 중심에는 거대한 금빛 병사의 이미지를 띤 ‘승리한 사람들(Victorious People)’이 있으며(Figure 5(e) 참조), 원형 홀의 대리석 벽에는 수천 명의 소련 병사들의 이름이 금색으로 새겨져 있고 소련의 12개 도시의 모습이 부조로 만들어져 있다. 아울러 동부전선의 역사와 함께 전쟁에 참전한 군대의 군복과 무기가 전시되고 있으며, 아래층 ‘기억의 홀(Hall of Remembrance)’에는 2천 6백만 명에 달하는 전사자의 이름이 적힌 ‘기억의 책(Book of Remembrance)’이 있다. 이밖에도 수천 개의 유리알을 실로 연결하여 눈물을 나타낸 기억과 슬픔의 공간이 있으며, 그 가운데 죽은 아들을 무릎에 올려놓은 슬퍼하는 여성 대리석 조각 ‘마더 러시아(Mother Russia)’(Figure 5(d) 참조)가 있는데, 피에타(Pieta)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박물관 앞 언덕 꼭대기에는 조각가 주라브 체레텔리(Zurab Tsereteli)가 만든 러시아를 상징하는 오벨리스크(Figure 5(b) 참조)가 설치되었다. 오벨리스크의 높이는 전쟁의 기간을 상징하는 141.8m(10㎝/일)이며, 표면에는 유명한 군사적 사건과 관련된 총검을 한 소련군을 묘사한 수백 개의 부조가 조각되었으며, 꼭대기에는 승리의 여신인 나이키가 있다. 황금돔을 갖춘 러시아 정교회건물(St. George church)(Figure 5(f) 참조)은 1995년에 세워졌다. 러시아 정교회 교회를 세우는 것은 1987년 공모전에서 제시되었는데, 러시아에서 예배당을 세우는 것은 전쟁 승리를 표시하는 전통적 방법이었고 스탈린도 전쟁 중 모든 국민의 정신적 근원으로서 러시아 정교회를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러시아 정교회 건물이 소련을 대표할 수 있는가에 대한 종교적 갈등이 있었으며, 1998년에 모스크와 유대교회당이 추가로 만들어졌다.

기본적으로 희생자를 추모하고 군인 및 전쟁영웅과 국민의 노력을 칭송하며, 무기 및 전쟁유물 전시 등 전쟁에 관한 다양한 연출을 강조하였다. 정치사회적 갈등에도 불구하고 소련이 명명한 것처럼 대조국전쟁은 공산주의가 부당한 파시스트의 침공을 이기고 승리한 것으로 소비에트 애국주의를 강조함으로서 소비에트의 정체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승리공원에 세워진 기념적 건물 및 모뉴먼트는 스탈린그라드나 레닌그라드의 전쟁메모리얼과 달리 소련 전체를 대표하여 무엇을 기억하고 기념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 정교회 건축에서 잘 나타난 것처럼, 소련을 대표하는 소비에트 국제주의와 러시아 국가주의의 갈등으로 나타났고, 유대교회당 및 이슬람 사원을 만드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다민족 국가였던 소련은 다른 종교 및 연방 국가를 포함하는 공동의 기념을 추구하였다.

3.2.2 트렙타워공원 소비에트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의 특징

1949년 5월 8일, 베를린 트렙타워 공원에 개장된 소비에트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은 7천 명 이상의 소련군 전몰자를 위한 묘지인 동시에 기념공간으로서 1980년대까지만 해도 참전군인과 가족들이 이곳을 방문하여 추모하였고, 동독 및 소련위성국가들과 소련의 상호이해를 도모하는 가시적 결과물이었다.

건축가 야곱 벨로폴스키(Yakov Belopolski), 조각가 알렉산더 고르펜코(Alexander Gorpenko), 공학자 사라 발레리우스(Sarra Valerius)로 구성된 당선팀은, 베를린 전투에서 죽은 소련군 병사를 추모하는 것 이외에도 소련군의 전쟁 승리를 기념하고 해방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였다. 메모리얼은 전체적으로 정형적인 강한 축을 중심으로 완전한 대칭적 구성을 하고 있으며(Figure 6(a) 참조), 메모리얼의 입구에 마주보며 있는 2개의 ‘승리의 아치(Triumphal Arch)’(Figure 6(a) 참조) 위에는 “당신의 위대한 죽음은 불멸입니다. 당신의 영광은 수세기 동안 지속될 것입니다. 당신의 조국은 항상 당신을 기억할 것입니다(EURE GROSSEN HELDENTATEN SIND UNSTERBLICH EUER RUHM WIRD JAHRHUNDERTE UBERLEBEN DIE HEIMAT WIRD EUCH STETS IN ERINNERUNG BEHALTEN).”라는 문구와 “영웅들에게 영원한 영광. 사회주의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전몰한 사람들(EWIGER RUHM DEN HELDEN. DIE FUR DIE FREIHEIT UND UNABHANGIGKEIT DER SOZIALISTISCHEN HEIMAT GEFALLEN SIND)”이라는 의미로 독일어와 러시아어로 표기하여 전몰자를 추모하고 있다. 이곳을 통해 메모리얼 내부로 들어가면 비탄에 잠긴 모습의 조각 ‘Mother Homeland’(Figure 6(c) 참조)로 연결되고, 그곳으로부터 수양버드나무가 심겨진 보행로가 뻗어 있으며, 양쪽으로 깃발 형태의 파일론과 무릎을 꿇어 추모하는 병사 조각상이 양쪽으로 배치되어 있고(Figure 6(d) 참조) 낮은 묘지구역으로 이어지며, 반대편 끝에 위치한 메인 모뉴먼트에 의해 지배되면서 조화를 이룬다(Figure 6(c) 참조).

jkila-51-3-37-g6
Figure 6. Soviet World War Ⅱ memorial in Berlin Treptower park
Download Original Figure

메모리얼의 중심축 초점에는 러시아의 전통적 묘지의 형식인 쿠르간(Kurgan)의 토대 위에 대규모의 ‘소련군 병사의 청동조각(Statue of a Soviet soldier)’이 있으며, 나치의 상징인 깨진 스와스티카 문양 위에 큰 칼을 올리고 왼팔에는 구조된 독일 어린이를 안은 모습을 통하여 나치를 물리친 소련의 역할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Figure 6(f) 참조). 묘역의 양쪽으로 소련의 16개 공화국을 상징하는 대리석으로 만든 16개 석관이 있으며, 그곳을 장식하는 11.7㎡ 크기의 석조 부조기념벽에는 전쟁 중 장면으로서 소련 사람들의 나라를 지키기 위한 다양한 모습을 표현하였으며(Figure 6(e) 참조), 독일어와 러시아어로 쓰인 글귀는 “붉은 군대는 1941년 6월 소련 인민의 평화로운 건설 작업을 보호했지만 히틀러 독일은 우리나라를 폭격했다. 잔인하고 비열한 방법으로 비폭력 조약을 위반함으로써, 그리고 붉은 군대는 그의 고향을 지키기 위해 들판으로 나가야 했다(ZWEI JAHRZEHNTE SCHUTZTE DIE ROTE ARMEE DIE FRIEDLICHE AUFBAUARBEIT DES SOWJETVOLKES. DOCH IM JUNI 1941 UBERFIEL HITLERDEUTSCHLAND WORT-BRUCHIG UNSER LAND, INDEM ES IN BRUTALER UND NIEDERTRACHTIGER WEISE DEN NICHTAN-GRIFFSPAKT VERLETZTE, UND DIE ROTE ARMEE SAH SICH GEZWUNGEN, INS FELD ZU ZIEHEN, UM IHPE HEIMAT ZU VERTEI-DIGEN).” 등과 같이 스탈린의 발언과 붉은 군대에 내린 명령에서 발췌한 글을 새기어 나치독일에 대한 전쟁의 당위성과 소련군을 영웅과 해방자로서 강조하는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하였다(Stangle, 2003: 22-224)2).

이곳에서는 전몰자 추모와 함께, 소련의 나치에 대한 전쟁 승리를 강조하고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을 종식하고 국가사회주의로부터 해방이라는 의미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방문객들에게 소련군을 영웅과 해방자로서 기억하게 함으로서 소련에 종속되었던 동독 치하에서 의도적인 이념적 선전의 장이 되었으며, 스탈린 통치하에 지배적인 역사적․예술적 개념이었던 영웅숭배와 공산주의 양식의 특성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3.2.3 소결

소련의 수도인 모스크바에 만들어진 승리공원과 베를린 트렙타워 공원에 있는 소비에트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은 공통적으로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쟁영웅을 기리면서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이 파시스트 나치 독일을 물리친 대조국전쟁을 주요한 개념으로 적용하였다. 국가의 중심적 위치와 전적지라는 입지의 상징성을 강조하고 여기에 중심축을 가진 엄격한 정형적 공간구조를 이룬 가장 대표적인 메모리얼을 세우고 영웅적 모습의 병사 조각, 승리의 오벨리스크, 전쟁 모습을 새긴 기념벽과 전시공간에 표현하는 공산주의 양식을 보여주었으며, 월계수 및 피에타 등 유럽문화권에 공유되는 상징을 사용하였다.

3.3 독일 전쟁메모리얼의 특성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독일은 동․서독으로 나뉘고 연합국의 통제하에 들어가면서 전쟁 책임, 나치의 학살, 그리고 민간인 희생 등 역사적 과오로 인하여 국가를 나타내는 모뉴먼트나 메모리얼을 새롭게 만드는 것이 엄격히 제한되었다(The Allied Secretariat Berlin. 1946). 전사한 군인들은 대부분 가까운 군인묘지에 안장이 되었고, 고향으로 돌아온 전사자 유해는 전쟁 중 죽은 민간 희생자 및 나치에 의한 희생자와 함께, 기존에 있던 전쟁묘지와 교회 묘지에 묻혔다. 이러한 이유로 독일에서는 독일의 군사적 전통이나 상징성을 갖는 제2차 세계대전 전쟁메모리얼을 찾기 어렵다. 이러한 제약 아래, 전쟁메모리얼로서 베를린에 있는 노이에 바헤, 드레스덴 공공묘지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 그리고 묘지인 동시에 전쟁메모리얼인 뷔르츠부르크및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공묘지의 전쟁메모리얼을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다.

3.3.1 베를린 노이에 바헤의 특성

노이에 바헤는 1918년 독일의 건축가 카를 싱켈(Karl Friedrich Schinkel)에 의해 설계된 신전 같은 신고전주의식 돔형 건물로서, 프로이센 황실 경비대를 위한 건물로 지어졌다(Figure 7(a) 참조). 제1차 세계대전 이후 1931년부터 전몰자를 위한 기념관으로 사용되었는데, 제2차 세계대전 후 동독 정부하에서는 기념관 내부에 사회주의를 상징하는 문양과 영원히 꺼지지 않는 횃불 등이 만들어져 사회주의적 색채가 강하게 나타났고 군과 관련된 행사가 계속되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독일이 통일되면서, 1992년 콜(Helmut Kohl) 총리는 희생자 추모와 함께 동․서독의 화합 및 국민의 통합을 나타내고자 피에타 조각상을 모티브로 한 케테 콜비츠(Kathe Kollwitz)의 작품 ‘죽은 아들을 안은 어머니 조각상(Mother with Her Dead Son)’을 신전 중앙에 배치하도록 함으로써(Figure 7(b) 참조) 이곳은 독일을 대표하여 제1․2차 세계대전으로 희생된 전몰자를 추모하는 국가적 기념의 상징적 장소가 되었다(Lee, 2021b: 60).

jkila-51-3-37-g7
Figure 7. World War Ⅱ memorial of Berlin and Dresden
Download Original Figure
3.3.2 드레스덴 공공묘지에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의 특성

드레스덴 공공묘지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은 공동묘지의 중심을 연결하는 보행로 축선상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조성된 원형 광장 메모리얼과 함께, 보행로의 끝에 있는 흰색 추모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행로 양측에는 드레스덴 공습 희생자가 묻힌 집단묘지가 있다.

원형광장의 가운데 추모를 위한 화로가 있고 가장자리에는 14개 기둥을 세우고 여기에 제2차 세계대전 중 폭격으로 심각하게 파괴된 유럽의 7개 도시인 ‘Coventry’, ‘Dresden’, ‘Leningrad’, ‘Lidice’, ‘Oradour’, ‘Rotterdam’, ‘Warschau’와 다른 7개 기둥에는 홀로코스트 수용소인 ‘Auschwitz’, ‘Bergen-Belsen’, ‘Buchenwald’, ‘Dachau’, ‘Ravensbrűck’, ‘Sachsenhausen’, ‘Theresienstadt’ 등의 명칭을 새겨 놓았다(Figure 7(c) 참조). 아울러, 1945년 2월 13-14일 드레스덴 공습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기리는 주요한 추모행사가 개최되는 장소인 추모벽 위에는 ‘얼마나 죽었는지? 그들의 수를 누가 알겠는가? 당신의 상처에서 인간이 만든 지옥에서 불타 죽은 이름 없는 사람들의 고통을 알 수 있다(Wieviele starben? Wer kennt die Zahl? An deinen Wunden sieht man die Qual der Namenlosen, die hier verbrannt, im Hollenfeuer aus Menschenhand).’라고 새겼다(Figure 7(d) 참조).

이곳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소련 공산당의 영향을 받았던 동독 시기와 동․서독이 통일된 이후 현재 이르기까지 각종 정치적 행사가 개최되었고 집단 간 갈등이 발생하는 상징적 장소가 되었다. 또한, 원형광장 및 기념벽에는 외형적으로 명백하게 공산주의를 나타내는 상징은 없지만, 제2차 세계대전 중 영국과 미국의 폭격으로 무고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것을 강조하고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 범죄와 연관시킴으로써 나토(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를 적대시하던 공산주의 국가였던 동독의 정치적 의도를 나타내었다.

3.3.3 뷔르츠부르크 전쟁메모리얼의 특성

뷔르츠부르크 전쟁메모리얼과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공묘지 전쟁 희생자 메모리얼은 도시나 지역 출신의 제1․2차 세계대전 희생자를 함께 추모하는 독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기념공간이다. 뷔르츠부르크 후사르 숲(Husarenwaldchen)에 위치한 이 전쟁메모리얼은 당초 제1차 세계대전 전몰자를 추모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추가적으로 전몰자를 추모하는 메모리얼이 되었다. 메모리얼의 입구의 역할을 하는 4개의 열주(Figure 8(a) 참조)를 지나 직선으로 난 진입로가 끝나는 곳에 제2차 세계대전의 기간인 1939년부터 1945년까지를 각각 새긴 십자가 모뉴먼트가 주위로 세워져 있으며, 중심에는 메모리얼을 대표하는 추모조각을 마주하게 된다. 조각의 뒤편으로는 반원형 기념벽이 세워져 있으며(Figure 8(b) 참조), 좌우 측면에는 “그녀의 아들들의 도시(DIE STADT IHREN SOEHNEN)”이라는 글귀와 중간에는 전몰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Figure 8(c) 참조). 원형광장의 가운데 세워진 군인들 조각은 1931년 제1차 세계대전의 패전을 기리기 위해 헌정한 것으로 조각가인 프라이드 호울러(Friedrich Maximilian Heuler)와 건축가인 프란츠 클라인슈토이버(Franz Kleinsteuber)가 함께 작업하여 만든 것이다. 이 조각은 다른 전쟁기념물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전투적인 모습과 다르게 무거운 군인코트를 입고 부츠에 철모를 쓴 6명의 전사들이 전사한 동료의 관을 어깨에 메고 한편으로는 무릎을 꿇는 모습을 통하여 전몰자를 추모하고 있다(Figure 8(d) 참조). 병사들의 외모는 상세한 표현을 절제하였지만 강인함과 동시에 어둡고 우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두 차례 세계대전에서 죽은 동료를 추모하며 고통을 상기시키는 인상적인 조각으로 동지애를 강하게 표현하였다.

jkila-51-3-37-g8
Figure 8. World War Ⅱ Memorial in Wurzburg and Frankfurt Am Main
Download Original Figure
3.3.4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공묘지 전쟁희생자메모리얼 특성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공공묘지에 있는 전쟁 희생자 메모리얼도 제1․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로서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크푸르트에 있던 군 병원에서 사망한 독일군과 러시아 및 세르비아 전쟁 포로가 묻힌 묘지의 일부였던 곳에 제2차 세계대전 후 묘지가 확장되어 프랑크푸르트 암마인에서 폭격을 당한 독일군과 민간인 희생자가 묻히게 되었다.

좌우로 전몰자 묘지가 있는 보행축을 통해 중심에 위치한 기념관으로 연결된다. 건축가 헤르만 센프(Hermann Senf)가 설계한 기념관은 죽음을 의미하는 검은 현무암으로 만든 원통형 건물에 돔형 지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출입구가 직사각형으로 열려 있고 천장이 원형으로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개방된 원형 홀 형태이다(Figure 8(e) 참조). 건물 내부에는 반구형으로 패인 벽감을 배경으로 조각가 폴 자일러(Paul Seiler)가 만든 누워 있는 전사한 군인조각이 있으며(Figure 8(f) 참조), 내벽의 원형의 띠 돌 위에는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아들들의 도시(DIE STADT FRANKFURT AM MAIN IHREN IM WELTKRIEGEGEFALLENENSOEHNEN)’라는 글을 새기어 지역 출신 참전자의 연대를 강조하였다. 영면하고 있는 병사의 조각과 기념관 돔 위로 개방된 천장과 사각형의 입구는 망자의 닫힌 공간과 세상의 열린 공간이 대조를 이루고 있다. 나치가 일으킨 전쟁과 학살의 책임을 반성하는 노력과 동시에 전사한 병사의 죽음을 추모해야 하는 독일의 고민이 병치되고 있다(Lee, 2021b: 353).

3.3.5 소결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독일은 종전 후 연합국의 통제하에 국가차원의 메모리얼이나 독일을 상징하는 것을 만들 수 없었다. 그러므로 독일의 전쟁메모리얼에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평화를 지향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서유럽에 있는 독일 군인묘지에서 희생자를 추모하고 평화 및 화해를 추구했던 것과 비슷한 개념을 갖고 있다(Lee, 2021a: 109). 공간적으로 정형적 형태로 축을 중요시하였으며, 노이에 바헤의 피에타 조각상이나 프랑크푸르트 암마인의 전쟁희생자 메모리얼의 기념물에서 사실적인 전사한 군인조각을 통하여 죽음을 비탄하고 희생자를 추모하였으며, 뷔르츠부르크 공공묘지의 전쟁메모리얼에서도 시신을 운구하는 군인들 조각을 통하여 동지애를 강조하였다.

4. 국가별 기념성 비교 고찰

미국, 소련, 독일의 제2차 세계대전 전쟁메모리얼의 의미 및 형태는 이념과 시대적 정신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조성과정에서 정치사회적 갈등이 불가피하였다. 그럼에도 전쟁메모리얼의 기본적 목적인 전사자 및 희생자를 추모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것은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였기 때문이다. 국가별로 미국은 자유를 위한 대의명분과 헌신을 강조하면서 미국의 단결과 승리를 고양하였으며, 소련은 전쟁영웅을 기리고 공산주의 국가 소련이 파시스트 나치 독일을 물리친 대조국전쟁을 강조함으로써 승전국으로서 국가적 기념성을 표현하였다. 한편, 패전한 독일은 종전 후 동․서독으로 나뉘고 연합국에 의해 통제되면서 국가차원의 기념공간이나 독일을 상징하는 모뉴먼트나 메모리얼을 새롭게 만들지 못하고, 교회 및 지역에서 조성한 공공묘지에 전쟁 희생자를 추모하고 평화를 지향하는 기념물과 메모리얼을 만들었다(Table 1 참조).

Table 1. The characteristics of commemoration by nation
Nation U.S.A USSR Germany
Analysis items
Introduction
  • Commemorate to the victims

  • Emphasize the cause of justice and dedication for freedom

  • Uplift the victory of WWII

  • Promote national unity

  • Emphasize ‘the Great Patriotic War’ against fascist nazi and worship for war heroes

  • Propagandize of communism, but exposed instability and inefficiency of it’s system

  • Promote national unity by embracing different religions and countries

  • Can’t make WWII memorial representing national characteristics

  • Commemorate to the victims, comradeship

  • Seeking peace and reconciliation

Location
  • Located in ‘the National Mall’ in Wahington D.C. as the center of the nation’s capital

  • Located in the iconic place close to the battlefield

  • Located in Moscova. as the center of the nation’s capital

  • Located in the iconic place close to the battlefield

  • Located in the nation’s capital and local church and cemetery

  • Some of WWII memorial merged into WWI memorial

Spacial characteristics
  • Mostly formed special axis and geometrical pattern

  • Represent the flow and continuity of space through modern design

  • Strictly formed special axis and geometrical pattern

  • Strictly formed special axis and geometrical pattern

Commemorative elements
  • Applied the symbol of the united states as bald eagle, national flag, column, symbolic stone

  • Applied waterscape facilities using water as a medium for commemoration and reminiscence of the victims

  • Shaped like a human hand in abstract form and monuments in abstract form

  • Visually expressed ’the Great Patioric War’ through wall and display space

  • Erected heroic soldier sculptures

  • Built Russian Orthodox church, Mosque, and synagogue as religious symbol

  • Strongly manifested communist style

  • Partially shows a Christian image sculpture inspired by Pieta

  • Use the sculpture of the fallen to commemorate the victims

  • Partially use the cross

  • Erected commemorative wall and column in Dresden Heidefriedhof WWII memorial

  • Partially shows a Christian image sculpture inspired by Pieta

Commemorative text
  • Emphasize the cause of justice and dedication for freedom

  • Uplift the victory of WWII

  • Emphasize ‘the Great Patriotic War’ against fascist nazi using the relief memorial wall and exhibition space

  • Memorized to the victims from the region

Download Excel Table
4.1 입지 및 공간적 특성

미국은 수도인 워싱턴 D.C. 내셔널 몰에 제2차 세계대전을 기념하는 메모리얼을 세웠으며, 소련도 모스크바의 포크로나이아 언덕에 국가를 대표하는 기념공원을 조성하였다. 한편, 독일은 베를린 중심에 있는 노이에 바헤를 제1․2차 세계대전 추모공간으로 사용하였다. 각 국가의 상징적 중심인 수도에 대표적인 전쟁기념공간을 세우는 것 자체가 국가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방법이었다. 한편, 미국에서는 워싱턴 D.C. 내셔널 몰에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을 조성하면서 비스타 경관을 훼손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독일에서도 노이에 바헤를 전쟁추모공간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나치에 의한 희생자를 추모하는 공간과 병치되는 문제 등으로 논란이 발생하였다. 미국, 소련, 독일 모두 도시 및 지역 차원에서 전쟁 모뉴먼트를 세웠으며, 특히 국가 차원의 메모리얼을 만들기 어려웠던 독일에서는 교회의 교구 및 도시차원에서 희생자를 추모하는 묘지와 모뉴먼트를 만드는 것이 주요한 추모의 방법이었다. 아울러, 전쟁 중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노르망디, 벌지, 베를린, 스탈린그라드 등에는 많은 전사자와 큰 피해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장소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그곳의 기념적 가치가 더욱 높아졌기 때문에 제2차 세계대전 모뉴먼트와 메모리얼이 조성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은 국가를 대표하는 곳이나 장소적 의미가 있는 곳에 입지하였고 독일에서는 교회묘지와 공공묘지의 기념공간에 조성되기도 하였다. 공간적으로는 전쟁메모리얼에서 추구하는 기념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정형적이며, 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어 간결하고 명료한 공간적 구성과 절제된 아름다움과 조화를 추구하였다. 한편, 프랑스 깡에 있는 미국의 미군기념정원에서는 숲과 초지, 열린 손을 상징하는 폰드와 폭포 등 물을 매체로 하여 공간의 연속적 흐름을 통하여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국가적 일체감을 보여주었다.

4.2 기념적 요소의 특성

미국, 소련, 독일에서 기념벽을 사용하여 전쟁의 모습과 기념적 텍스트를 새기어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국가별로 미국은 국가를 상징하는 독수리, 각 주 및 영토를 나타내는 열주와 벽에 붙인 돌을 이용하여 국가적 일체감과 단결을 강조하였고, 소련은 공산주의 양식으로서 군인 조각이나 오벨리스크를 세웠다. 미국 및 소련에서는 공통적으로 승리를 상징하는 기념조각과 월계수를 상징적 요소로 사용한 반면, 독일에서는 유럽에 있는 독일의 군인묘지와 마찬가지로 전사한 군인조각을 통하여 희생자를 추모하고 동지애를 나타내면서, 슬픈 감정을 표현하였다. 소련의 모스크바 전쟁기념관이나 독일 베를린 노이에 바헤에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기념조각으로서 기독교적 상징인 피에타 조각을 모티브로 하는 추모의 조각을 중심적 상징물로 적용하였다. 또한 미군기념정원의 폰드와 폭포, 승리공원의 폰드, 워싱턴 D.C.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의 폰드, 물 위에 있는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에서 볼 수 있듯이 물을 주요 매체로 하는 기념적 요소를 사용하였다. 특히, 미국의 미군기념정원에서 열린 손 형태의 상징적 폰드와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의 기념관에서는 추상적 형태를 통하여 각각 추모와 승리감을 전달하였다.

4.3 기념적 메시지의 의미

미국의 워싱턴 D.C.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에 있는 기념표석에는 “여기에 우리는 자유의 대가를 나타낸다” 고 새기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자유를 위한 대의명분과 헌신을 강조하였고 ‘승리의 파빌리언’에는 ‘ATLANTIC’ 및 ‘PACIFIC’을 새겨서 대서양과 태평양 전선에서 미국의 승리를 고양하였다. 소련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을 ‘대조국전쟁(the Great Patriotic War)’으로 호칭하고 메모리얼의 기념벽이나 전시관에서 나치의 침략에 저항하여 싸우고 승리하는 장면을 표현함으로써 국가적 승리와 영웅주의를 나타내었다. 소련의 베를린 트렙타워 공원에 있는 소비에트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의 기념벽에는 독일어와 러시아어로 “붉은 군대는 1941년 6월 소련 인민의 평화로운 건설 작업을 보호했지만 히틀러 독일은 우리나라를 폭격했다. 잔인하고 비열한 방법으로 비폭력 조약을 위반함으로써, 그리고 붉은 군대는 그의 고향을 지키기 위해 들판으로 나가야 했다” 등과 같이 스탈린의 발언과 붉은 군대에 내린 명령에서 발췌한 글을 새기어 나치독일에 대한 전쟁의 당위성과 소련군을 영웅과 해방자로서 강조하는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한편, 독일에서는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아들들의 도시’, ‘뷔르츠부르크의 그녀의 아들들의 도시’를 벽에 새기어 도시의 전몰자를 추모하는 지역메모리얼의 특성을 잘 보여주었다. 한편, 드레스덴 공공묘지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의 7개 열주에는 ‘Dresden’, ‘Leningrad’, ‘Rotterdam’ 등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과 영국의 공습으로 심각하게 파괴된 유럽의 7개 도시 명칭을 새기고, 다른 7개 기둥에는 ‘Auschwitz’,‘ Bergen-Belsen’, ‘Buchenwald’ 등 홀로코스트 수용소 이름을 병치하여 새김으로써, 소련의 통제하에 있었던 동독에서 전쟁 중 도시의 파괴와 많은 시민의 희생을 강조하면서 미국 및 영국을 비난하는 정치적 목적을 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주로 기념벽이나 기념석 위에 기념적 메시지를 표현하였으며, 자유를 위한 미국의 대의명분과 희생을 강조하였고, 소련과 동독에 위치한 메모리얼에서는 공산주의 이념을 선전하기 위한 메시지가 강하게 나타났고, 서독에서는 도시의 전몰자를 추모하는 지역성을 보여주었다.

4.4 기념문화적 특성 고찰

미국은 자유를 위한 대의명분과 헌신, 그리고 단결 및 승리를 강조하였다. 한편, 소련은 제2차 세계대전을 대조국전쟁으로 호칭하며 승리를 강조하였지만 공산주의를 선전하는 정치적 목적을 나타내었다. 한편, 패전국 독일은 전쟁메모리얼의 조성이 어려웠다. 독일을 상징하는 기념비적인 건물이나 조각을 세울 수 없었기 때문에 양차대전이 병합된 메모리얼을 조성하고 메모리얼의 기본적 개념인 희생자를 추모하고 동료애를 강조하였으며, 평화와 화해를 추구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종교적으로 미국은 개신교와 천주교가 다수이므로 미국의 전쟁묘지에서 십자가 묘비 등 기독교를 중심으로 하는 종교적 색채가 강하게 나타냈지만, 전쟁메모리얼에서는 기독교적 상징을 강하게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다민족으로 구성된 소련은 러시아 정교회 및 이슬람교를 포함한 여러 종교가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 정교회를 소련을 상징하는 건축물로 채택하는 데 대한 국가적 대표성이 논란이 제기되었으며, 이슬람 사원과 유대교회당이 추가로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국가적 기념성을 표현하기 어려웠던 독일은 개신교 및 로마 카톨릭이 대표적 종교였기 때문에 대부분 교회묘지나 공원묘지에 제1․2차 세계대전 기념공간을 병렬로 조성하고 전몰군인과 민간인을 함께 추모하였으며, 일부에서 기독교의 상징인 십자가 조각 및 상징물을 사용하였다.

전쟁에 대한 공공의 기억과 국가적 목적을 나타내는 전쟁메모리얼의 조성과정에서 적지 않은 정치사회적 갈등이 동반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전쟁메모리얼은 전몰자를 추모하고 승리를 고양하거나 집단적 죽음에 대한 애도 및 기억의 공간으로서 동시에 화해를 위한 장소로서 역할을 하였다. 정치적으로 미국은 단결과 승리의 고양, 소련은 대조국전쟁의 승리와 공산주의의 선전, 그리고 독일은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였으며, 종교적 측면에서는 미국, 소련, 독일 모두 기독교가 보편적 종교이기 때문에 십자가, 교회, 에비타 조각상 등 기독교적 상징을 다수 도입하는 기념문화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던 미국, 소련, 그리고 독일이 만든 전쟁메모리얼의 국가적 기념성을 밝히기 위하여 메모리얼의 조성과정, 입지 및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조각 등 기념적 요소, 그리고 기념적 표현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국가별로 고유한 기념성을 비교분석하여 차이점을 고찰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소련, 독일의 제2차 세계대전 전쟁메모리얼에서는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전사자 및 희생자를 추모하는 것을 기본적 목적으로 하였다. 국가별로 미국은 자유를 위한 희생과 대의명분을 내세우면서 단결과 승리를 고양하였고, 공산주의 국가 소련은 파시스트 나치 독일을 물리친 대조국전쟁을 강조하면서 공산주의 이념을 선전한 반면, 패전한 독일은 전쟁 희생자를 추모하고 평화를 지향하였다.

둘째,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은 국가의 대표적 장소나 전적지 등 장소적 의미가 있는 곳에 입지하였고 독일에서는 교회묘지나 공공묘지에 조성되어 지역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아울러, 공통적으로 전쟁메모리얼에서 추구하는 기념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공간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정형적인 형태로서 간결하고 절제된 미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공통적으로 기념벽에 전쟁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고, 미국은 자유를 위한 희생과 대의명분, 소련 및 동독은 공산주의 이념을 선전하는 기념적 텍스트를 새겼다. 국가별로 미국은 국가를 상징하는 독수리, 각 주 및 영토를 나타내는 열주, 돌을 매체로 하여 국가적 일체감을 강조하였고, 소련은 공산주의 양식으로서 군인 조각이나 대형 오벨리스크를 세웠다. 미국 및 소련에서는 공통적으로 승리를 상징하는 기념조각과 월계수를 사용하였지만, 독일에서는 전사한 군인조각을 통하여 희생자를 추모하고 슬픔 감정을 표현하였다.

정치적으로 미국은 단결과 승리의 고양, 소련은 대조국전쟁의 승리와 공산주의의 선전, 그리고 독일은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였으며, 종교적 측면에서는 미국, 소련, 독일 모두 기독교가 보편적 종교이기 때문에 십자가, 교회, 에비타 조각상 등 기독교적 상징을 다수 도입하는 기념문화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미국, 소련, 독일 등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제2차 세계대전 메모리얼 중에서 선정된 대상만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전쟁메모리얼을 포괄적으로 다루지 못했으며, 국가적 기념성을 밝히는 데 한계를 갖고 있다.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쟁메모리얼을 조성하거나 국가적 정체성과 숭고한 기념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사유하고, 기념문화를 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Notes

주 1. 소련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을 뜻하는 ‘the Great Patriotic War(대조국전쟁)’와 1812년 나폴레옹의 침공에 승리를 거둔 ‘the Patriotic War’를 함께 기념하면서 서유럽의 침략에 저항하는 애국적 영웅주의를 나타내고 있는데, 소련에서 형용사 Great(velikii)는 최고로 중요한 경우에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제2차 세계대전(the Great Patriotic War)에서의 승리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주 2. 1956년 후루시쵸프가 스탈린 통치를 비난한 이후 스탈린의 조각이 사라지고 그의 이름이 지워졌지만, 석관 위 부조 기념벽의 스탈린 발언은 스탈린주의가 강하지 않고, 묘역을 혼란스럽게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대로 남겨졌다.

References

1.

Architecture(1997) Capital Offense. pp. 62-63.

2.

Bleakney, J.(2006) Revisiting Vietnam: Memoirs, Memorials, Museums. Florence: Routledge.

3.

Borghi, M.(2021) On war and memory: First world memorials and collective memory in Britain, France, and Germany. National Identity 23(5): 555-571.

4.

Callahan, W. A.(2017) Cultivating power: Gardens in the global politics of diplomany, war, and peace. International Political Sociology 11: 360-379.

5.

Gillette, J. B.(1996) Remembering Normandy.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 72-84.

6.

Gillis, J. R.(1994) Memory and identity: The history of a relationship. In John R. Gillis ed., Commemorations (The Politics of National Ident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3-26.
,

7.

Hagopian, P.(2001) The Commemorative Landscape of the Vietnam war. In Joachim Wolschke-Bulmahn eds., Place of Commemoration. Washington D.C.: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pp. 311-376.

8.

Jorgensen, K.(1998) Semiotics in landscape design. Landscape Review 4(1): 39-47.

9.

Lambert, D.(2014) ‘A Living Monument: Memorial parks of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s’ Garden History 14: 34-57.

10.

Lee, S. S.(2001)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tails for memorializ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5): 71-83.

11.

Lee, S. S.(2005) Landscape Elements and Design. Gyeonggi: Doseochulpanjogyeong. p. 86.

12.

Lee, S. S.(2010)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1): 12-24.

13.

Lee, S. S.(2011) A study on commemoration culture of Vietnam War memorials in Vietn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26-38.

14.

Lee, S. S.(2015) A study on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Vietnam war memorial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1-15.

15.

Lee, S. S.(2021a)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emoration in the World War Ⅱ cemeter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9(5): 97-111.

16.

Lee, S. S.(2021b) The Space of Achromatic Color, Holocaust Memorials. Seoul: Hansoop. p. 6.

17.

Lemay, K. C.(2018) TRIUMPH OF THE DEAD (American World War Ⅱ Cemeteries, Monuments, and Diplomacy in France. Tuscaloosa: Th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pp. 1-8, 20, 57-61, 63, 67-69, 82-83, 98, 127-128.

18.

Macleod, J.(2013) Britishness and commemoration: National memorials to the first World War in Britain and Ireland.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48(4): 647-665.

19.

Mayo, J. M.(1988) WAR MEMORIALS AS POLITICAL LANDSCAPE (The American Experience and Beyond). New York: Praeger Publishers. p. 1.

20.

National Park Service of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2010) USS Arizona Memorial Brochure (Brochure).

21.

Schleifman, N.(2001) Moscow’s Victory park: A monumental change, Indiana University Press, History and Memory 13(2): 5-34.

22.

Stangl, P.(2003) The Soviet War memorial in Treptow, Berlin. Geographical Review 93(2): 213-236.

23.

The Allied Secretariat Berlin.(ed.)(May 1946) Disappeared monuments destroyed - Forget it! Official Journal of the Control Council in Germany 7 of 31.

24.

The Commission of fine arts(October, 1946) WAR MEMORIALS (a general statement as to their type, site, and design). Landscape Architecture 37: 17-19.

25.

THE TIMES(July 16, 2001), WWⅡ Memorial Opponents Make Last Bid in Court.

26.

Wasserman, J. R.(1998)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the memorial landscape. Landscape Journal 17: 42-61.

27.

Whittick, A.(1961) Symbols Signs and their meaning. Massachusetts: Charles T. Branford Company.

28.

Yoshimura, V. N.(1997) Ruin & Reunions, Planes & Cranes: National Identity and World War Ⅱ Memorials in France,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proceedings of the 49th Annual Japan-America Student Conference, Kyoto and Tokyo,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