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53, No. 1, 2025
Article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the “Guidelines for Landscape Planning” in the Procedures and Methods for the Rational Designation of Focused Landscape Management Areas - Through Case Analysis of Chungcheongnam-do -
중점경관관리구역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절차 및 방법에서의 「경관계획수립지침」 개정 방향 - 충청남도 사례분석을 통하여 -
중점경관관리구역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절차 및 방법에서의 「경관계획수립지침」 개정 방향 - 충청남도 사례분석을 통하여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1-13.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0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01

Analysis on Heat Reduction Effects by Urban Forest Scenarios Using ENVI-met Simulation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시숲 조성 시나리오별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시숲 조성 시나리오별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14-25.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14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14

Comparative study on Irrigation Systems and Growth Status of Trees in Apartment Housing Project
공동주택단지의 관수시스템과 조경수 생육환경 비교 연구
공동주택단지의 관수시스템과 조경수 생육환경 비교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26-39.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26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26

Applicability of Biochar in Concrete for Landscape Paving - Work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ortar Partially Replacing Cement with Wood-Based Biochar -
조경포장용 콘크리트에서 바이오차의 적용 가능성 검토 - 목질계 바이오차로 시멘트를 일부 대체한 모르타르의 작업성과 역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조경포장용 콘크리트에서 바이오차의 적용 가능성 검토 - 목질계 바이오차로 시멘트를 일부 대체한 모르타르의 작업성과 역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40-51.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40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40

An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of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ting and Facilities) Industry - Development of a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ection and the Input-Output Analysis Results -
조경시공·관리(식재 및 시설물)업의 경제효과 분석 - 조경시공·관리업의 대분류 신설과 산업연관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
조경시공·관리(식재 및 시설물)업의 경제효과 분석 - 조경시공·관리업의 대분류 신설과 산업연관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52-64.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52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52

Analyzing How to Utilize Urban River Waterfront Space with User-adaptive Management Concepts - Targeting Unjungcheon area in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
이용자 대응 관리 개념을 도입한 도시하천 수변공간의 활용 방향 분석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천 일대를 중심으로 -
이용자 대응 관리 개념을 도입한 도시하천 수변공간의 활용 방향 분석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천 일대를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65-76.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6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65

The Impact of Street Landscape Features on Urban Residents' Depression - Focusing on Macro- and Micro-Level Landscape Elements and Walking Frequency -
보행 가로 경관 요소가 도시민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거시적 및 미시적 경관 요소와 도보 이용률을 고려하여 -
보행 가로 경관 요소가 도시민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거시적 및 미시적 경관 요소와 도보 이용률을 고려하여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77-93.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7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77

Do Urban Landscape Amenities Improve the Level of Thermal Comfort - A Human Experiment in Suwon City Using Psychological (TSV) and Physiological (EEG) Indices -
도시 내 조경 시설물이 열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조사 - 수원시에서의 심리적 지표(TSV)와 생리적 지표(EEG)를 활용한 인체 실험 -
도시 내 조경 시설물이 열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조사 - 수원시에서의 심리적 지표(TSV)와 생리적 지표(EEG)를 활용한 인체 실험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94-106.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94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094

Do Urban Landscape Amenities Improve the Level of Thermal Comfort - A Human Experiment in Suwon City Using Psychological (TSV) and Physiological (EEG) Indices -
도시 내 조경 시설물이 열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조사 - 수원시에서의 심리적 지표(TSV)와 생리적 지표(EEG)를 활용한 인체 실험 -
도시 내 조경 시설물이 열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조사 - 수원시에서의 심리적 지표(TSV)와 생리적 지표(EEG)를 활용한 인체 실험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94-106.
https://doi.org/10.9715/KILA.2025.53.1.94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94

A Study on Becoming and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Place after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세월호 참사 치유적 장소의 생성과 변화 특성 연구
세월호 참사 치유적 장소의 생성과 변화 특성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107-123.
https://doi.org/10.9715/KILA.2025.53.1.10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107

Study on Adjective Derivation and Brainwave Difference across Forest Landscape Type - Using National Park Forest Landscape Type -
산림경관 유형별 형용사 도출 및 뇌파 차이 분석 연구 - 국립공원 산림경관 사진을 대상으로 -
산림경관 유형별 형용사 도출 및 뇌파 차이 분석 연구 - 국립공원 산림경관 사진을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124-137.
https://doi.org/10.9715/KILA.2025.53.1.124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124

Exploring Park and Green Space Linkage in the Green Prescription System and Strategies for Application in Korea - Focusing on UK and US Cases -
녹색처방 제도의 공원녹지 연계방안 분석과 국내 적용전략 검토 - 영국과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녹색처방 제도의 공원녹지 연계방안 분석과 국내 적용전략 검토 - 영국과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138-154.
https://doi.org/10.9715/KILA.2025.53.1.138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138

Urban Park Policy for Health and Healing - Case on National Government Parks in Japan -
건강과 치유의 장으로서 도시공원 정책 - 일본 국영공원을 사례로-
건강과 치유의 장으로서 도시공원 정책 - 일본 국영공원을 사례로-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25;53(1):155-165.
https://doi.org/10.9715/KILA.2025.53.1.15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25.53.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