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모더니즘 조경을 모더니즘 건축과 분리하여 생각하기는 어렵다. 많은 조경가들이 모더니즘 건축가들과 작업하면서 새로운 건축을 접하고, 이를 통해 모더니즘 조경의 방향을 모색하였다는 사실은 이들의 글과 인터뷰를 통해서 널리 알려져 있다1). 조경의 모더니즘을 재규정하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던 1989년의 심포지엄 ‘Modern Architecture [Re]Evaluated’에서 모더니즘 조경은 순수예술의 모더니즘에 이어 나타난 모더니즘 건축의 영향을 받아 15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형성되었다는 견해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Treib, 1991a). 트라이브는 모더니즘 조경을 태동시킨 원천을 건축의 새로운 개념과 유럽 아방가르드 예술의 두 가지로 규정하면서, 모더니즘 건축의 해석을 거친 예술 언어가 조경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하였다(Treib, 1991b).
20세기 모더니즘 건축의 지형을 형성한 여러 건축가 중에서도 르 코르뷔지에는 특별한 위상을 차지한다. “르 코르뷔지에를 처음부터 받아들이지 않고서는 20세기의 건축을 이해하기란 불가능하다”라고 말한 건축사가 커티스의 평가처럼 르 코르뷔지에는 모더니즘 건축의 출발선에서부터 그 공과 과를 동시에 상징하는 영웅적 기호로 받아들여져 왔다(Curtis, 1986).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모더니즘 조경의 연구에서 르 코르뷔지에는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다루어졌다 하더라도 부정적인 평가가 주류를 이룬다.
조경가 젤리코는 르 르코뷔지에가 챤디가르(Chandigargh)에서 성취한 건축적 업적은 형편없는 조경 때문에 가려졌다고 비판하였으며(Jellicoe et al., 1964), 호웨트는 미스(Mies Van der Rowe)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상반되게 르 코르뷔지에는 경관과 단절된 순수한 추상성의 건축을 추구하면서 인간과 자연을 분리하려 했다고 비판한 바가 있다(Howett, 1991). 트라이브의 견해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르 코르뷔지에와 같은 모더니즘 건축가는 식재와 조경을 균질한 녹지로 간주하고, 조망의 대상이나 건물 사이의 완충지 정도로 취급하였다(Treib, 1991a).” 트라이브은 모더니즘 건축가들의 조경을 재조명한 최근의 연구에서도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을 다른 건축가들의 조경을 비교하는 대상으로 언급할 뿐이다(Treib, 2017). 앵베르는 전기의 작품에 한정이 되어 있기는 하지만,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해 가장 주목할만한 연구를 진행하였다(Imbert, 1993). 앵베르는 20세기 초 프랑스의 모더니즘 조경을 다루면서 르 코르뷔지에의 대표적인 일곱 개 작품을 선별하여 그의 정원 작업과 조경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는데, 그녀의 르 코르뷔지에에 대한 평가도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다. 결론적으로 앵베르는 “르 코르뷔지에는 시각적인 측면을 제외하고 조경에 별달리 관여하지 않았다(Imbert, 1993)”라고 그의 조경을 평가한다. 우드스트라는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과 도시의 조경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고찰하면서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생각은 단순하며 사람들의 필요를 고려하지 않고 과도하게 생활 환경을 통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자연과 장소성, 인간에 대한 감수성과 공감을 결여하고 있다(Woudstra, 2000)”며 폄하에 가까운 평가를 했다. 지로와 뒤블린 역시 최근의 연구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그는 식재의 관점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을 고찰하면서 기후를 고려하지 않은 상록수에 대한 집착이 시각적인 의미만 갖는 고정된 정원을 만들었다고 비판한다(Girot and Düblin, 2019).
만일 모더니즘 조경이 모더니즘 건축이 앞서 구축한 이론적, 실천적 토대 위에서 성립하였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모더니즘 건축의 사유를 형성하는데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한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과 실천은 모더니즘 조경에도 영향을 미쳤을 수밖에 없으며, 중요한 자양분을 제공했을 것이다. 한때 건축의 담론에서도 르 코르뷔지에는 비판과 극복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그 어떠한 비판자들도 현대의 건축이 르 코르뷔지에가 남긴 유산 위에 세워졌다는 사실은 부정하지 못했으며, 오늘날 새로운 해석을 통해 르 코르뷔지에의 의미는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더니즘 조경의 형성 과정에 나타난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과 긍정적, 부정적 유산을 탐색하여 밝히는 데 있다. 모더니즘 조경의 형성에 중요한 인물들과 관련된 1차 문헌, 2차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르 코르뷔지에가 그들에게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르 코르뷔지에가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력의 부정적, 긍정적 효과까지 분석하지는 않는다. 또한,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 작업과 이론을 직접적으로 분석하기보다는 그가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II.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과 조경
르 코르뷔지에의 사무실 공식 안내서에는 건축, 인테리어뿐 아니라 정원 설계 서비스까지 제공한다고 명시되어 있다(Skeler, 1977). 1910년대 고향인 스위스 라 쇼드퐁(La Chaux-de- Fonds)의 작품과 기록을 보면 실제로 르 코르뷔지에는 정원 설계에 상당한 수준으로 관여했던 것으로 파악된다(Brooks, 1997). 1912년 빌라 슈보프(Villa Schwob) 설계 시 르 코르뷔지에가 건축주에게 식재와 정원의 개념을 제안하여 설득한 기록이 있으며(Imbert, 1993), 같은 연도에 설계한 빌라 잔느레-페레(Villa Jeanneret- Perret)와 빌라 파브르-자코(Favre-Jacot)에서도 구체적인 정원 설계안을 제시한 바가 있다(Figure 1, 2 참조).
파리로 이주하여 활동한 1920년대에도 르 코르뷔지에는 주요한 건축 작품에서 정원 설계까지 함께 진행하였다. 계획안으로만 남은 1925년 발라 메이예르(Villa Meyer)에서 르 코르뷔지에는 건축주에게 정원의 구상안을 상세히 제시하였으며(Le Corbusier, 1929), 1926년 빌라 처치(Villa Church), 1927년 빌라 스텡(Villa Stein)에서도 정원 설계에 깊이 관여한다. 1929년 베이스테기(Beistegui) 옥상정원은 건축적 고려 사항이 많았으나, 기본적으로 조경 프로젝트였다. 하지만 당시 프랑스의 조경계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정원은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Figure 3, 4, 5 참조). 1910년대 작품의 정원은 전형적인 쥐라(Jura) 지방의 주택 정원 양식을 따르고 있다2). 1910년대 영국에서는 아트 앤 크래프트(Arts and Crafts) 운동과 관련되어 로빈슨(William Robinson)의 정원 이론과 지킬(Gertrude Jekyll)의 정원 작품이 주목을 받고 있었으며, 독일에서는 새로운 식재 방식을 도입한 푀르스터(Karl Foerster)의 정원이 명성을 얻고 있었다. 또한, 프랑스에서는 현대적 의미에서 과거의 정형식 정원이 새롭게 해석되는 상황이었다. 이 무렵 르 코르뷔지에의 정원이 당시의 이러한 새로운 정원 설계의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의 1920년대 주택 정원에는 독창적인 요소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하지만 정원을 건축 공간의 일부로 간주해온 르 코르뷔지에가 정원을 독립적인 공간으로 다루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또한, 1920년대 르 코르뷔지에의 정원에서 구현된 구체적인 식재나 설계 요소가 동 시대의 선도적인 조경가와 건축가들의 정원에 비해 더 우수하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따 라서 그가 설계한 1910년대와 20년대의 정원은 건축과 분리된 별도의 정원 작품으로서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기는 힘들었다.
르 코르뷔지에의 정원이 주목을 받게 된 계기는 1925년에 열린 장식예술박람회(Exposition des Arts Decoratifs)였다3). 르 코르뷔지에는 박람회의 건축 부문에 “에스프리 누보 관(Pavillon de l'Esprit Nouveau)”을 출품한다. 이 파빌리온은 1922년에 제안한 도시계획안 “현대 도시(Ville Contemporaine)”의 주거 유닛을 시범적으로 구현한 작품이었다(Figure 6, 7 참조). 정원 부문 출품작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에스프리 누보 관의 정원이 화제가 된 이유는 르 코르뷔지에의 높은 대내외적 인지도 때문이기도 했지만, 정원을 건축 내부로 도입하여 내외부의 공간을 완전히 통합한 실험적인 제안 때문이었다. 르 코르뷔지에는 에스프리 누보 관을 통해 대량생산 체계를 통해 생산되는 건축을 제안하였으며, 정원도 그 일부로 표준화된 방식에 따라 만들어져 건축과 통합되도록 구상하였다. 건축적 요소 못지않게 정원은 작품의 핵심적인 개념을 구성하는 요소였다. 큰 교목이 내부에 들어와 건축물을 관통하고 있었으며, 공중 정원(jardins suspendus)의 개념은 이동식 화분을 통해 가변적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르 르코뷔지에의 정원은 식재, 구성, 재료, 건축과의 관계 등 모든 면에서 박람회의 다른 정원과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현대적 양식을 제시하고 있었다. 공식적인 에스프리 누보 관의 조경 책임자는 포레스티에(Jean-Claude Nicolas Forestier)4)였지만, 르 코르뷔지에는 구체적인 정원 설계의 방향은 물론 수종 선택까지 대부분의 결정을 직접 하였다고 알려져 있다(Le Corbusier, 1925). 그러나 작품의 높은 화제성에 비해 그의 정원은 당시 조경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는 못하였다. 포레스티에는 건축물 내부의 조경과 대조적으로 자연식으로 설계된 건축물 주변의 조경에 대해 “분명한 질서를 결여하고 있다”고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Imbert, 1993). 르 코르뷔지에의 정원은 개장일까지 식재와 초화를 제대로 수급하지 못했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지 못했으며, 박람회장의 주변 시설물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해 그 의도를 충분히 표현하지 못했다고 알려져 있다(Imbert, 1993). 게다가 르 코르뷔지에는 정원 박람회 기획자이자 영향력 있는 조경가였던 포레스티에가 제시한 장식예술로서의 정원의 개념을 정면으로 반박하며 충돌했기 때문에 당대의 프랑스 조경가들에게 부정적 인상 을 남긴다(Le Corbusier, 1948).
동 시대의 조경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르 코르뷔지에가 직접 설계한 정원보다는 오히려 그의 건축 작품과 건축에 담긴 새로운 건축과 도시에 대한 이론이었다. 르 코르뷔지에는 1920년에서부터 1925년까지「에스프리 누보(L'Esprit Nouveau)」5)지에 실린 텍스트와 일련의 실험적인 건축 작품을 소개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6). 에스프리 누보의 텍스트를 엮어 출판한 1923년의「건축을 향하여(Vers une architecture)」는 이후 20세기에 가장 많이 읽히고,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건축 저서로 평가받을 정도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Banham, 1960). 또한, 르 코르뷔지에는 1924년과 1925년에 출판한 세 권의 책을 통해 건축뿐 아니라, 현대 회화, 도시계획, 산업디자인 등 예술과 문화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7). 이들 저서에서 르 코르뷔지에가 조경과 정원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건축과 자연의 관계, 그리고 도시에서의 조경에 대한 적지 않은 내용이 담겨 있어 모더니즘 건축과 조경의 중요한 이론적 연결 원리를 제공한다. 건축과 예술의 모더니즘에 대한 그의 새로운 실험과 사유는 20세기 초 프랑스 모더니즘 조경과 정원의 이론과 실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적 태도와 작품의 경향은 1930년대를 기점으로 상당히 큰 변화가 나타난다. 해석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주요한 연구자들은 1930년대 이후 르 코르뷔지에가 1920년대의 기능주의적이며 기계적인 백색 건축에서 벗어나 지역성과 맥락성, 그리고 자연성을 고려한 건축적 전향이 나타난다는 점에는 동의를 한다. 커티스는 1931년 르 코르뷔지에가 1920년대의 특징적인 모더니즘의 방식을 버렸다고 판단하며(Curtis, 1987), 프램톤은 1929년 “마 메종(Ma Maison)“과 1930년 ”메종 에라주리스(Maison Errazuris)“에서 새로운 건축적 태도의 변화가 나타난다고 본다(Frampton, 1988). 1930년대 이후 조경과 관련해서 나타난 르 코르뷔지에 건축의 큰 변화는 주변의 자연과 조경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레이슐린은 1931년 ”빌라 망드로(Villa de Mandrot)“의 설계도면이 건축에 한정되지 않고 넓은 조경의 영역까지 포괄하며 주변 경관과 수목 등 조경적 요소에 따라 건축 설계를 진행했다고 분석한다(Reichlin, 2013). 젠크스는 이러한 르 코르뷔지에의 변화에 대해 극단적으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르 코르뷔지에는 선도적인 에코-히피, 혹은 이미 포스트-모더니스트가 되어 자연을 숭배하는 시적인 지역적, 맥락적 오브제를 만들었다(Jenks, 2000).“
하지만 르 코르뷔지에가 건축에서 자연과 조경적 요소를 고려했다고 해서 조경을 독립된 설계의 영역으로 간주한 작업을 했다고는 보기는 어렵다. 르 코르뷔지에는 독립된 공간으로서 공원이나 정원에 관심을 가졌다기보다 건축의 연장, 혹은 도시설계의 측면에서 조경을 함께 다루었다. 여러 가상의 도시설계안이나 실제로 지어진 1950년대의 챤디가르(Chandigarh) 설계안은 새로운 모더니즘 조경의 가능성을 담고 있지만, 그는 어디까지나 도시의 한 부분으로서 조경에 이론과 설계를 한정했기 때문에, 1930년대 이후의 작업 역시 당시 조경가들의 큰 주목을 받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그보다 더 큰 이유는 1930년대 이후에도 1920년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적 이론과 작품의 영향력이 너무 지배적이어서 건축계에서조차 1950년대까지도 르 코르뷔지에에 관한 논의는 1920년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 있다(Jencks, 2000). 모더니즘 조경가들이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 설계와 이론에 관심을 가졌다고 하더라도 20세기 중후반이 될 때까지도 1920년대의 르 코르뷔지에에서 크게 벗어날 수는 없었으며, 1930년대 이후의 자연친화적이며 맥락주의적인 르 코르뷔지에는 조경의 담론에 큰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20세기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은 그의 전반적인 사유와 설계를 탐색하기보다 1920년대의 텍스트와 작품이 남긴 유산에서 찾아야할 필요가 있다.
III. 르 코르뷔지에와 유럽의 모더니즘 조경
20세기 초 프랑스 모더니즘 조경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베라(André Vera)와 르 코르뷔지에의 사유는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점들이 발견된다. 베라는 영국에서 도입된 비정형적 조경 양식(Style Paysager)에 반대하며 “정형식 양식(Style Régulier)”을 주장하였다(Figure 8, 9 참조). 그는 르 노트르(André Le Nôtre)의 정원을 높이 평가하며 프랑스적인 조경의 전통을 옹호하였지만(Vera, 1912a), 그의 정형식 양식을 단순한 복고주의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베라는 조경이 아방가르드 회화, 조각, 건축에서 나타난 현대적 경향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추상 예술의 기하학적 형태를 정형식 정원으로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였다(Vera, 1912b). 베라의 이론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건축과 조경의 관계 설정이다. 그는 공원은 조경의 영역이지만 정원은 건축의 영역이며, 조경가가 아닌 건축가가 내부와 외부를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했다(Vera, 1912a). 이는 프랑스적 상황에 국한된 베라만의 독창적인 견해는 아니었다. 1892년 영국의 블롬필드(Reginald Blomfield)는 정원은 건축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건축의 원칙이 외부에도 확장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Blomfield and Thomas, 1892). 1907년 독일의 무테지우스(Hermann Muthesius)도 “주택이 건축이라면 정원도 건축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베라의 “정형식 양식”과 유사한 “정형식(regelmässig)” 정원 양식의 개념을 제시한다(Muthesius 1907). 하지만 베라가 당시 건축적 정원의 접근 방식을 무비판적으로 옹호했던 것은 아니다. 그는 당시 건축가들은 회화의 기하학적 구성의 원칙에 따라 정원을 평면적으로만 다루어 자연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고 비판하며, 삼차원적인 식재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Zach, 1932). 베라는 식물 소재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구조물을 통해 공간을 구성하기를 권장했으며, 유리, 철근 콘크리트, 가공 석재 등 신소재를 정원 설계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을 주장하였다(Vera, 1924). 또한, 식재를 혼합하여 자연 풍경을 모방하는 설계에 반대하며, 상록식물을 중심으로 한 단일 품종의 식재 설계가 현대의 정원에 적합하다고 여겼다.
르 코르뷔지에는 베라의 정원 이론을 알고 있었으며, 건축과 조경의 관계를 정립하는 데 있어 그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Imbert, 1993). 르 코르뷔지에는 1915년 라 쇼드퐁의 건축 프로젝트를 위해 파리를 자주 방문하였는데, 당시 파리국립도서관에서 조경 관련 이론을 공부했다는 기록이 있다8). 르 코르뷔지에는 1912년「새로운 정원(Le nouveau jardin)」에 담긴 베라의 생각에 공감하며,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앙드레 베라는 우리가 모든 것에 대한 질서, 순수함, 명료함, 그리고 작업과 정신과 외부에 대한 질서를 바라고 사랑하는 세대라고 여러 번 주장했다(Le Corbusier, 1915).” 특히 그는 건축가가 정원을 건축과 함께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주장에 적극적으로 공감하였다. “책에서 앙드레 베라가 정원과 관련하여 건축가만을 위한 정신과 내용을 제시한 점은 매우 현명하다(Le Corbusier, 1915).” 르 코르뷔지에가 공식적으로 자신을 건축뿐 아니라, 정원 전문가로 규정하며 통합적 디자인으로서 건축을 추구하기 시작했던 것도 이 무렵이었다(Jencks, 2000). 정원을 조경가에게 일임했던 당시의 건축가들과는 달리 조경가와의 협업 없이 직접 외부공간까지 설계하려 한 르 코르뷔지에의 태도가 정원을 건축가의 영역으로 간주한 베라의 이론과 무관하다고 볼 수는 없다. 르 코르뷔지에는 정원에서 혼합 식재를 지양하였으며 상록식물을 고집하였는데 이는 베라의 식재 이론과 정확히 일치된다. 지로와 뒤블린은 르 코르뷔지에의 상록식재에 대한 집착의 원인을 라 쇼드퐁의 자연환경의 영향과 개인적 경험에서 찾고 있지만(girot and Düblin, 2019), 르 코르뷔지에의 식재 방식은 오히려 베라의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다.
베라 역시 르 코르뷔지에에게 상당한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1924년의 텍스트에서 베라는 정원을 기계에 비유하면서(Vera, 1924),「에스프리 누보」지와 1923년의「건축을 향하여」에서 제시된 르 코르뷔지에에의 접근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또한, 베라는 정원을 인식 가능한 형태로 환원한 추상화된 자연의 상태로 규정하며, 수학적 비례에 따라 계산된 미적 원칙을 중시하였는데(Vera, 1924; 1952), 이는 르 코르뷔지에의 자연관과 거의 일치한다. 르 코르뷔지에 역시「건축을 향하여」에서 순수한 기하학적 도형으로 건축물을 환원해서 해석하며 수학적 계산을 통한 의도적 통일성에 의해서 자연의 대상이 작품으로 구현된다고 생각한다(Le Corbusier, 1923). 베라와 르 코르뷔지에의 미학적인 원칙에 유사성이 나타난다고 해서 서로의 이론적 영향 때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베라의 경우, 르 노트르의 바로크적 정원의 구성 원리에 큰 영향을 받았다면, 르 코르뷔지에의 경우 18세기 불레(Étienne-Louis Boullée)나 르두(Claude-Nicolas Ledoux)의 프랑스 계몽주의 건축과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다. 하지만 베라와 르 코르뷔지에가 미학적인 원칙을 공유하며, 이론적인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생각의 공유점이 많으며 서로 영향을 받았다고 해서 실천적 작품의 경향이 일치한다고 볼 수 없다. 비정형적 자연식 정원에 대해 명확히 반대의 견해를 밝혔던 베라와는 달리 르 코르뷔지에는 여러 작품에서 오히려 외부 환경을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인공적인 건축과 자연을 대비시키려 했다는 점에서는 정원에 대한 지향점이 달랐다.
뤼르사는 르 코르뷔지에와 동 시대에 활동한 모더니즘 건축가이자 조경가였다. 뤼르사의 정원 설계에서는 르 코르뷔지에의 많은 영향이 나타난다. 스틸은 뤼르사와 르 코르뷔지에의 유사성을 지적하며 그의 조경을 르 코르뷔지에의 아류 정도로 낮게 평가하였다. “르 코르뷔지에와 감성적으로 분리하기 어려운 디자인 동기와 요소의 실제적인 사용 방식을 보면 뤼르사는 독창성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Steele, 1930).” 그러나 스틸의 지적과는 달리 빌라 쇠라(Villa Seurat), 빌라 봉셀(Villa Bomsel), 빌라 미셸(Villa Michel) 등 뤼르사의 초기 주택 정원은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접근과 상당한 차이가 나타난다(Figure 10 참조). 뤼르사는 삼각형의 화단으로 주로 정원의 평면을 구성하였으며, 건물 상부나 데크에서 정원을 부감으로 조망할 때 나타나는 시각적 평면 구성을 중요시하였다. 이는 1920년대의 르 코르뷔지에의 주택 정원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요소들이며, 오히려 베라의 정형식 정원에 더 가깝다. 하지만 1926년 이후의 작품에서는 뤼르사의 건축과 정원에서는 장식적인 평면 구성이 사라지고, 르 코르뷔지에적 원칙과 방향이 명확히 나타나기 시작한다.
1926년의 빌라 귀강뷜(Villa Guggenbühl)에서 뤼르사는 지상부의 정원을 두지 않고 상층부에 테라스를 두어 인접한 몽수리 공원의 풍경을 차경하는 방식을 통해 주위의 자연을 건축 내부로 끌어들인다(Figure 11 참조). 건물의 창문은 수목이나 공원의 특정 풍경을 조망하도록 설계되었다. 건축물과 정원의 독립된 구성, 지상부 정원의 제거, 테라스의 활용, 프레이밍을 통한 외부 경관의 내부화는 1920년대 르 코르뷔지에의 전형적인 조경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앵베르는 빌라 귀강뷜이 정원을 대지와 분리해 건물 주변의 경관을 건물과는 분리된 외부 조망의 대상으로 간주했다는 점에서 르 코르뷔지에식 조경으로의 전환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평가한다(Imbert, 1989). 1927년의 빌라 플프로립 드 살리(Froreip de Salis)에서도 르 코르뷔지에식 조경의 영향이 나타난다. 빌라 귀강뷜과 마찬가지로 뤼르사는 지상부의 정원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옥상으로 확장된 테라스 정원이 주정원의 역할을 한다. 테라스는 인접한 자연경관을 향해 시각적으로 열려 외부로 확장되는 효과를 준다.
뤼르사가 1929년 출판한「Architecture」과「Terrasses et jardins」에서는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력이 직접적으로 기술되고 있다.「Architecture」에서 뤼르사는 르 코르뷔지에가 제시한 근대 건축의 5원칙 중 하나인 필로티(pilotis)와 옥상정원이 현대 정원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였다고 평가한다(Lurçat, 1929a). 뤼르사에 따르면 필로티를 통해 건축은 대지로부터 자유로워짐으로써 땅에 얽매이지 않는 표준화되고 가변적인 건축을 추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정원이 옥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정원은 위생적이 되었을 뿐 아니라, 전통적 조형 언어와는 다른 기능적, 미학적 가치를 획득하게 되었다. 뤼르사는 르 코르뷔지에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넘어 더 풍부하고 발전된 옥상정원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Terrasses et jardins」에서 뤼르사는 20세기의 정원을 지상 정원과 공중 정원의 두 유형으로 구분한다(Lurçat, 1929b). 건축의 수평적 확장인 지상 정원에 대비되어 공중 정원은 건축의 수직적 확장을 의미하며, 르 코르뷔지에와 자신의 옥상정원을 지상 정원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한다. 뤼르사는 르 코르뷔지에처럼 건축과 정원은 하나로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실제로 조경가와의 협업 없이 건축가로서 직접 정원을 건축의 일부로서 설계했다. 뤼르사에게서 보이는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력은 모더니즘 건축을 통해 건축과 조경, 그리고 도시를 통합하려 했던 그의 시도가 여러 모더니즘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었음을 보여준다.
칸네일 클라에스(J. Canneel-Claes)는 적극적으로 모더니즘 건축의 원리를 수용한 벨기에의 조경가로서, 특히 르 코르뷔지에의 많은 영향을 받았다. 판 더 펠더(H. Van de Velde)가 교장으로 있던 라 캉브르(La Cambre) 장식예술학교에서 칸네일 클라에스는 당시 조경가이자 도시계획가였던 스웨일맨(L. van der Swalemen)에게 조경 교육을 받았다. 모더니즘 건축 운동에 공감하고 있던 칸네일 클라에스는 자신의 주택을 짓기 위해 1929년 르 코르뷔지에에게 설계를 의뢰한다. 칸네일 클라에스는 르 코르뷔지에에게 건축과 정원의 완벽한 조화를 요구했지만, 르 코르뷔지에는 자신이 제시한 근대 건축의 5원칙에 따라 지상에 정원을 없애고, 옥상정원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비용과 공사 기간의 문제로 인해 칸네일 클라에스는 르 코르뷔지에를 대신할 건축가를 구하고 정원을 직접 설계하게 된다. 이후 칸네일 클라에스의 조경에는 르 코르뷔지에의 많은 영향이 나타난다. 그는 르 코르뷔지에와 마찬가지로 정원을 건축의 연장된 공간으로 다루고자 했다. 칸네일 클라에스는 그의 정원을 “기능주의 정원”으로 명명하며 조경이 사회적, 위생적 기능을 충족하는 실용적 공간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원에서 자연적 식재와 장식적인 식재를 배제하고, 식재를 비롯한 조경 요소들은 공간적 구조를 드러낼 수 있는 매체로써 사용하였다. 장식적 요소를 배제한 칸네일 클라에스 정원의 기하학적인 형태와 비대칭적인 평면 구성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적 조형 언어와 유사한 측면을 보인다(Figure 12, 13 참조).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구성은 당시 모더니즘 건축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던 경향이었기 때문에, 르 코르뷔지에만의 특징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칸네일 클라에스가 특히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과 이론에 관심이 있었다는 사실은 그의 이론과 활동에서 잘 나타난다. 그는 운동, 여가, 휴식의 프로그램이 된 정원의 사회적 기능을 강조하며, 주거와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경 설계의 기능적 원칙을 제시하는데, 이는 르 코르뷔지에가「도시계획」에서 주장한 조경의 역할과 일치한다. 또한, 칸네일 클라에스는 정원과 조경을 표현하는데 공간의 입체적 구조를 객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투상도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데 스틸(De Stijil)과 르 코르뷔지에의 표현 방식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Imbert, 2008).
그는 르 코르뷔지에가 제시한 옥상정원과 “빛나는 도시” 등의 도시설계 안에서 조경가의 역할을 찾고자 하였으며, 르 코르뷔지에가 제시한 건축가의 개념에 상응하는 조경가의 위상을 규정하고자 하였다(Imbert, 2015). 조경가의 역할과 지위를 현대적으로 규정하기 위해 그는 1938년 터너드(Christopher Tunnard)와 함께 CIAM(근대 건축의 국제 회의)의 모델을 조경계에 도입한 AIAJM(국제 근대 조경 건축가 협회)를 창립한다(Constant, 2012). 르 코르뷔지에는 1928년에 보자르적 건축의 전통과 구별되는 모더니즘 건축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건축가와 계획가들의 모임인 CIAM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이후에도 CIAM의 방향을 이끄는데, 칸네일 클라에스는 이와 같은 조직을 통해서 건축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경의 모더니즘을 추구할 수 있다고 믿었다. AIAJM은 CIAM처럼 성공적인 성과를 내지는 못했으나, 이후 모더니즘 조경의 사회적 위상을 정립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 칸네일 클라에스는 모더니즘 건축과 모더니즘 조경을 잇는 중요한 연결 고리로서의 역할을 하였고,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은 이러한 칸네일 클라에스의 사유의 토대를 형성하였다.
IV. 르 코르뷔지에와 북미의 모더니즘 조경
20세기 전반부에 활동했던 스틸(F. Steele)과 처치(T. Church)는 미국 모더니즘 조경의 선구자로서 미국 조경이 19세기의 조경 양식과 결별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준 조경가로 평가받는다(Howett, 1991; Treib, 1991b). 미국 모더니즘 조경은 자생적으로 나타났다기보다 유럽의 건축적 모더니즘과 관련된 모더니즘 조경 운동을 수용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거쳐 정착되었다. 유럽의 정원과 조경에 많은 영향을 받은 스틸은 유럽의 모더니즘 정원을 소개하고, 이론적으로 차별화된 새로운 조경의 가능성을 최초로 미국에 제시한 조경가였다. 스틸은 1913년 유럽에 가서 당시 새롭게 등장한 제킬(G. Jekyll), 블룸필드(R. Blomfield), 모슨(T. H. Mawson)의 영국의 정원 양식을 공부하여 미국의 작품에 적용하였으며, 이후 1925년 장식예술 박람회를 방문하여 프랑스 모더니즘 정원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조경의 경향을 미국에 소개하였다(Karson, 2003). 스틸은「Landscape Architecture」의 원고에서 당시 출품작을 비평하면서 베라(P. Véra), 라프라드(A. La Prade), 말레-스테뱅스(R. Mallet-Stevens), 게브레키앙(G. Guevrekian)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지만, 이와 대조적으로 르 코르뷔지에의 정원에 대해서는 상당히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한다. 스틸은 르 코르뷔지에와 뤼르사는 정원의 가능성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비판하며, “그들의 작품은 식물에 대한 이해와 흥미가 완전히 결여되어 있고, 식물이 건축적 개념을 강화하고 매력을 더 할 수 있는 수많은 방식들을 알지 못한다.”고 평가하였다(Steele, 1930). 스틸은 특히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그는 건축과 식재의 주제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갖고 있으며, 특히 볼륨을 강조한 모던 디자인에 대한 흥미로운 책을 써왔다. 그러나 그의 정원은 별 볼일 없다. 그가 정원 영역에서 볼륨을 고려했으며, 그의 원칙에 따라 표면을 다루었다는 어떠한 증거도 찾기 어렵다. 그는 기분 좋은 특이한 콘크리트 보행로의 패턴을 제시하지만 투시도상에서 2차원적인 패턴은 나무와 관목에 방해받아 항상 전달되지 못한다(Steele, 1930).”
스틸은 조경 설계에서 유럽의 모더니즘과 미국의 모더니즘을 연결하는 가교의 역할을 하였지만, 본인의 작품에서 모더니즘적인 경향이 나타난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스틸의 작품에서는 당시 유행하던 영국의 자연주의적 정원 양식과 아르누보적인 장식적 요소가 혼재되어 절충주의적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스틸은 조경가로서뿐 아니라, 이론가이자 교육자로서 후대의 조경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르 코르뷔지에의 정원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이후 미국의 모더니즘 조경에서 르 코르뷔지에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스틸이 소개한 유럽적 모더니즘 조경과 유사한 방식의 접근은 스틸과 동시대에 활동했던 처치의 작품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처치는 1930년대까지 축을 강조하며 장식적 식재의 효과를 중요시하는 전통적이며, 보수적인 설계의 작품을 주로 선보였다(Treib, 2004). 로리는 미국 모더니즘 조경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처치의 주요한 설계 요소와 형태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계기를 1937년의 유럽 방문이었다고 분석하였다(Laurie, 1991). 1937년의 유럽 방문에서 처치는 르 코르뷔지에와 알토(A. Alto)의 작품을 공부하였으며 근대 회화와 조각에도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7년 이후 처치의 설계적 변화는 샌프란시스코 미술관(San Francisco Museum of Art)이 주최한 공모전에 출품하여 수상한 “City House and Garden on 25-Foot Lot”에서 명확히 드러난다(Figure 14 참조). 이 작품에서는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은 칸네일 클라에스와 뤼르사의 정원과 매우 유사한 방식의 기법과 요소들이 나타난다. 트라이브은 도넬 정원(Donnell Garden) 등의 처치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유기적 형태와 정형적 축의 파괴가 르 코르뷔지에와 미스가 제시한 자유로운 평면이라는 모더니즘 건축의 원칙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해석한다(Treib, 1991b)(Figure 15 참조). 트라이브은 더 나아가 처치와 부를리 마르스(Burle Marx) 등의 모더니즘 조경가에게서 나타나는 과감한 곡선과 유기적 형태는 후기 르 코르뷔지에의 형태적 실험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평가한다(Treib, 1991b). 처치의 저서에 르 코르뷔지에 등의 모더니즘 건축가들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나타나지 않지만, 그의 디자인 원칙은 르 코르뷔지에가 많은 저서에 언급한 모더니즘 건축의 원리와 유사한 점들이 나타난다. 처치의 설계 원칙을 저술한「Gardens are for People」에서 처치는 디자인은 양식(style)이 아닌 원칙(principle)의 문제라고 규정하며, 통일성(unity), 기능(function), 단순성(simplicity) 스케일(scale)의 네 가지 요소를 언급하고 있다(Church et al., 1995). 르 코르뷔지에 역시 초기의 저서에서 양식에 근거한 건축적 원리를 언급하였으며, 이는 근대 건축의 5원칙으로 발전한다. 양식의 탈피, 보편적 원칙의 제시, 기능의 강조, 단순한 미학의 추구 등 처치가 저서에서 추구한 지향점들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적 지향점과 상당히 유사하다.
터너드는 여러 모더니즘 조경가들 중 가장 직접적인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이 드러나는 조경가이며, CIAM의 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르 코르뷔지에가 주창한 모더니즘 건축 운동에 참여한 조경가이기도 하다(Mumford, 2000). 터너드는 캐나다에서 태어나 교육을 받았지만 1930년에 영국에서 학위를 받고, 1932년부터 1935년까지 당시 저명한 조원가였던 케인(P. S. Cane)의 사무실에서 일을 하였다9). 그는 1936년 독립 후 본격적으로 당시 영국의 모더니즘 건축가들과 작업을 하면서 새로운 조경을 제시할 필요성을 느낀다. 터너드는 모더니즘 조경에 관한 생각을 정리하여「Architectural Review」지에 발표하는데, 이 텍스트들은 1938년「Gardens in the Modern Landscape」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어 모더니즘 조경의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한다. 저서에서 터너드는 기능(functional), 공감(empathic), 예술(artistic)의 세 가지 측면에서 모더니즘 조경의 방향을 제시한다(Tunnard, 1948). 그는 저서에서 칸네일 클라에스와 구에브레키안과 같은 주목받던 조경가들의 작품은 물론 모더니즘 건축가들의 작업들을 인용하는데, 특히 르 코르뷔지에의 작품과 이론은 터너드의 새로운 조경의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넥카는 터너드가 제시한 세 가지 방향 중에서도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능”의 요소는 터너드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적 기능에 대한 사유를 직접적인 수용한 결과로 본다(Neckar, 1991). 저서에서 터너드는 르 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아를 상세히 인용하면서 르 코르뷔지에가 강조한 건축의 기능주의 접근을 지지하며, 효율성과 관리의 용이성을 강조한 비장식적인 미학이 정원에서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Tunnard, 1948).
터너드와 함께 작업한 체르마예프(S. Chermayeff)나 맥그레스(R. McGrath)등 영국의 모더니즘 건축가들은 대부분 MARS(Modern Architecture Research) Group의 일원이었다. MARS 그룹은 CIAM의 영국 지부에 해당하는 조직으로서 MARS 그룹의 건축가들은 모더니즘 건축 내의 진영에서도 철저한 르 코르뷔지에의 지지자들이었으며, 당연히 MARS 그룹의 모더니즘 이론과 실천은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다(Mallgrave, 1995). 이후 터너드도 MARS 그룹의 일원으로 활동한다. 그는 1938년 MARS 그룹 전시회에서 “Architecture-Garden-Landscape”이라는 주제로 전시를 기획하여 모더니즘 건축 내에서 조경의 역할을 찾고자 하였으며(Tunnard, 1938), 1939년 MARS 그룹이 주도한 런던 계획안에 참여하여 조경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터너드가 MARS 그룹의 모더니즘 운동에 공감하고, 조경의 모더니즘을 이들과의 협업을 통해서 찾으려 했던 만큼 MARS 그룹의 이론적, 실천적 지향점이었던 르 코르뷔지의 주장은 터너드가 구상하던 모더니즘 조경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터너드의 프로젝트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시공된 정원 작품보다 계획안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1938년의 저서에서는 브라운(Capability Brown)과 켄트(William Kent)의 작품으로 유명한 클레어몬트 정원(Claremont landscape garden)에 대한 가상의 계획안을 제시하는데, 이 계획안은 르 코르뷔지에의 “빛나는 도시” 계획안을 거의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Tunnard, 1948). 1939년의 MARS 그룹의 런던 계획안에서도 터너드는 “빛나는 도시”의 계획안에서 제시된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한다(Fry, 1944). 이때 그는 공원과 녹지의 공공영역과 주거 유닛과 결합된 사적 정원을 제안하고, 이후 이를 발전시켜 “Ideal Home Exhibition” 전시에서 “All-Europe House”의 정원계획안을 제시한다. 터너드가 제시한 정원은 감상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일종의 텃밭으로 자급자족적 생활을 위한 기능적 공간이다(Figure 16 참조). 이러한 조경적 구상은 「도시계획」, 「빛나는 도시」와 같은 르 르코뷔지에의 도시계획 이론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던 것으로서 터너드의 조경계획안은 르 코르뷔지에가 조경적 관점에서 충분히 발전시키지 못했던 도시 조경의 발전된 대안으로 볼 수 있다(Le Corbusier, 1924; 1935).
터너드는 그로피우스(Walter Gropious)의 초청으로 1938년부터 1943년까지 하버드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교수로 강의를 하면서 미국으로 이주한다. 터너드는 영국적 맥락에서 발전시킨 모더니즘 조경의 이론과 실천을 미국적 맥락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한다. 터너드의 미국에서의 모더니즘 조경 이론에서도 여전히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력은 강하게 나타난다. 1942년 「Landscape Architecture」에 실린 “Modern Gardens for Modern Houses: Reflections on Current Trends in Landscsape Design”에서 터너드는 미국적 맥락에서 모더니즘 건축과 그에 적합한 모더니즘 조경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그는 당시 미국 조경가들의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무지를 비판하면서 “정형식(formal)”과 “비정형식(informal)” 조경에서 벗어난 양식의 폐기를 주장한다(Tunnard, 1942). 양식에 대한 거부는 르 코르뷔지에와 처치도 같은 주장을 했던 지점이기도 하다(Figure 17 참조). 터너드는 기능주의, 재료, 경제성, 조망, 형태와 색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모더니즘 조경의 방향을 새롭게 정의한다. 그는 이러한 모더니즘 조경의 변화를 가능하게 된 데 르 코르뷔지에의 기여가 크다고 인정한다(Tunnard, 1942). 터너드는 실제 사례를 기술하면서도 르 코르뷔지에를 모더니즘 조경의 중요한 참조사례로 인용하는데, 다른 조경가들이 그의 건축적 원칙의 조경적 번안으로서 르 코르뷔지에를 참조하는데 반해 터너드는 르 코르뷔지에의 식재 기법을 직접적으로 참조한다.
“르 코르뷔지에는 하나의 파사드에서 장식적 모티브를 제공하는 넓고 완곡한 첨두형의 틈을 가진 벽을 발명하였다. 그는 벽 가까이 벽면의 형태를 떠올리는 잎의 포플러 나무를 식재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오래된 건물의 형태에 새로운 삶을 준다(Tunnard, 1942)”
터너드는 단순히 모더니즘 건축에 어울리는 조경을 제시하는 것을 넘어 모더니즘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모더니즘 조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터너드의 모더니즘 조경은 보수적인 미국 조경계의 저항에 부딪힌다. 당시 유럽 모더니즘의 중요한 건축가였던 그로피우스가 이끌던 하버드의 건축학과는 모더니즘 건축 학교로 변화하였으나, 조경학과는 보자르 전통의 보수적인 방향을 고집하고 있었다(Walker and Simo, 1993). 터너드는 조경가였지만 역설적이게도 조경학과 내에서 입지를 확보할 수 없었으며, 이후 조경보다는 도시계획의 이론가로 방향을 전환한다10). 하지만 터너드의 이론과 작업은 당시 학생이었던 에크보(Garrett Eckbo), 카일리(Dan Kiley), 로즈(James Rose)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터너드는 이후 모더니즘 조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핼프린(Lawrence Halprin)을 가르친다.
에크보, 카일리, 로즈는 미국의 모더니즘 조경을 이끈 조경가로 평가받는다. 1936년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조경학과에서 만난 에크보, 카일리, 로즈는 공통적으로 보자르 방식의 조경학과 교육에 불만을 품고 있었고, 1937년 하버드 대학교 건축학과의 학과장으로 부임한 모더니즘 건축가 그로피우스의 모더니즘 건축 교육 개혁에 크게 동감한다. 그리고 곧 하버드로 부임하게 되는 조경가 터너드의 텍스트와 이론에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Eckbo, 1980), 이들은 그로피우스와 터너드의 이론을 통해서 르 코르뷔지에의 모더니즘을 접하고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세 명의 조경가들은 하버드 시절 르 코르뷔지에의 직접 텍스트를 읽고 연구를 하기도 하였다(Walker and Simo, 1993). 1937년부터 1940년 사이 이들은 모더니즘 조경에 관한 생각과 주장을 건축 전문지에 발표하기 시작한다. 특히 「Architecture Record」에 공동으로 발표한 세 편의 원고는 미국 모더니즘 조경에 대한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한다(Eckbo, Kiley, and Rose, 1939a; 1939b; 1940). 미국의 농촌조경, 도시조경, 자연조경에 대한 새로운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는 세 원고의 중심 주제는 여가(Liesure) 활동과 공간에 대한 것이다. 여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경의 방향을 규정하는 방식은 르 코르뷔지에가 「건축을 항하여」, 「도시계획」, 「빛나는 도시」의 주요 저서는 물론 CIAM에서 일관되게 강조하던 여가에 관한 생각과 거의 동일하다(Le Corbusier, 1923/1924; 1935). 조경을 여가 프로그램의 관점에서 강조하는 전략은 르 코르뷔지에와 CIAM만의 독특한 방향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20세기 초까지도 보자르식(Beaux-Arts)의 조경 설계 이론에서는 여가 프로그램에 대한 고려는 부족했다. 옴스테드 역시도 센트럴 파크 설계 시 여가 프로그램을 도입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정적인 산책과 조망을 중심으로 공원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르 코르뷔지에는 그의 저서에서 조경 공간이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동적인 여가 프로그램을 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는 정적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경설계를 가르치던 보자르식 교육에 익숙했던 에크보, 카일리, 로즈에게 새로운 조경의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로즈는 세 명의 조경가 중 가장 적극적으로 모더니즘에 관한 텍스트를 발표를 하였다. 로즈 역시 많은 모더니즘 건축가들의 영향을 받았는데, 르 코르뷔지에의 모더니즘은 건축과 자연을 분리한다고 평가하며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는 않았다(Cardasis, 2017). 로즈는 특히 정원 이론과 실천에 관심이 많았는데 모더니즘 건축가 중 르 코르뷔지에보다는 미`스 반 데 로에의 건축에 공감하였다(Cardasis, 2017)
카일리는 로즈와 에크보에 비해 많은 이론적 저술을 남기지는 않았으나, 당대의 조경가 중 가장 특징적인 모더니즘 조경의 정체성을 실천적으로 정립한 조경가로 평가받는다. 카일리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정형성은 프랑스 전통 조경, 특히 르 노트르(Le Nôtre)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다(Bleam, 1991; Walker and Simo, 1993; Rainey and Treib, 2009). 그러나 하버드의 모더니즘 건축 교육을 접하였고 이후 많은 모더니즘 건축가들과 함께 작업을 한 카일리의 조경설계가 모더니즘 건축과 무관하게 프랑스의 바로크 조경 양식의 새로운 해석이라고 보기만은 어렵다. 카일리는 인터뷰에서 학창 시절 르 코르뷔지에를 포함한 모더니즘 조경가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히고 있으며(Rainey and Treib, 2009), 르 코르뷔지에서 모더니즘이 종결되었다고 말할 정도로 그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Rainey and Treib, 2009). 카일리는 1945년 유럽에서 르 코르뷔지에를 만나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모듈러 개념을 강의에서도 인용하기도 하였다(Kiley, 1982). 이론가들도 카일리의 모더니즘 조경과 르 코르뷔지에의 연관성을 언급한다. 트라이브은 카일리의 정형성은 기하학적으로 법칙화된 자연에 대한 해석의 결과로 보았으며, 이는 르 코르뷔지에의 자연과 인간에 대한 사유와 차이가 없다고 평가한다(Rainey and Treib, 2009). 블림은 카일리의 조경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그리드가 르 코르뷔지에가 1914년 제안한 도미노 저택(Maison Domino)의 그리드 구조와 관련성이 있다고 분석한다(Bleam, 1991).
카일리와 에크보의 평면 구성과 모더니즘 건축과의 관련성을 이야기할 때 르 코르뷔지에보다는 미스 반 데 로에과의 유사성이 자주 언급된다(Treib, 1991b; Rainey, 1991; Treib and Imbert, 2005). 하지만 에크보의 조경 설계에서는 정형적인 형태와 유기적인 형태를 충돌시키며 결합하는 구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구성은 미스의 건축 평면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오히려 기하학적 구도 안에서 유기적 형태를 병치시키는 방식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구성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에크보는 다른 조경가들과 달리 구성을 3차원적으로 확장하여 조경 공간을 입체적으로 구성하려 했는데, 이는 르 코르뷔지에적인 구성 방식에 가깝다. 에크보는 "디자인은 3차원적이어야 한다. 사람들은 평면이 아니라 볼륨(volume)에서 산다."라며 조경 설계의 입체성을 강조하였는데(Eckbo, 1937), 볼륨은 르 코르뷔지에가 매스(mass)와 대비하여「건축을 항하여」에서 제시한 개념이기도 하다.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은 에크보의 작품보다 이론에서 더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에크보는 1950년「Landscape for Living」을 출판하여 미국 모더니즘 조경에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Eckbo, 1950). 이 저서에서는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이 빈번하게 인용이 될 뿐 아니라, 이론적 내용과 구도에서도 르 코르뷔지에의 중요한 저서와 유사한 점이 많다. 워커와 시모는 르 코르뷔지에의「건축을 항하여」를「Landscape for Living」의 가장 가까운 모델이었으라고 생각하며, 에크보와 르 코르뷔지에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Walker and Simo, 1993). 에크보의 저서는 르 코르뷔지에에 비해 기술보다는 과학을 강조하며 환경과 맥락을 중요하지만, 보자르적인 기존의 설계 양식을 비판하면서 기능과 공간에 초점을 맞춘 설계론을 전개하는 점에서 유사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에크보의 도시론에서도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은 분명하게 나타난다.「Urban Landscape Design」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빛나는 도시” 모델이 도시의 역사가 가장 뛰어난 유형을 제시할 수도 있다고 언급하면서 슈퍼블록, 자동차와 분리된 보행자 전용 가로와 같은 르 코르뷔지에의 도시 모델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Eckbo, 1964).
V. 결론
본 연구는 20세기의 모더니즘 조경이 모더니즘 건축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건축과 도시의 모더니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지만, 그동안 조경의 측면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르 르코뷔지에의 건축과 조경이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르 코르뷔지에와 모더니즘 조경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시기별로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과 실천에서 나타나는 건축과 조경의 관계를 살펴보고,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에 대한 당시의 평가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건축과 도시 분야의 명성에 비해 조경 작업에 대한 평가가 낮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910년대에 르 코르뷔지에는 건축 설계 시 일부 정원 설계까지 관여하였지만, 조경적으로 크게 주목할 설계를 선보이지는 못했다. 르 코르뷔지에의 모더니즘이 건축이 높은 명성을 얻게 되는 1920년대에 르 코르뷔지에는 상대적으로 건축가 중에서는 조경에 대한 이해도도 높았으며, 직접 조경 설계에 관여하기도 하였지만, 정원과 조경을 건축, 혹은 도시의 일부로 다루었기 때문에 동시대의 조경가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기 어려웠다. 1930년대에 르 르코뷔지에의 건축적 이론과 실천은 이전의 기계적 건축에서 자연친화적이고 맥락주의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지만, 여전히 1920년대의 영향력에 가려져 있었기 때문에 조경계의 르 코르뷔지에에 대한 인식은 과거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었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르 코르뷔지에가 동시대에 활동했던 주요한 유럽의 조경가에게 미쳤던 영향력을 베라, 뤼르사, 칸네일 클라에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유럽의 모더니즘 조경과 르 코르뷔지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당시 프랑스의 모더니즘 조경에 큰 영향을 미쳤던 베라는 르 코르뷔지에의 주요한 저서에 나타난 이론적 내용을 수용하였을 뿐 아니라, 베라의 조경이론은 르 코르뷔지에의 조경관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파악된다. 뤼르사는 르 코르뷔지에의 옥상정원의 개념을 받아들여 새로운 모더니즘 건축에 적합한 조경의 양식을 발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칸네일 클라에스는 르 코르뷔지에의 언어를 수용한 정원 설계를 발전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그가 주도한 CIAM과 유사한 조경가들의 국제 조직을 만들고자 하였다. 프랑스와 벨기에 등 프랑스어권 국가의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르 르코뷔지에의 영향이 적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그 유산이 계승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차세계 대전 이후 모더니즘 조경뿐 아니라, 모더니즘 건축의 발전도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르 코르뷔지에의 유산에 국한하지 않더라도 유럽 모더니즘 조경, 특히 프랑스 모더니즘 조경의 단절과 발전에 대한 문제는 이후의 후속 연구를 통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르 코르뷔지에가 동시대에 활동했던 주요한 영미권의 조경가에게 미쳤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미국의 모더니즘 조경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스틸의 르 코르뷔지에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있었던 반면, 처치의 모더니즘 조경의 경우 실천적인 측면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설계 방식에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모더니즘 조경이론의 성립에 큰 역할을 한 터너드의 경우, 이론과 실천 모두 르 코르뷔지에의 결정적인 영향이 나타난다. 미국 모더니즘 조경을 완성하였다고 평가받는 에크보, 로즈, 카일리의 경우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은 양가적이다. 초기의 작업에서 세 명의 조경가 모두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이 나타나지만, 로즈의 경우 르 코르뷔지에에 대한 비판적 태도가 강했던 반면, 에크보는 르 코르뷔지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본 연구는 르 코르뷔지에가 당시 유럽과 미국의 모더니즘 조경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모더니즘 조경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하지만 왜 오늘날 현대 조경의 담론에서 주로 르 코르뷔지에가 저평가되거나 부정적으로 평가되는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제기될 수밖에 없다. 모더니즘 조경의 이론과 실천의 내용은 1950년에서 1970년 사이의 시기에 형성되었다. 이 시기는 건축과 도시계획에서 모더니즘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이 제기되면서 르 코르뷔지에의 이론과 실천이 전방위적으로 공격을 받기 시작할 때이기 때문에 조경의 담론에서 르 코르뷔지에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어려웠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의문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리기 위해서는 현대 조경사를 넘어 당시 건축사와 도시계획사를 함께 고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본 연구의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에 후속 연구의 과제로 남겨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