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46, No. 5, 2018
Artic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Concept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the Experts and General Publics
정원과 공원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인식 비교 연구
정원과 공원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인식 비교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1-9.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0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01

Identifying Landscape Perceptions of Visitors’ to the Taean Coast National Park Using Social Media Data - Focused on Kkotji Beach, Sinduri Coastal Sand Dune, and Manlipo Beach -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의 경관인식 파악 - 꽃지해수욕장․신두리해안사구․만리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방문객의 경관인식 파악 - 꽃지해수욕장․신두리해안사구․만리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10-21.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10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10

Dasan's Conceptual Thoughts on the Garden in 「Jaehwangsangyuincheop」
「제황상유인첩 (題黃裳幽人帖)」에 나타난 다산 (茶山) 의 정원상 (庭園想)
「제황상유인첩 (題黃裳幽人帖)」에 나타난 다산 (茶山) 의 정원상 (庭園想)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22-35.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22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22

Estimation of the Availability of National Woodland Burial Ground through GIS-based Limited Area Analysis
GIS 기반의 제한지역 분석을 통한 국립수목장림 입지가능규모 산정
GIS 기반의 제한지역 분석을 통한 국립수목장림 입지가능규모 산정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36-43.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36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36

Design Strategies and Processes through the Concept of Resilience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리질리언스 개념을 통해서 본 설계 전략과 과정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44-58.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44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Image and Satisfaction for Storytelling Theme on the Kim Gwang-Seok Street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이용 후 평가 -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대상으로 -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이용 후 평가 -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59-68.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5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59

A Study on the Deduction of the Forest Play Activity and Space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한 숲놀이 활동 및 공간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한 숲놀이 활동 및 공간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69-81.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6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69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for the Density Management of Overcrowded Planting Sites and the Planting Design of New Planting Sites -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s in the Dongtan New Town, Hwaseong -
과밀식재지 밀도관리 및 신규식재지 배식설계 모델 개발 연구 - 화성시 동탄신도시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과밀식재지 밀도관리 및 신규식재지 배식설계 모델 개발 연구 - 화성시 동탄신도시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82-92.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82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82

Geologic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 Enhancement Study of Jeju National Geopark
제주 국가지질공원 교육․안내 체계 개선방향 연구
제주 국가지질공원 교육․안내 체계 개선방향 연구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8;46(5):93-107.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9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9715/KILA.2018.46.5.093