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계층분석 기법을 통한 전통정원의 치유특성 도출 및 상대적 중요도 분석

황현정*, 이형숙**
Hwang Hyeon-Jeong*, Lee Hyung-Sook**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과정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Graduate Student,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RS-2023-00 278551). 이 논문은 2025년 한국 전통조경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을 발전시킨 논문임.

Corresponding author: Hyeon-Jeong Hwang, Graduate Student,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Tel.: +82-53-950-5779, E-mail: odje956@knu.ac.kr

© Copyright 2025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Sep 02, 2025; Revised: Sep 28, 2025; Accepted: Sep 29, 2025

Published Online: Oct 31, 2025

국문초록

현대인의 정신적 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치유정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본 연구는 전통정원이 가지는 고유한 치유특성을 도출하고 조경 전문가의 인식을 바탕으로 그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정원의 조성원리와 특성 중 치유정원의 원리와 공통적인 특성 요인들을 도출했으며, 이렇게 도출된 치유특성들을 바탕으로 계층분석기법(AHP)을 활용하여 49명의 조경 전문가가 인식하는 전통정원의 치유적 가치에 대한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AHP 모델은 4개 상위 범주와 13개 하위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AHP 분석결과 상위 범주의 중요도는 활동 및 사교, 감각적 특성, 공간적 특성, 자연과의 접촉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정원이 단순히 경관을 감상하는 정적 공간이 아닌, 참여 활동 장소나 산책·산보 등 신체 활동과 사회적 교류를 통해 심리적 활력을 증진하는 능동적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공간적 특성에서는 신비감과 독립적 특성이 중요하게 나타나, 시각적 차폐와 공간의 위계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흥미와 탐색 동기를 유발하는 설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세부 요소 분석에서는 전통문양이나 색채, 상징적 표현 등 전통정원만의 문화적 정체성과 상징성을 담는 요소들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치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적인 경관 감상을 넘어 이용자의 참여와 교류를 유도하는 동적인 공간 조성 전략이 필수적이며, 신비감을 부여하는 공간 구성과 전통 상징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ze the uniqu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and analyze their relative importance based on the perceptions of landscape experts.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s first derived the principles and common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rapeutic gardens from the design principles and features of traditional gardens. Subsequentl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employe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se therapeutic values by 49 landscape experts. The AHP model was structured with four upper categories and thirteen sub-factors. The AHP results showed that experts perceive the traditional garden not merely as a passive space for appreciating scenery, but as an active space that promotes psychological vitality through physical activities and social exchange, such as participatory activity areas and strolling. Furthermore, Mystery and Independence/Privacy were found to be important, confirming the significance of design strategies that utilize visual screening and spatial hierarchy to stimulate visitor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exploration. In addition, elements embodying the unique cultural identity and symbolism of traditional gardens, such as traditional patterns, colors, and symbolic expressions, were rated as important.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create dynamic spaces that encourage user participation and social interaction, incorporate spatial compositions that induce mystery, and actively utilize traditional symbolism.

Keywords: 전문가 인식; 회복환경; 문화적 상징성
Keywords: Expert Perception; Restorative Environment; Cultural Symbolism

1. 서론

과도한 경쟁 사회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각종 정신적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우울증, 불안 장애 등 건강상의 위협을 받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녹지의 급감으로 인해 도시민들은 자연과의 접촉을 통한 스트레스 회복과 정서 안정의 기회마저 잃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자연과의 상호작용과 교감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얻을 수 있는 치유 환경 및 치유정원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김선영(2019)의 연구에 따르면 치유정원(Healing Garden)을 이용자의 심리적·신체적 치유를 위해 자연과 접하며 정서적 안정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자연 속에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및 사회적 교류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정의한다.「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서는 “정원치유”는 정원의 다양한 기능과 자원을 활용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회복하고 유지 및 증진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동안 정원치유 관련 연구는 원예나 텃밭 활동 등을 통해 얻게되는 정신적, 심리적 효과나 치유정원의 계획지침 개발 등에 집중되었으며, 정원치유의 공간적 대상에 있어서도 주로 현대적 정원이 주를 이루어 왔다. 전통정원은 일반적인 정원이 지니는 자연 환경적 요소에 더해 고유한 상징적·정신적·정서적 의미와 풍부한 문화자원을 담고 있는 장소로서 치유의 관점에서 신체적·정신적 건강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높은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나, 전통정원을 대상으로 고유의 치유적 특성을 다룬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되었다. 관련 연구로서, 박남진(2020)은 한국 전통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창덕궁 연경당과 소쇄원을 선정하여 한국정원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 공간은 단순히 자연을 조성하는 것이 아닌 자연과 하나가 되는 공간이며, 한국 고유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을 현대 공간 디자인에 활용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과 치유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영경(2013)은 인지된 회복성 평가도구(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를 통해 경주 안압지의 방문객들이 경험하게 되는 치유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전통정원의 장소 정체성 및 방문경험이 심리적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위 연구들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한 해석이나 방문자를 대상으로 한 치유회복 인식 설문이었으며, 실제 전통정원을 조성하는 조경 전문가의 시각에서 전통정원의 치유특성을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전통정원의 치유회복적 가치는 무엇이며, 현대에 전통정원을 조성하는데 있어 보다 우선시해야 할 치유특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정원의 조성원리와 특성 중 치유정원의 기본적 이론과 공통적인 특성 및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조경 전문가가 인식하는 전통정원 치유적 가치의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최근 정원문화의 확산 및 전통정원의 보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 시점에서, 전문가의 시각을 통해 전통정원의 치유적 특성을 파악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전통정원 계획 및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치유정원 (Healing Garden)

치유정원(Healing Garden)은 이용자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계획된 녹지 공간을 의미한다(Pouya and Demirel, 2015). 질병의 완치를 목표로 하는 치료(Curing)와 달리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서적 회복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이다(Stigsdotter and Grahn, 2002). 치유정원은 단순한 조경의 설계 개념을 넘어 주로 환경심리학과 원예치료학 이론에 기반한다. Kaplan(1995)의 주의 회복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RT)은 인간의 주의집중 피로가 자연환경의 경험을 통해 회복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치유정원의 공간과 경관 요소 구성을 계획하는데 중요한 근거로 활용된다. Ulrich et al.(1991)의 스트레스 회복이론(Stress Recovery Theory, SRT)은 자연경관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긍정적 감정을 촉진하는 생리·심리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조성된 치유정원은 심리적 안정 제공, 신체 활동 촉진, 사회적 교류 강화, 감각 자극을 통한 인지 기능 회복 등의 다차원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미국원예치료협회(American Horticultural Therapy Association, AHTA)는 1995년 치유정원의 특성(계획된 활동, 접근성, 명확한 경계, 식물과 사람의 상호작용, 안전성, 유니버셜 디자인, 장소성)을 7가지로 정의하고, 1997년부터 치유정원 디자인상을 수여하며 전문 설계 지침 개발을 주도하였다(Hazen, 1995). 이는 의료시설, 요양원, 교육기관 등 다양한 환경에 적용하여 그 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Stigsdotter(2005)은 치유정원은 번아웃 증후군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건강 증진 효과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공간으로 정의하였으며, 치유정원 내 8가지 공간 특성(접근성, 가시성, 사회적 공간, 고요함, 자연 요소, 활동기회, 편안함, 안전성)이 스트레스 완화와 정신 건강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Marcus and Sachs(2013)는 병원 내 치유정원 사례를 통해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설계 원칙을 제안하였다. 최근 윤주영 등(2025)은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치유정원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해 6가지 치유정원 조성원칙(안정성, 이동성 및 접근성, 쾌적성 및 편의성, 신체적 및 정서적 안정감, 자연 및 경관성, 유지관리 및 지속가능성)을 도출하여 이용자 맞춤형 공간계획과 실무적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인규와 이동규(2023)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정과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해 공간 유형(단독형, 개별 가든형, 집약 재배형)에 따라 대학 캠퍼스 내 적용 가능한 실제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치유정원에 관한 연구는 대상 연령층이나 공간 유형에 있어 더욱 다양화되고 전문화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2 전통정원의 치유특성

한국 전통정원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조경 양식으로, 철학적 사유와 심미적 가치가 반영된 공간이다. 유교, 불교, 도교 등의 사상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자연의 흐름을 따르는 설계가 특징이다(Matthew, 2011; Min and Lee, 2019). 이러한 설계 원리는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연과의 조화를 극대화하여 이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경관을 창출한다(진혜영 등, 2011a). 예를 들어, 한국의 대표 전통정원인 경복궁 후원에 있는 향원지의 ‘향원’은 “군주와 왕족이 자연 속에서 심신을 재충전하고 경관의 향유를 통해 심리적 회복을 위한 장소”이다(국가유산청포털). 궁궐과 별서의 후원은 단순한 여가나 경관 감상의 공간을 넘어 심리적 안정과 내면의 치유, 문화 교류의 장으로서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계절의 변화, 바람과 물소리, 식물의 향기, 질감 등 오감을 자극하는 요소를 도입하여 정서적 안정과 몰입감을 극대화하였다.

전통정원을 치유관점으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장선주(2015)는 도면분석과 시문 등을 활용 및 분석하여 양산보의 소쇄원에 내재된 치유성을 고찰하였다. 소쇄원은 다양한 경관 구성, 자연의 심미적 교감, 건축과 자연의 조화, 풍요로운 감각 자극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감정치유를 돕는 공간으로 조성됨을 확인하였다. 김선미와 김성균(2006)은 한국 전통정원의 치유경관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전통정원이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인 정서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으며, 탁영란 등(2009)은 Kaplan의 주의집중 회복 이론(ART) 및 스트레스 회복 이론(SRT)에 근거하여 전통정원 경관 이미지가 스트레스 회복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이영경(2013)은 경주 안압지의 실제 방문자를 대상으로 장소 정체성이 높을수록 회복감과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처럼 전통정원은 단순한 외부 조경공간이 아닌 이용자의 심리·정신적 회복을 위한 치유 공간으로서 작용하며, 과거 문화유산을 넘어 현대 도시 환경에서 정신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전통정원의 보존이 단순한 문화재 보존 차원보다 치유환경 구축의 핵심적인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연구방법

3.1 연구 진행과정

본 연구는 Figure 1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우선 치유정원의 조성원리 및 특성 분석 단계에서는 주의회복이론, 스트레스 회복이론 등 환경심리학의 치유환경 이론과 국내외 치유정원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주요 치유환경 특성과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한국전통조경」(정재훈, 2005),「조선시대 정원」(박경자, 2010),「한국의 전통정원」(진혜영 등, 2011b),「자연을 품은 한국의 전통정원」(국립문화연구원, 2022) 등의 전통정원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치유정원 이론과 전통정원 간의 공통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전통정원에 내재된 치유특성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3인의 연구원이 내용에 대한 교차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음 단계로 4인의 조경 전문가로 구성된 소규모 그룹회의(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전통정원의 치유 특성을 13개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선정된 항목의 중복성 및 추가 필요성 검토, 그리고 전통정원 조성에 대한 전문가의 심층적인 의견 수렴을 목적으로 조경 전문가 49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설문지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문구 수정 외 항목 변화는 없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AHP 계층구조도를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 1차 설문조사와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AHP(계층 분석법) 설문을 실시하여 치유 특성의 우선순위를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전통정원의 조성 또는 관련 연구수행 경험이 있는 전통조경 또는 조경 관련 전문가 49명을 선정하여 2025년 2월에 진행하였다. 응답자의 학력 수준은 대학원 박사 학위 소유자가 42.5%로 가장 많았으며, 관련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응답자가 55%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세부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jkila-53-5-133-g1
Figure 1. Research Process Flowchart
Download Original Figure
Table 1. Respond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Frequency Percent(%) Classification Frequency Percent(%)
Gender Male 14 35.0 Education College Graduation 13 32.5
Female 25 65.0 Master’s Degree 10 25.0
Age 20 ~ 30 years old 16 40.0 Doctoral Degree 16 42.5
40 ~ 50 years old 21 55.0 Division Design and Construction Office 16 42.5
Over 60 years old 2 5.0 Civil Engineering 2 5.0
Work Experience Over 1 ~ Under 5 years 11 27.5 Public Institution 7 17.5
Over 5 ~ Under 10 years 7 17.5 Educational Institution 9 22.5
Over 10 ~ Under 20 years 9 22.5 Research Institute 5 12.5
Over 20 years 12 32.5 Total 49 100
Download Excel Table
3.2 계층분석기법

계층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은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구조화하고 정량화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기법으로,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해 각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Saaty, 1994). AHP는 계층구조를 설정하고 9점 척도를 사용하여 대안을 두 개씩 비교하는 쌍대비교를 통해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이후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 일관성 검증을 실시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가 측정되었는지 분석하는 과정을 거치며, 일관성 지수(Consistency Index : C.I)의 값이 유의수준 0.1 이하일 경우 일관성이 충족된다고 판단한다. AHP는 주로 조직의 전략 수립, 정책 우선순위 결정, 공급업체 선정, 위험성 평가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자의 주관적 판단을 정량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된다. 또한, AHP는 집단의 의견을 종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집단 의사결정의 투명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기여한다(이주용과 이형숙, 2021; 유현정과 권진욱, 2022). 최종 회수된 설문 조사지 모두 성실하게 작성되어 제거된 설문지는 없었으며, 49부 설문 응답지는 SPSS 29.0을 활용하여 코딩하고, AHP 분석 프로그램인 DRESS 1.7.00을 이용해 기하평균(Geometric mean)을 산출하여 가중치 및 일관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4. 연구결과

4.1 전통정원의 치유특성 도출

치유정원의 원리 및 특성은 환경심리학의 대표적인 이론을 근거로 하여 Figure 2와 같이 30가지의 치유환경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주의회복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은 매혹감(Fascination), 벗어남(Being away), 확장성(Extent), 적합성(Compafibiliy)의 네 가지 요인을 통해 환경의 주의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며, 환경선호이론(Environmental Preference Theory)은 일관성, 가독성, 신비성, 복잡성 등을 통해 사람들이 선호하는 환경의 조건을 제시한다. 스트레스회복이론(Stress Recovery Theory)은 자연환경이 스트레스 감소와 생리적 안정에 기여한다는 점을 밝히며 통제감(Sense of control), 프라이버시(Privacy),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자연접근성(Access to nature)와 같은 심리적 요인을 포함한다. 지원적 디자인 이론(Supportive Design Theory)은 지각된 통제감(Perceived control), 사회적 지지, 긍정적 주의전환(Positive distraction), 움직임과 운동(Movement and Exercise)의 설계 원리를 통해 치유환경을 설명한다. 바이오필리아(Biophlila) 가설은 인간이 본능적으로 자연과의 연결을 추구하며 생태적 다양성과 자연적 자극이 심리적 안정을 유도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은둔·조망이론(Prospect-Refuge Theory)은 인간이 조망을 통해 개방적 시야를 확보하고 은신을 통해 안정감을 갖는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정원의 문헌고찰을 통해 치유정원과 공통되는 사항을 추출한 결과, 전통문양이나 색채, 계곡이나 폭포의 물소리와 같은 청각적 요소, 전통적 재료와 질감, 계절적 변화, 다양한 경관, 전통 식재, 사교나 풍류를 위한 장소, 산책이나 산보를 통한 사색의 장소, 마당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위한 장소, 시각적 개방과 폐쇄를 통한 공간적 신비감, 독립적으로 휴식할 수 있는 공간, 조망과 은신이 가능한 아늑한 공간 등 13개 전통정원의 치유환경 특성이 도출되었다(Figure 2 참조).

jkila-53-5-133-g2
Figure 2. Analysis of Therapeut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Download Original Figure
4.2 전통정원의 치유특성별 중요도 분석결과
4.2.1 AHP 구조도

AHP 설문 문항을 위해 선행연구 고찰로 도출된 전통정원의 치유특성을 바탕으로 계층구조를 작성하였다. 앞서 도출된 13개의 전통정원 치유특성을 감각적 특성, 자연과의 접촉, 활동 및 사교, 공간적 특성 등 4개의 상위 범주로는 구분하여 Figure 3와 같이 계층 구조도를 작성하였다. 첫째, 감각적 특성은 자연적 요소를 통해 인간의 오감을 자극함으로써 긴장 완화와 정서적 안정을 유도하는 요소를 포함하며, 햇빛, 물소리, 질감 등 감각적 요소와 상징성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긴장 완화를 유도하는 특성이다. 둘째, 식재·경관적 특성은 생태적 다양성과 계절 변화, 전통 식재와 같은 요인을 통해 심리적 회복과 정서적 교감을 촉진한다. 셋째, 활동적 특성은 신체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체 참여를 통해 치유 효과를 강화하는 특성이다. 넷째, 공간적 특성은 조망·은둔, 공간 위계, 물리적 안정성 등을 포함하며 공간의 독립성과 신비성을 통해 심리적 활력과 안정을 제공한다.

jkila-53-5-133-g3
Figure 3. AHP Hierarchical Structure for Therapeutic Attributes of Traditional Gardens
Download Original Figure
4.2.2 전통정원 치유 요소 항목 신뢰도 분석

선행연구로 도출된 치유 요소 항목 문항의 설문 전체 응답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분석하였다. Alpha 계수 값이 클수록 문항 간 일관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0.7 이상일 경우 내적 일관성을 가진다고 판단한다. 신뢰도 분석결과 Alpha 계수는 0.811로 0.7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 신뢰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Table 2 참조).

Table 2.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by variables
Variables Adjusted item-total correlation coefficient Cronbach’s alpha when item are deleted
Sensory / Spiritual Stimulation Traditional patterns and colors .430 .800
Water features .329 .807
Traditional materials and textures .446 .799
Symbolic expressions .369 .806
Access to Nature Seasonal changes .365 .805
Diverse landscape .342 .807
Traditional symbolic plantings .391 .804
Opportunities for Activity / Socializing Opportunities for Socialization .440 .800
Walking and strolling .325 .807
Opportunities for participatory activity .548 .790
Spatial Interests Mystery .628 .783
Independence and privacy .688 .776
Refuge and prospect .498 .796
Download Excel Table
4.2.3 전통정원 치유특성 및 세부 요소별 중요도 분석

계층별 전통정원의 치유특성 간 중요도 분석을 위해 AHP를 실시한 결과, 전통정원의 치유특성 중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특성으로 ‘활동 및 사교, 0.398’, ‘감각적 특성, 0.233’, ‘공간적 특성, 0.196’, ‘자연과의 접촉, 0.172’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관성 지수(C.I)는 0.003으로 유의수준 0.1 이하로 일관성이 충족되었다.

감각적 특성의 세부 치유 요소 가중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전통문양·색채, 0.340’, ‘상징적 표현, 0.276’, ‘전통재료·질감, 0.244’, ‘계곡·폭포(물소리), 0.139’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관성 지수는 0.001로 유의수준 0.1 이하로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과의 접촉 세부 요소의 가중치 분석결과, ‘전통상징식재, 0.439’, ‘계절적 변화, 0.287’, ‘다양한 경관, 0.273’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일관성 지수는 0.001 값으로 유의수준 0.1 이하로 일관성 있는 응답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통정원의 치유특성 중 활동 및 사교의 세부 요소 중요도 분석결과, ‘참여활동장소, 0.585’, ‘사교·풍류, 0.211’, ‘산책·산보, 0.204’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관성 지수는 0.003인 유의수준 0.1 이하로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공간적 특성 세부요소별 가중치 분석결과, ‘신비감, 0.414’, ‘독립성·프라이버시 공간, 0.332’, ‘조망·은신, 0.253’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관성 지수는 0.001로 유의수준 0.1 이하로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ure 4 참조).

jkila-53-5-133-g4
Figure 4. Results of relative weight analysis of AHP evaluation factors
Download Original Figure
4.2.4 전통정원 세부요소별 복합가중치 분석결과

산출된 가중치를 종합하여 복합가중치를 산출 후 전체 항목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참여활동장소, 0.233’가 13개의 항목 중 1순위로 가장 높은 가중치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높은 우선순위는 ‘사교·풍류, 0.084’, ‘신비감, 0.081’, ‘산책·산보, 0.081’, ‘전통문양·색채, 0.079’, ‘전통상징식재, 0.076’, ‘독립성·프라이버시 공간, 0.065’, ‘상징적 표현, 0.064’, ‘전통재료·질감, 0.057’, ‘계절적 변화, 0.050’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경관, 0.047’, ‘계곡·폭포(물소리), 0.032’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Table 3 참조).

Table 3. Composite weight analysis results for all evaluation items
Rank Evaluation items Composite weights
1 Opportunities for participatory activity 0.233
2 Opportunities for Socialization 0.084
3 Mystery 0.081
4 Walking and strolling 0.081
5 Traditional patterns and colors 0.079
6 Traditional symbolic plantings 0.076
7 Independence and privacy 0.065
8 Symbolic expressions 0.064
9 Traditional materials and textures 0.057
10 Refuge and prospect 0.050
11 Seasonal changes 0.050
12 Diverse landscape 0.047
13 Water features 0.032
Download Excel Table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현대인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치유정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실에서,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전통정원 고유의 치유특성을 도출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HP 전문가 설문결과, ‘전통정원의 치유특성 중 ‘활동 및 사교’가 가장 중요한 범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감각적 특성’, ‘공간적 특성’, ‘자연과의 접촉’ 순으로 중요도가 평가되었다. 세부 요소에 대한 복합가중치 분석에서도 ‘활동 및 사교’에 속하는 ‘참여활동장소’, ‘산책·산보’ 등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이 결과는 문화유산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활동이 있을 때 심리적 웰빙과 회복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제시한 Wheatley and Bickerton(2019)의 연구나, 신체 활동과 결합 된 야외 문화유산 활동이 정신 건강 및 삶의 만족도 개선에 기여함을 밝힌 Brown et al.,(2015)의 주장과도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전통정원은 자연경관을 감상하는 정적이고 수동적인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전문가들은 전통정원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공간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함으써 치유특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정원이 가진 치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흥미로운 공간 구조를 통해 탐색과 산책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전통정원의 ‘공간적 특성’ 중 ‘신비감(Mystery)’, ‘독립성/프라이버시’, 그리고 ‘조망/은신’ 요소들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차지하였다. 특히, 신비감은 Kaplan의 환경 선호도 이론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핵심 원리로서, 공간에 대한 호기심과 탐험 욕구를 자극하여 이용자의 인지적 즐거움을 높이는 디자인 요소이다(Herzog and Miller, 1998; Keller et al., 2011). 전통정원에서는 담장, 언덕, 나무 등을 의도적으로 배치하여 공간 전체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도록 설계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법은 실제보다 더 넓고 깊이 있는 공간감을 느끼게 하며, 구불구불한 길을 통해 다음에 나타날 경관에 대한 기대를 품게 만들어 이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공간에 깊이 몰입하도록 유도한다. 하지만 현대에 재현된 일부 전통정원은 지나치게 개방적인 공간으로 계획되거나 동선 계획이 미흡하여, 전통 정원 특유의 위요감과 경관을 탐색하는 경험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하였다(박은영 등, 2013). 따라서, 방문객의 심리적 안정과 회복을 돕는 신비감의 치유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현대 전통정원 설계에서는 공간 중첩, 시선 유도 등 다각적인 설계 기법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인지적 즐거움을 자극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통정원의 치유특성별 세부 요소의 우선순위 분석결과, ‘다양한 경관’이나 ‘계곡·폭포(물소리)’ 등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경관적 요소들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평가된 반면, ‘전통문양·색채’, ‘전통상징식재’, ‘상징적 표현’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는 정원문화의 확산으로 다양한 식재와 수경 요소로 구성된 정원들을 일상생활 속에서 접할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전통정원만의 정체성을 갖고 일반적인 정원과는 차별성 있는 특성을 기대하기 때문인 결과로 해석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전통문양이나 문화유산의 상징성은 단순한 미학적 요소를 넘어 공간 경험의 질을 높여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회복 효과를 보인다고 한다(Wang et al., 2023; Xie et al., 2023). 따라서 한국 전통정원을 통한 회복성을 높이기 위해 전통적인 자연 소재의 활용과 더불어 전통문양, 상징 및 색채를 정원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통정원을 치유관점에서 회복적 가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경 분야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통정원의 치유특성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전통정원의 치유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적인 경관 감상을 넘어선 조성 전략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정원 이용자의 참여와 교류를 유도하여 신체 활동 및 사회적 교류를 증진하고, 이를 통해 심리적 활력을 높이는 동적인 공간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원 계획 시 진입부에서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개방적인 평면 구조보다는 시각적 차폐와 공간의 위계를 활용하여 신비감을 조성하여, 이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정원에 대한 탐색 동기를 높이는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조경 전문가가 인식하는 전통정원의 치유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통정원의 치유적 특성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표본과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고인규, 이동규(2023) 대학생을 위한 치유정원 설계에 관한 연구. 실과교육연구 29(3): 107-124.

2.

국립문화연구원 NRICH(2022) 자연을 품은 한국의 전통정원.

3.

김선미, 김성균(2006) 치유경관의 요인분석을 통한 감성연구 – 한국전통조경경관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57-63.

4.

김선영(2019) 치유환경시설 오픈 스페이스의 디자인 유형과 환경요소 특성 고찰. 디자인융복합연구 18(5): 19-35.

5.

박경자(2010) 조선시대 정원. 도서출판 학연문화사.

6.

박남진(2020)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특성 연구-창덕궁 연경당과 소쇄원을 중심으로. 전시디자인연구 34: 5-13.

7.

박은영, 윤상준, 홍광표, 황민하(2013)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 현황 및 문제점 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3): 75-82.

8.

유현정, 권진욱(2022) AHP 기반의 치유정원 계획요소 도출 및 중요도 분석.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8(3): 146-156.

9.

윤주영, 벡현진, 최스란, 장유진, 김상욱(2025)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치유정원 가이드라인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53(4): 1-17.

10.

이영경(2013) 전통경관의 치유특질과 방문경험-경주 안압지 방문자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1(4): 68-76.

11.

이주용, 이형숙(2021) 이용자 중심의 스마트공원 조성을 위한 공원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9(4): 55-63.

12.

장선주(2015) 소쇄원(瀟灑園)에 내재된 치유성(治癒性).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1(9): 69-76.

13.

정재훈(2005) 한국 전통 조경. 도서출판 조경.

14.

진혜영, 송정화, 신지훈(2011a) 전통 정원 조성 시 도입 가능한 설계 요소의 인식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7(4): 51-60.

15.

진혜영, 송정화, 권영한, 김성식(2011b) 한국의 전통정원. 도서출판 국립수목원.

16.

탁영란, 김순애, 윤이화(2009) 경관 선호가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분석-한국 전통정원 경관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80-88.

17.

Brown, J. L., R. MacDonald, and R. Mitchell(2015) Are people who participate in cultural activities more satisfied with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122: 135-146.

18.

Hazen, T(1995) Therapeutic garden characteristics. The American Horticultural Therapy Association 41(2): 3.

19.

Herzog, T. R. and E. J. Miller(1998) The role of mystery in perceived danger and environmental preference. Environment and Behavior 30(4): 429-449.

20.

Kaplan, S(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3): 169-182.

21.

Kellert, S., J. Heerwagen, and M. Mador(2011) Biophilic design: The theory, science and practice of bringing buildings to life. Hoboken: Wiley.

22.

Marcus, C. C. and N. A. Sachs(2013) Therapeutic landscapes: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designing healing gardens and restorative outdoor spaces. Hoboken: Wiley.

23.

Matthew, J(2011) How to read traditional Korean gardens. Seoul Magazine: 66-67.

24.

Min, A. and J. H. Lee(2019)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externalization of ecological wisdom: The case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Sustainability 11(19): 5298.

25.

Pouya, S. and O. Demirel(2015) What is a healing garden?. Akdeniz University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28(1): 5-10.

26.

Saaty, T. L(1994)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faces 24(6): 19-43.

27.

Stigsdotter, U. and P. Grahn(2002) What makes a garden a healing garden. Journal of Therapeutic Horticulture 13(2): 60-69.

28.

Stigsdotter, U(2005) Landscape architecture and health. Alnarp: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29.

Ulrich, R. S., R. F. Simons, B. D. Losito, E. Fiorito, M. A. Miles, and M. Zelson(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3): 201-230.

30.

Wang, S., Y. Xu, X. Yang, Y. Zhang, P. Yan, Y. Jiang, and K. Wang(2023) Urban cultural heritage is mentally restorative: An experimental study based on multiple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Frontiers in Psychology 14: 1132052.

31.

Wheatley, D. and C. Bickerton(2019) Measuring changes in subjective well-being from engagement in the arts, culture and sport.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43(3): 421-442.

32.

Xie, J., S. Luo, K. Furuya, H. Wang, J. Zhang, Q. Wang, and J. Chen(2023) The restorative potential of green cultural heritage: Exploring cultural ecosystem services’ impact on stress reduction and attention restoration. Forests 14(11): 2191.

33.

국가유산청포털 https://www.heritag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