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47, No. 2, 2019
Article
A Comparative Study of Species of Tree Applied to Scientific Name Questions of Engineer Landscape Architecture Examination and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조경기사 시험의 학명 문제와 조경식재공사에 적용되고 있는 수종의 비교 연구
조경기사 시험의 학명 문제와 조경식재공사에 적용되고 있는 수종의 비교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1-12.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0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01
Structuration of Space Change due to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in Hangang River Park - Focused on the Hangang River Park in Yeouido from the 1970s to the 2000s -
여가 활동 공간으로서 여의도 한강공원 공간변화의 구조화 -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여의도 한강공원의 여가 활동과 계획을 중심으로 -
여가 활동 공간으로서 여의도 한강공원 공간변화의 구조화 -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여의도 한강공원의 여가 활동과 계획을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13-27.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1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13
The Periodical Trend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Mass Media - Focused on the 1920s and 1990s -
매스미디어를 통해 본 도시재생의 시대적 동향 - 192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
매스미디어를 통해 본 도시재생의 시대적 동향 - 192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28-48.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28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28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by Park Types Displayed in 3rd Generation SNS
제3세대 SNS에 표출된 공원 유형별 이용 특성 분석
제3세대 SNS에 표출된 공원 유형별 이용 특성 분석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49-58.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4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49
Explo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rom the Landscape Industry Perspective
조경산업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탐색
조경산업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탐색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59-75.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5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59
Study of the Valu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 the Gaetaesa Temple Site, Nonsan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Maintenance Plan
논산 개태사지의 국가문화재적 가치 및 종합정비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논산 개태사지의 국가문화재적 가치 및 종합정비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76-87.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76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76
A Comparative Study on Resident and Tourist Value Systems of the Ancient Tombs in Gyeong-ju City Center - A Focus on Means-End Chain -
경주 도심 고분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가치체계 비교연구 -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중심으로 -
경주 도심 고분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가치체계 비교연구 -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88-99.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88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88
Analysis of Environmental Equity of Green Space Services in Seoul - The Case of Jung-gu, Seongdong-gu and Dongdaemun-gu -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100-116.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00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00
Change in Concepts and Status of Park and Green Space in Urban Planning Documents of Gyeongseong
경성부 도시계획서 상의 공원녹지 개념과 현황의 변화 양상
경성부 도시계획서 상의 공원녹지 개념과 현황의 변화 양상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117-132.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1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17
Institutional Changes and Path Dependence to Private Parks - Focused on the Urban Park-Related Laws from 1967~2005 -
민간공원 관련 제도의 변천과 경로의존성 - 1967년부터 2005년까지 도시공원 법령을 중심으로 -
민간공원 관련 제도의 변천과 경로의존성 - 1967년부터 2005년까지 도시공원 법령을 중심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9;47(2):133-145.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3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9.47.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